최순호

최순호 (崔淳鎬, 1962년 1월 10일 ~ ,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는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 및 지도자이다. 전 포항 스틸러스의 11대 감독이다.
| ||||||
---|---|---|---|---|---|---|
![]() | ||||||
개인 정보 | ||||||
로마자 표기 | Choi Soon-Ho | |||||
출생일 | 1962년 1월 10일 | (60세)|||||
출생지 |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 |||||
키 | 185cm | |||||
포지션 | 은퇴 (과거 스트라이커) | |||||
청소년 클럽 기록 | ||||||
1977-1979 1980-1983 |
청주상업고등학교 광운대학교 | |||||
클럽 기록* | ||||||
연도 | 클럽 | 출전 (득점) | ||||
1980-1982 1983-1987 1988-1990 1991 1992-1993 |
포항제철 축구단 (실업) 포항제철 아톰즈 럭키금성 황소 포항제철 아톰즈 로데스 AF |
55 (21) 28 (2) 16 (0) 18 (2) | ? (?)||||
국가대표팀 기록‡ | ||||||
1979-1981 1980-1991 |
대한민국 U-20 대한민국 |
97 (30) | 10 (6)||||
지도자 기록 | ||||||
1992-1993 1999-2000 2000-2004 2006-2008 2009-2011 2012-2013 2016-2019 |
포항제철 아톰즈 (코치) 포항 스틸러스 (코치) 포항 스틸러스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강원 FC FC 서울 미래기획단 (단장) 포항 스틸러스 | |||||
* 클럽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정규 리그 등 공식 경기 기록만 집계함. 또한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2014년 9월 23일 기준임. ‡ 국가대표팀의 출전횟수와 득점기록은 2014년 9월 23일 기준임. |
개요편집
충청북도 청주시 출생으로 청주상업고등학교, 광운대학교를 졸업하였다. 월드컵이나 아시안컵 등의 국제 대회에서 좋은 기량을 선보여 '아시아의 호랑이'라는 별명으로 불렸고 선배 축구선수 정해원이 본인(최순호)의 아내를 소개시켜줬는데[1] 최순호의 아내 박귀주씨는 정해원 아내의 같은 과 후배였지만 정해원은 술을 너무 좋아해 건강이 갑작스럽게 나빠졌고[2] 이 때문에 뒷날 아내와도 헤어지는 등 가정생활에서도 어려움을 겪었으며 결국 2020년 5월 1일 간암으로 세상을 떠났는데[3] 당시 아들 한 명을 유족으로 남겼다.
클럽 경력편집
1980년 포항제철 축구단에 입단하였고[4]광운대학교 야간 전기공학과 80학번으로 진학하여 축구선수 생활과 대학생 생활을 병행하였다.[5](주간에는 포항제철 축구단 소속 축구 선수로 활동하고 야간에는 광운대에서 공부만 한 것인지 아니면 광운대 축구부에서 축구 선수 생활까지 했는지는 불분명하여 확인 요망)
1983년 프로축구 출범 후 포항제철 돌핀스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하였으며, 1988년 2월 당시 최순호의 고향인 충청 지역을 연고로 하는 럭키금성 황소로 이적하였다.[6][7] 1991년 친정팀 포항제철 아톰즈로 복귀하였는데 당시 본인의 트레이드 상대였던[8] 황영우는 1987년 포철에서 한솥밥을 먹기도 했다.
1991년을 마지막으로 K리그에서 공식적으로 은퇴한 뒤, 1992년 7월, 프랑스 리그 2의 로데스 AF로 이적하여 지도자 수업을 받으며 1992-1993 한 시즌 동안 활약하였다.[9]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최순호가 처음으로 출전한 국제 대회는 1979년 FIFA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였다. 그는 2년 후에 열린 1981년 FIFA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해, 이탈리아 U-20 대표팀을 상대로 2골을 득점하였다. 1980년 8월 23일, 대통령배 국제 축구 대회에서 말레이시아와의 경기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
그는 1980년대 대한민국 축구를 대표하는 공격수로, 1980년 AFC 아시안컵에서 7골로 이란의 베타시 파리바와 함께 공동 득점왕을 차지하였다. 1986년 FIFA 월드컵과 1990년 FIFA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의 주전 공격수로 뛰었으며, 1986년 FIFA 월드컵에서는 이탈리아 대표팀을 상대로 멋진 골을 성공, 이 골을 포함해 FIFA 월드컵에서 총 1골 3도움을 기록했다.
지도자 경력편집
1992년 은퇴한 직후에 잠시 포항제철 아톰즈에서 코치로 지냈다. 1999년에 다시 포항 스틸러스의 코치로 활동하다가, 2000년 8월 시즌 도중 성적 부진으로 박성화 감독이 팀을 떠나자, 감독 대행을 맡았다.[10] 2001년, 감독 대행을 하면서 자신의 코치 계약기간을 채운 뒤 능력을 평가 받고 포항 스틸러스의 정식 감독으로 취임하였는데[11] 2004년, 팀을 K리그 준우승으로 이끈 뒤[12] 팀을 떠났다.[13]
2005년 11월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의 감독에 선임되어 축구계에 복귀하였으며 2006 시즌부터 팀을 이끌었다.[14] 2007년 팀을 내셔널리그 우승으로 이끈 뒤, 당시 논의되고 있던 K리그와의 승강제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었으나[15], 결국 무산되고 말았다.[16]
2008년 12월 팀의 내셔널리그 2연패를 이룩한 뒤,[17] 새롭게 창단된 강원 FC의 초대 감독으로 선임되어[18] 울산 현대미포조선의 주전 선수들을 드래프트로 영입하여 전 소속팀에서 이루지 못한 꿈을 승격의 꿈을 대신하였다.
2011년 4월 4일 강원 FC가 리그 개막 후 4연패하자 자진사퇴하였다.[19]
2012년 2월 20일 FC 서울의 유소년 시스템인 미래기획단의 단장으로 취임했다. [20] 그리고 2013년 3월 허정무 전 인천 유나이티드 감독과 나란히 대한축구협회 부회장으로 선임되었다.
2016년 9월 26일에는 친정팀인 포항 스틸러스 제 11대 감독으로 재취임하면서 12년 만에 포항으로 돌아왔다.[21] 그러나 2019년 4월 22일에 성적 부진으로 사임하였다. 이후 최순호의 후임 감독으로는 김기동코치가 선임되었다.
플레이 스타일편집
최순호는 공격수 겸 공격형 미드필더로서 1980년대의 한국 축구를 채워준 손꼽히는 공격수이다. 185cm의 장신이면서도 볼 터치가 유연했고, 섬세한 드리블, 정확한 슈팅이 장기였다. 그의 패스는 상대 수비의 허를 찔렀고, 시야도 넓었다.
그 외편집
최순호의 아들인 최원우 또한 축구선수로서 K-리그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그는 2006년 12월에 시행된 드래프트에서 6순위로 자신의 아버지의 동료인 박항서 감독이 이끄는 경남 FC에 입단하게 되어,[22] 박상인 · 박혁순 부자와 오세권 · 오범석 부자에 이어 세 번째로 부자가 모두 K-리그에서 뛰게 되는 기록을 세웠다.[23]
경력 통계편집
국가대표팀 득점편집
득점 | 일자 | 장소 | 상대팀 | 최종 결과 |
대회 |
---|---|---|---|---|---|
1 | 1980년 8월 25일 | 대한민국 춘천 | 인도네시아 | 3 - 0 |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2 | 1980년 8월 27일 | 대한민국 대전 | 태국 | 3 - 2 |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3 | 1980년 9월 16일 |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 말레이시아 | 1 - 1 | 1980년 AFC 아시안컵 |
4 | 1980년 9월 19일 |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 카타르 | 2 - 0 | 1980년 AFC 아시안컵 |
5 | 1980년 9월 19일 |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 쿠웨이트 | 3 - 0 | 1980년 AFC 아시안컵 |
6 | 1980년 9월 19일 |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 쿠웨이트 | 3 - 0 | 1980년 AFC 아시안컵 |
9 | 1980년 9월 21일 |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 아랍에미리트 | 4 - 1 | 1980년 AFC 아시안컵 |
10 | 1981년 4월 24일 |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 태국 | 5 - 1 | 1982년 FIFA 월드컵 예선 |
11 | 1981년 4월 24일 | 쿠웨이트 쿠웨이트 시 | 태국 | 5 - 1 | 1982년 FIFA 월드컵 예선 |
12 | 1982년 3월 21일 | 대한민국 서울 | 일본 | 3 - 0 | 한일 정기전 |
13 | 1982년 5월 10일 | 태국 방콕 | 인도네시아 | 2 - 0 | 킹스컵 |
14 | 1982년 6월 11일 | 대한민국 광양 | 바레인 | 3 - 0 |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15 | 1982년 11월 21일 | 인도 뉴델리 | 남예멘 | 3 - 0 | 1982년 아시안 게임 |
16 | 1982년 11월 21일 | 인도 뉴델리 | 남예멘 | 3 - 0 | 1982년 아시안 게임 |
17 | 1985년 6월 6일 | 대한민국 대전 | 태국 | 3 - 2 |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18 | 1985년 6월 8일 | 대한민국 광주 | 바레인 | 3 - 0 |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19 | 1985년 6월 8일 | 대한민국 광주 | 바레인 | 3 - 0 |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20 | 1985년 6월 15일 | 대한민국 서울 | 이라크 | 2 - 0 |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21 | 1985년 6월 15일 | 대한민국 서울 | 이라크 | 2 - 0 |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22 | 1985년 7월 30일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인도네시아 | 4 - 1 | 1986년 FIFA 월드컵 예선 |
23 | 1985년 12월 14일 | 멕시코 시우다드네사우알코요틀 | 알제리 | 2 - 0 | 1985년 멕시코 토너먼트 |
24 | 1986년 6월 10일 | 멕시코 푸에블라 | 이탈리아 | 2 - 3 | 1986년 FIFA 월드컵 |
25 | 1986년 9월 20일 | 대한민국 부산 | 인도 | 3 - 0 | 1986년 아시안 게임 |
26 | 1986년 10월 3일 | 대한민국 서울 | 인도네시아 | 4 - 0 | 1986년 아시안 게임 |
27 | 1986년 10월 3일 | 대한민국 서울 | 인도네시아 | 4 - 0 | 1986년 아시안 게임 |
28 | 1988년 6월 19일 | 대한민국 수원 | 잠비아 | 4 - 0 |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
29 | 1988년 10월 26일 | 일본 도쿄 | 일본 | 1 - 0 | 한일 정기전 |
30 | 1989년 5월 27일 | 대한민국 서울 | 말레이시아 | 3 - 0 | 199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
경력 목록편집
클럽 경력편집
- 1980년 ~ 1982년 포항제철 축구단 (실업)
- 1983년 ~ 1987년 포항제철 아톰즈
- 1988년 ~ 1990년 럭키금성 황소
- 1991년 포항제철 아톰즈
- 1992년 ~ 1993년 로데스 AF
국가대표팀 경력편집
- 1980년 AFC 아시안컵 대표
- 1986년 FIFA 월드컵 대표
- 1988년 하계 올림픽 대표
- 1990년 FIFA 월드컵 대표
지도자 경력편집
수상 경력편집
선수편집
포항제철 아톰즈편집
럭키금성 황소편집
국가대표팀편집
- 1980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
감독편집
포항 스틸러스편집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편집
개인편집
역대 선거 결과편집
실시년도 | 선거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
1995년 | 지방 선거 | 5대 | 도의원 | 청주시 제6선거구 | 민주자유당 | 12,325표 |
|
2위 | 낙선 |
각주편집
- ↑ 송대근 (1991년 1월 18일). “"남편은 완벽주의자"”. 동아일보. 2019년 6월 5일에 확인함.
- ↑ 윤진성 (2020년 5월 4일). “빛나는 데뷔, 빛바랜 피날레’...별세한 1980년대 스타 정해원”. 플러스코리아타임즈. 2020년 5월 24일에 확인함.
- ↑ 이혜진 (2020년 5월 1일). “‘K리그 전설’ 정해원, 간암 투병 중 별세”. 스포츠월드. 2020년 5월 24일에 확인함.
- ↑ “겨울을 깨고 나온 힘과기 얼마나 달라졌나 실업축구”. 경향신문. 1980년 3월 4일.
- ↑ "깜깜해도 길은 있다" 흙수저 리더들, 청년멘토로 뛴다
- ↑ “최순호 럭키금성으로”. 동아일보. 1988년 2월 29일.
- ↑ “김덕기의 프로축구 30년 - 최순호, 9년 함께 한 포철 떠나 럭키금성行”. 스포탈코리아. 2013년 7월 21일.
- ↑ “프로축구 崔淳鎬(최순호) 浦鐵(포철)로 3년만에「친정귀환」”. 동아일보. 1991년 1월 12일. 2019년 3월 5일에 확인함.
- ↑ “최순호씨 불 프로축구팀 입단”. 경향신문. 1992년 7월 26일.
- ↑ 최순호, 감독으로 '새출발'
- ↑ 최순호 포항 사령탑 2년 더
- ↑ 최순호 감독 "후반 코난 슛 불발 가장 아쉬워"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포항 스틸러스 최순호 감독 은퇴한다
- ↑ 현대미포조선 전기 우승..최순호 감독 활짝 웃었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최순호 감독, 4년 만에 K리그 '금의환향'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울산미포조선, 내셔널리그 연맹에 승격 유보 공식 전달
- ↑ 내셔널리그 우승 최순호 감독 "울산미포에서의 경험, 소중한 자산될 것"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강원 FC, 최순호 현 울산미포조선 감독 초대 사령탑 선임
- ↑ '성적부진' 강원FC 최순호 감독 자진사퇴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제2의 이청용 기성용을 키운다…FC서울 미래기획단 조직신설”. FC 서울 공식 웹사이트. 2012년 2월 20일.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9월 9일에 확인함.
- ↑ 포항, ‘레전드’ 최순호 사령탑 선임… 12년 만에 컴백
- ↑ 최순호 아들 최원우, 드래프트 6순위로 경남행
- ↑ “최순호-원우, 세 번째 K리그 선수 부자 등록”. 2007년 1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4월 1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최순호 K리그 기록 – 한국프로축구연맹
- 최순호 국가대표팀 기록 - 대한축구협회
- 최순호 FIFA 주관 대회 기록 - 국제축구연맹 (영어)
이 전 나세르 누라에이 골람 호세인 마즐루미 파테히 카밀 |
제7대 AFC 아시안컵 득점왕 1980년 공동 득점왕 베타시 파리바 |
다 음 자슈취안 나세르 모함마드카니 샤로흐 바이아니 |
전임 박성화 |
제6대 포항 스틸러스 감독 2000 (감독 대행) 2001 -2004 |
후임 세르지우 파리아스 |
전임 조동현 |
제2대 울산 현대미포조선 돌고래 감독 2006 - 2008 |
후임 조민국 |
전임 초대 |
제1대 강원 FC 감독 2009 - 2011 |
후임 김상호 |
전임 최진철 |
제11대 포항 스틸러스 감독 2016-2019 |
후임 김기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