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의 정부 수반 목록
이 문서는 1598년부터의 프랑스 정부 수반 목록이다.
프랑스는 왕정복고 시대인 1815년의 국무회의 의장,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부터 현 총리(2020년), 장 카스텍스까지 총 172명의 정부 수반을 겪어왔다.
정부 수반 직함편집
프랑스 정부 수반 직위는 역사상 여러 직함으로 달리 불려왔다.
- 앙시앵 레짐 : 수석국무장관(Principal ministre d'État)
- 1792-1815 : 정부수반 부재
- 1815-1849 : 국무회의 의장(président du Conseil des ministres) (부재 기간 존재)
- 1849-1869 : 정부수반 부재
- 1870 : 내각수반(chef du Cabinet)
- 1870-1871 : 국민방위정부 통령(président du gouvernement de la Défense nationale)
- 1871-1876 : 국무회의 부의장(vice-président du Conseil des ministres)
- 1876-1940 : 국무회의 의장(président du Conseil des ministres)
- 1940-1942 : 국무회의 부의장(vice-président du Conseil des ministres)
- 1942-1944 : 정부 수반(chef du gouvernement)
- 1944-1947 : 임시정부 통령(président du gouvernement provisoire)
- 1947-1959 : 국무회의 의장(président du Conseil des ministres)
- 1959- : 총리(Premier ministre)
"총리(Premier ministre)"라는 직함은 오직 1959년 이후(제5공화국)부터 사용된 직함이나, 앙시앵 레짐 시절 쉴리(1589년)부터 튀르고(1789년)에 이르기까지 국왕 수석장관을 일컫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 표현이다. 1815년부터 1959년까지 전통적으로 정부 수반을 일컫는 직함은 국무회의 의장(Président du Conseil)이었다. 국가 수반과 의회의 관계에 있어서 정부 수반라는 존재는 의회체제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이다. 국무회의 의장은 루이 필리프 치세에 매우 중요한 직함으로 여겨졌다. 국무회의 의장이라는 직함은 1849년부터 시작된 프랑스 제2공화국의 대통령제와 함께 사라졌으나 1871년에 먼저 국무회의 부의장(vice-président du Conseil)이라는 직함으로 부활했다. 헌법 투표로 제3공화국이 성립된 이후, 국무회의 부의장은 1876년 다시 국무회의 의장이라는 직함을 되찾았으나, 이전 체제에서처럼 헌법에 명시되지 않은 채 있었다. 결국 국무회의 의장은 제4공화국의 도래(1946년)와 함께 공식화되었으며, 이후 제5공화국에서는 총리(Premier ministre)라는 직함이 도입되었다.
연보편집
앙시앵 레짐 (1598-1792)편집
앙시앵 레짐 시절, 프랑스 총리로도 불린 수석국무장관은 수석 고문이자 프랑스 왕의 정부 수반이었다. 직함과 직무는 공식적인 것으로, 왕은 전권을 지녔다.
다음 목록은 공식적으로든 실질적으로든 총리직을 수행한 여러 인물들을 나열한 것이다.
초상 | 이름
(수석국무장관) |
임기 | 군주 또는 섭정 (치세) |
정부 | 삼부회 또는 의회 (선거) |
---|---|---|---|---|---|
쉴리 공작
Duc de Sully |
1598년 7월 10일 - 1610년 5월 14일 | 앙리 4세 | 앙리 4세 시기 내각 1589년 8월 2일 - 1610년 5월 14일 |
1594년부터 1613년까지 삼부회 부재 | |
1610년 5월 14일 - 1611년 1월 29일 | 마리 드 메디시스
Marie de Médicis |
루이 13세 시기 내각 1610년 5월 14일 - 1643년 5월 18일 | |||
빌루아 후작
Marquis de Villeroy |
1611년 1월 30일 - 1616년 8월 9일 | 삼부회
1614년 10월 27일 - 1615년 2월 23일 | |||
콘치노 콘치니
Concino Concini |
1616년 8월 9일 - 1617년 4월 24일 | 1616년부터 1788년까지 삼부회 부재 | |||
뤼인 공작
Duc de Luynes |
1617년 4월 24일 - 1621년 12월 15일 | 루이 13세 | |||
공석 | 1621년 12월 15일 - 1624년 8월 12일 | ||||
리슐리외 추기경
Cardinal de Richelieu |
1624년 8월 12일 - 1642년 12월 4일 | ||||
마자랭 추기경
Cardinal Mazarin |
1642년 12월 5일 - 1661년 3월 9일 | ||||
안 도트리슈 | 루이 14세 시기 내각 1643년 5월 14일 - 1715년 9월 1일 | ||||
루이 14세 | |||||
공석
사실상 Jean-Baptiste Colbert |
1661년 3월 9일 - 1683년 9월 6일 | ||||
공석
사실상 Le Tellier de Louvois |
1683년 9월 7일 - 1691년 7월 16일 | ||||
공석 | 1691년 7월 17일 - 1715년 9월 1일 | ||||
뒤부아 추기경
Cardinal Dubois |
1715년 9월 12일 - 1723년 8월 10일 | 오를레앙 공작 | 루이 15세 시기 내각 1715년 9월 1일 - 1774년 5월 10일 | ||
루이 15세 | |||||
오를레앙 공작
Duc d'Orléans |
1723년 8월 10일 - 1723년 12월 2일 | ||||
콩데공
Prince de Condé |
1723년 12월 2일 - 1726년 6월 11일 | ||||
플뢰리 추기경
Cardinal de Fleury |
1726년 6월 11일 - 1743년 1월 29일 | ||||
공석 | 1743년 1월 29일 - 1758년 12월 3일 | ||||
슈아쇨 공작
Duc de Choiseul |
1758년 12월 3일 - 1770년 12월 24일 | ||||
르네 드 모푸
René de Maupeou |
1770년 12월 25일 - 1774년 8월 23일 | ||||
루이 16세 | 루이 16세 시기 내각 1774년 5월 10일 - 1792년 8월 10일 | ||||
자크 튀르고
Jacques Turgot |
1774년 8월 24일 - 1776년 5월 12일 | ||||
모르파 백작
Comte de Maurepas |
1776년 5월 14일 - 1781년 11월 21일 | ||||
베르젠 백작
Comte de Vergennes |
1781년 11월 21일 - 1787년 2월 13일 | ||||
로메니 드 브리엔 추기경
Cardinal Loménie de Brienne |
1787년 5월 1일 - 1788년 8월 25일 | ||||
자크 네케르
Jacques Necker |
1788년 8월 25일 - 1789년 7월 11일 | 삼부회
1789년 5월 6일 - 1789년 6월 27일 | |||
브르퇴유 남작
Baron de Breteuil |
1789년 7월 11일 - 1789년 7월 16일 | 국민제헌의회
1789년 6월 17일 - 1791년 9월 30일 | |||
자크 네케르
Jacques Necker |
1789년 7월 16일 - 1790년 9월 4일 | ||||
생테랑 백작
Comte de Saint-Hérem |
1790년 9월 4일 - 1791년 11월 29일 | ||||
공석 | 1791년 11월 29일 - 1792년 9월 21일 | 입법의회
1791년 10월 1일 - 1792년 9월 21일 |
1792-1814 시기편집
1792년부터 1815년까지 뒤이은 체제들에서는 정부 수반이라는 직위가 부재했다.
1차 왕정복고 (1814-1815)편집
이름 | 내각 및 기간 | 정당 | 대수 (선거) |
왕 (재위 기간) | ||||
---|---|---|---|---|---|---|---|---|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
Charles-Maurice de Talleyrand-Périgord |
• | 1814년 4월 1일 - 1814년 5월 2일 | 무소속 | - | 루이 18세 | |||
블라카스 백작 피에르 루이
Pierre Louis, comte de Blacas |
• | 1814년 5월 2일 - 1815년 3월 20일 | 무소속 |
백일천하 (1815)편집
이름 | 정당 | 대수 (élection) |
황제 (재위 기간) | ||
---|---|---|---|---|---|
공석 (절대군주 나폴레옹 1세) |
— | - | 나폴레옹 1세 Napoléon Ier (1815) | ||
오트랑트 공작 조제프 푸셰
Joseph Fouché, |
무소속 | 나폴레옹 2세 Napoléon II (1815) |
2차 왕정복고 (1815-1830)편집
이름 | 내각 및 기간 | 대수 (선거) |
왕 (제위 기간) | ||||
---|---|---|---|---|---|---|---|
샤를모리스 드 탈레랑페리고르
Charles-Maurice de Talleyrand-Périgord |
• | 9 – 26 | [[Chambre introuvable|틀:Ire]] | 루이 18세† | |||
[[Élections législatives françaises de 1816|틀:IIe]] | |||||||
리슐리외 공작 아르망데마뉘엘 뒤 플레시
Armand-Emmanuel du Plessis, |
1 | 무소속 | |||||
데솔 후작 장조제프
Jean-Joseph, |
• | Doctrinaire | |||||
드카즈 공작 엘리
Élie, duc Decazes |
• | 19 – 20 | |||||
리슐리외 공작 아르망데마뉘엘 뒤 플레시
Armand-Emmanuel du Plessis, |
2 | 20 – 14 | [[Élections législatives françaises de 1820|틀:IIIe]] | ||||
빌렐 백작 조제프
Joseph, comte de Villèle |
• | 14 – 16 | |||||
16 – 4 | [[Élections législatives françaises de 1824|틀:IVe]] | 샤를 10세 | |||||
마르티냐크 자작 장바티스트 실베르 게예
Jean-Baptiste Sylvère Gaye, |
• | 4 – 8 |
[[Élections législatives françaises de 1824|틀:Ve]] | ||||
폴리냑 백작 쥘
Jules, comte de Polignac |
• | 8 – 29 | |||||
모르트마르 공작 카지미르 드 로슈슈아르
Casimir de Rochechouart, |
• | 29 | [[Élections législatives françaises de 1830|틀:VIe]] |
7월왕정 (1830-1848)편집
이름 | 내각 및 기간 | 정당 | 대수 (선거) |
왕 (재임 기간) | ||||
---|---|---|---|---|---|---|---|---|
— | 공석 (루이 필리프 1세의 직접 통치) | • | [[1830|틀:1er août 1830]] 11 août 1830 |
— | [[Élections législatives françaises de 1830|틀:Ire]] (1830) |
루이 필리프 1세 | ||
1 | 11 août 1830 2 novembre 1830 | |||||||
자크 라피트
Jacques Laffitte |
• | 2 novembre 1830 13 mars 1831 |
Doctrinaire | |||||
카지미르 페리에 † Casimir Perier (1777-1832) |
• | 13 mars 1831 16 mai 1832 † |
Doctrinaire (1831-1832) puis Parti de la résistance (1832) | |||||
[[Élections législatives françaises de 1831|틀:IIe]] (1831) | ||||||||
달마시 공작 장드디외 술트
Jean-de-Dieu Soult, duc de Dalmatie |
1 | 11 octobre 1832 18 juillet 1834 |
Parti de la résistance | |||||
제라르 백작 에티엔 모리스
Étienne Maurice, comte Gérard |
• | 18 juillet 1834 10 novembre 1834 |
무소속 | |||||
바사노 공작 위그 베르나르 마레
Hugues Bernard Maret, duc de Bassano |
• | 10 novembre 1834 18 novembre 1834 |
무소속 | |||||
트레비스 공작 에두아르 모르티에
Édouard Mortier, duc de Trévise |
• | 18 novembre 1834 12 mars 1835 |
Parti de la résistance | [[Élections législatives françaises de 1834|틀:IIIe]] (1834) | ||||
브뢰유 공작 빅토르
Victor, duc de Broglie |
• | 12 mars 1835 22 février 1836 |
Parti de la résistance | |||||
아돌프 티에르
Adolphe Thiers |
1 | 22 février 1836 6 septembre 1836 |
Parti du mouvement | |||||
몰레 백작 루이마티외
Louis-Mathieu, comte Molé |
1 | 6 septembre 1836 15 avril 1837 |
Parti de la résistance | |||||
2 | 15 avril 1837 31 mars 1839 |
[[Élections législatives françaises de 1837|틀:IVe]] (1837) | ||||||
— | 공석 (루이 필리프 1세의 직접 통치) | 2 | 31 mars 1839 12 mai 1839 |
— | [[Élections législatives françaises de 1839|틀:Ve]] (1839) | |||
달마시 공작 장드디외 술트
Jean-de-Dieu Soult, duc de Dalmatie |
2 | 12 mai 1839 [[1840|틀:1er mars 1840]] |
Parti de la résistance | |||||
아돌프 티에르
Adolphe Thiers |
2 | [[1840|틀:1er mars 1840]] 29 octobre 1840 |
Parti du mouvement | |||||
달마시 공작 장드디외 술트
Jean-de-Dieu Soult, duc de Dalmatie |
3 | 29 octobre 1840 18 septembre 1847 |
Parti de la résistance | |||||
[[Élections législatives françaises de 1842|틀:VIe]] (1842) | ||||||||
[[Élections législatives françaises de 1846|틀:VIIe]] (1846) | ||||||||
프랑수아 기조
François Guizot |
• | 18 septembre 1847 24 février 1848 |
Parti de la résistance | |||||
몰레 백작 루이마티외
Louis-Mathieu, comte Molé |
24 février 1848 | Parti de la résistance | ||||||
아돌프 티에르
Adolphe Thiers |
24 février 1848 | Parti du mouvement |
제2공화국 (1848-1852)편집
목록편집
이름 | 내각 및 기간 | 정당 | 대수 (선거) |
대통령 (재임 기간) | ||||
---|---|---|---|---|---|---|---|---|
자크 샤를 뒤퐁 드 뢰르
Jacques Charles Dupont de l'Eure |
• | 24 février 1848 – 9 mai 1848 | 중도공화파 | Constituante (1848) | Aucun, chefs de l'exécutif de facto | |||
프랑수아 아라고
François Arago |
• | 9 mai 1848 – 28 juin 1848 | 중도공화파 | |||||
외젠 카베냑
Eugène Cavaignac |
• | 28 juin 1848 – 20 décembre 1848 | 중도공화파 | |||||
오딜롱 바로
Odilon Barrot |
1 | 20 décembre 1848 – 2 juin 1849 | 질서당 |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Louis-Napoléon Bonaparte | ||||
2 | 2 juin 1849 – 30 octobre 1849 | Législative (1849) | ||||||
오풀 백작 알퐁스 앙리
Alphonse Henri, |
• | 30 octobre 1849 – 24 janvier 1851 | 질서당 | |||||
— | 공석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직접 통치) | • | 24 janvier 1851 – 10 avril 1851 | Bonapartiste | ||||
레옹 포셰
Léon Faucher |
• | 10 avril 1851 – 26 octobre 1851 | 질서당 | |||||
— | 공석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직접 통치) | • | 26 octobre 1851 – 2 décembre 1851 | Bonapartiste | ||||
1 | 2 décembre 1851 – 22 | |||||||
2 | 22 – 2 décembre 1852 |
Durée편집

제2제국 (1852-1870)편집
이름 | 내각 및 기간 | 정당 | 대수 (선거) |
황제 (제위 기간) | ||||
---|---|---|---|---|---|---|---|---|
— | 공석 (루이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직접 통치) | 3 | 2 décembre 1852 – 17 juillet 1869 | — | 초대 (1852) |
나폴레옹 3세 | ||
제2대 (1857) | ||||||||
제3대 (1863) | ||||||||
4 | 17 juillet 1869 – 2 janvier 1870 | 제4대 (1869) | ||||||
에밀 올리비에
Émile Ollivier |
• | 2 janvier 1870 – 10 août 1870 | Bonapartiste libéral | |||||
샤를 쿠쟁몽토방
Charles Cousin-Montauban |
• | 10 août 1870 – 4 septembre 1870 | 무소속 |
국민방위정부 (1870-1871)편집
이름 | 내각 및 기간 | 정당 | 대수 (선거) |
대통령 (재임기간) | ||||
---|---|---|---|---|---|---|---|---|
루이 쥘 트로쉬 Louis Jules Trochu (1815-1896) |
• | 1870년 9월 4일 - 1871년 2월 17일 | 오를레앙파 | 제2제국 제4대 국회 (1869) |
공석, 사실상 행정수반 |
제3공화국 (1871-1940)편집
목록편집
이름 | 내각 및 기간 | 정당 | 대수 (선거) |
대통령 (재임 기간) | ||||
---|---|---|---|---|---|---|---|---|
쥘 뒤포르
Jules Dufaure |
1 | 17 février 1871 – 18 mai 1873 | 중도공화파 | 국민의회
Assemblée |
아돌프 티에르
Adolphe Thiers | |||
2 | 18 mai 1873 – 24 mai 1873 | |||||||
브뢰유 공작 알베르
Albert, duc de Broglie |
1 | 25 mai 1873 – 24 novembre 1873 | 오를레앙파 | 파트리스 드 마크 마옹
Patrice de Mac Mahon | ||||
2 | 24 novembre 1873 – 16 mai 1874 | |||||||
에르네스트 쿠르토 드 시세
Ernest Courtot de Cissey |
• | 22 mai 1874 – 25 février 1875 | 왕당파 | |||||
루이 뷔페
Louis Buffet |
• | 10 mars 1875 – 23 février 1876 | 왕당파 | |||||
쥘 뒤포르
Jules Dufaure |
3 | 23 février 1876 – 9 mars 1876 | 중도공화파 | 초대 (1876) | ||||
4 | 9 mars 1876 – 3 décembre 1876 | |||||||
쥘 시몽
Jules Simon |
• | 12 décembre 1876 – 16 mai 1877 | 중도공화파 | |||||
브뢰유 공작 알베르
Albert, duc de Broglie |
3 | 17 mai 1877 – 19 novembre 1877 | 오를레앙파 | |||||
가에탕 드 로슈부에
Gaëtan de Rochebouët |
• | 23 novembre 1877 – 13 décembre 1877 | 왕당파 | 제2대 (1877) | ||||
쥘 뒤포르
Jules Dufaure |
5 | 13 décembre 1877 – 30 janvier 1879 | 중도공화파 | |||||
윌리엄 헨리 워딩턴
William Henry Waddington |
• | 4 février 1879 – 21 décembre 1879 | 중도공화파 | 쥘 그레비
Jules Grévy | ||||
샤를 드 프레이시네
Charles de Freycinet |
1 | 28 décembre 1879 – 19 septembre 1880 | 중도공화파 | |||||
쥘 페리
Jules Ferry |
1 | 23 septembre 1880 – 10 novembre 1881 | 중도공화파 | |||||
레옹 강베타
Léon Gambetta |
• | 14 novembre 1881 – 26 janvier 1882 | 중도공화파 | 제3대 (1881) | ||||
샤를 드 프레이시네
Charles de Freycinet |
2 | 30 janvier 1882 – 29 juillet 1882 | 중도공화파 | |||||
샤를 뒤클레르
Charles Duclerc |
• | 7 août 1882 – 28 janvier 1883 | 중도공화파 | |||||
아르망 팔리에르
Armand Fallières |
• | 29 janvier 1883 – 17 février 1883 | 중도공화파 | |||||
쥘 페리
Jules Ferry |
2 | 21 février 1883 – 30 mars 1885 | 중도공화파 | |||||
앙리 브리송
Henri Brisson |
1 | 6 avril 1885 – 29 décembre 1885 | 급진 공화파 | |||||
샤를 드 프레이시네
Charles de Freycinet |
3 | 7 janvier 1886 – 3 décembre 1886 | 중도공화파 | 제4대 (1885) | ||||
르네 고블레
René Goblet |
• | 11 décembre 1886 – 17 mai 1887 | Républicain radical | |||||
모리스 루비에
Maurice Rouvier |
1 | 30 mai 1887 – 4 décembre 1887 | 중도공화파 | |||||
피에르 티라르
Pierre Tirard |
1 | 11 décembre 1887 – 30 mars 1888 | 중도공화파 | 사디 카르노 †
Sadi Carnot | ||||
샤를 플로케
Charles Floquet |
• | 3 avril 1888 – 14 février 1889 | Républicain radical | |||||
피에르 티라르
Pierre Tirard |
2 | 22 février 1889 – 13 mars 1890 | 중도공화파 | |||||
샤를 드 프레이시네
Charles de Freycinet |
4 | 17 mars 1890 – 18 février 1892 | 중도공화파 | 제5대 (1889) | ||||
에밀 루베
Émile Loubet |
• | 27 février 1892 – 28 novembre 1892 | 중도공화파 | |||||
알렉상드르 리보
Alexandre Ribot |
1 | 6 décembre 1892 – 10 janvier 1893 | 중도공화파 | |||||
2 | 10 janvier 1893 – 30 mars 1893 | |||||||
샤를 뒤퓌
Charles Dupuy |
1 | 4 avril 1893 – 23 novembre 1893 | 중도공화파 | |||||
장 카지미르페리에
Jean Casimir-Perier |
• | 3 décembre 1893 – 22 mai 1894 | 중도공화파 | 제6대 (1893) | ||||
샤를 뒤퓌
Charles Dupuy |
2 | 30 mai 1894 – 25 juin 1894 | 중도공화파 | |||||
3 | 25 juin 1894 – 15 janvier 1895 | 장 카지미르페리에
Jean Casimir-Perier | ||||||
알렉상드르 리보
Alexandre Ribot |
3 | 26 janvier 1895 – 28 octobre 1895 | 중도공화파 | 펠릭스 포르 †
Félix Faure | ||||
레옹 부르주아
Léon Bourgeois |
• | 1 novembre 1895 – 23 avril 1896 | Républicain radical | |||||
쥘 멜린
Jules Méline |
• | 28 avril 1896 – 28 juin 1898 | 중도공화파 | |||||
앙리 브리송
Henri Brisson |
2 | 28 juin 1898 – 26 octobre 1898 | Républicain radical | 제7대 (1898) | ||||
샤를 뒤퓌
Charles Dupuy |
4 | 1 novembre 1898 – 18 février 1899 | 중도공화파 | |||||
5 | 18 février 1899 – 12 juin 1899 | 에밀 루베 | ||||||
피에르 발데크루소
Pierre Waldeck-Rousseau |
• | 22 juin 1899 – 3 juin 1902 | 중도공화파 (1899-1901) puis Alliance républicaine démocratique (1901-1902) | |||||
에밀 콩브
Émile Combes |
• | 7 juin 1902 – 18 janvier 1905 | 급진당 | 제8대 (1902) |
||||
모리스 루비에
Maurice Rouvier |
2 | 24 janvier 1905 – 18 février 1906 | Alliance républicaine démocratique | |||||
3 | 18 février 1906 – 7 mars 1906 | 아르망 팔리에르 | ||||||
페르디낭 사리앵
Ferdinand Sarrien |
• | 14 mars 1906 – 20 octobre 1906 | 급진당 | |||||
조르주 클레망소
Georges Clemenceau |
1 | 25 octobre 1906 – 20 juillet 1909 | Radical indépendant | 제9대 (1906) | ||||
아리스티드 브리앙
Aristide Briand |
1 | 24 juillet 1909 – 3 novembre 1910 | Socialiste indépendant, Parti républicain-socialiste | |||||
2 | 3 novembre 1910 – 27 février 1911 | |||||||
에르네스트 모니
Ernest Monis |
• | 2 mars 1911 – 23 juin 1911 | 급진당 | 제10대 (1910) | ||||
조제프 카이요
Joseph Caillaux |
• | 27 juin 1911 – 14 janvier 1912 | 급진당 | |||||
레몽 푸앵카레
Raymond Poincaré |
1 | 14 janvier 1912 – 21 janvier 1913 | Parti républicain démocratique | |||||
아리스티드 브리앙
Aristide Briand |
3 | 21 janvier 1913 – 18 février 1913 | Parti républicain-socialiste | |||||
4 | 18 février 1913 – 22 mars 1913 | 레몽 푸앵카레 | ||||||
루이 바르투
Louis Barthou |
• | 22 mars 1913 – 2 décembre 1913 | Parti républicain démocratique | |||||
가스통 두메르그
Gaston Doumergue |
1 | 2 décembre 1913 – 2 juin 1914 | 급진당 | |||||
알렉상드르 리보
Alexandre Ribot |
4 | 9 juin 1914 – 12 juin 1914 | Fédération républicaine | 제11대 (1914) | ||||
르네 비비아니
René Viviani |
1 | 13 juin 1914 – 26 août 1914 | Parti républicain-socialiste | |||||
2 | 26 août 1914 – 29 octobre 1915 | |||||||
아리스티드 브리앙
Aristide Briand |
5 | 29 octobre 1915 – 12 décembre 1916 | Parti républicain-socialiste | |||||
6 | 12 décembre 1916 – 17 mars 1917 | |||||||
알렉상드르 리보
Alexandre Ribot |
5 | 20 mars 1917 – 7 septembre 1917 | Fédération républicaine | |||||
폴 팽르베
Paul Painlevé |
1 | 12 septembre 1917 – 13 novembre 1917 | Parti républicain-socialiste | |||||
조르주 클레망소
Georges Clemenceau |
2 | 16 novembre 1917 – 18 janvier 1920 | Radical indépendant | |||||
알렉상드르 밀랑
Alexandre Millerand |
1 | 20 janvier 1920 – 18 février 1920 | 무소속 | |||||
2 | 18 février 1920 – 23 septembre 1920 | 제12대 (1919) |
폴 데샤넬 | |||||
조르주 레이그
Georges Leygues |
• | 24 septembre 1920 – 7 janvier 1921 | Parti républicain démocratique et social | 알렉상드르 밀랑
Alexandre Millerand | ||||
아리스티드 브리앙
Aristide Briand |
7 | 16 janvier 1921 – 12 janvier 1922 | Parti républicain-socialiste | |||||
레몽 푸앵카레
Raymond Poincaré |
2 | 15 janvier 1922 – 29 mars 1924 | Parti républicain démocratique et social | |||||
3 | 29 mars 1924 – 1 juin 1924 | |||||||
프레데리크 프랑수아마르살
Frédéric François-Marsal |
• | 8 juin 1924 – 10 juin 1924 | Fédération républicaine | |||||
에두아르 에리오
Édouard Herriot |
1 | 14 juin 1924 – 10 avril 1925 | 급진당 | 제13대 (1924) |
가스통 두메르그
Gaston Doumergue | |||
폴 팽르베
Paul Painlevé |
2 | 17 avril 1925 – 27 octobre 1925 | Parti républicain-socialiste | |||||
3 | 27 octobre 1925 – 22 novembre 1925 | |||||||
아리스티드 브리앙
Aristide Briand |
8 | 28 novembre 1925 – 6 mars 1926 | Parti républicain-socialiste | |||||
9 | 6 mars 1926 – 15 juin 1926 | |||||||
10 | 15 juin 1926 – 17 juillet 1926 | |||||||
에두아르 에리오
Édouard Herriot |
2 | 19 juillet 1926 – 21 juillet 1926 | 급진당 | |||||
레몽 푸앵카레
Raymond Poincaré |
4 | 23 juillet 1926 – 6 novembre 1928 | Parti républicain démocratique et social (1926-1927) puis Alliance démocratique (1927-1928) | |||||
5 | 6 novembre 1928 – 26 juillet 1929 | 제14대 (1928) | ||||||
아리스티드 브리앙
Aristide Briand |
11 | 29 juillet 1929 – 22 octobre 1929 | Parti républicain-socialiste | |||||
앙드레 타르디외
André Tardieu |
1 | 3 novembre 1929 – 17 février 1930 | Alliance démocratique | |||||
카미유 쇼탕
Camille Chautemps |
1 | 21 février 1930 – 25 février 1930 | 급진당 | |||||
앙드레 타르디외
André Tardieu |
2 | 2 mars 1930 – 4 décembre 1930 | Alliance démocratique | |||||
테오도르 스테그
Théodore Steeg |
• | 13 décembre 1930 – 22 janvier 1931 | 급진당 | |||||
피에르 라발
Pierre Laval |
1 | 27 janvier 1931 – 13 juin 1931 | 무소속 | |||||
2 | 13 juin 1931 – 12 janvier 1932 | 폴 두메르 †
Paul Doumer | ||||||
3 | 12 janvier 1932 – 6 février 1932 | |||||||
앙드레 타르디외
André Tardieu |
3 | 20 février 1932 – 3 juin 1932 | Alliance démocratique | |||||
에두아르 에리오
Édouard Herriot |
3 | 3 juin 1932 – 14 décembre 1932 | 급진당 | 제15대 (1932) |
알베르 르브룅
Albert Lebrun | |||
조제프 폴봉쿠르
Joseph Paul-Boncour |
• | 18 décembre 1932 – 28 janvier 1933 | Parti républicain-socialiste | |||||
에두아르 달라디에
Édouard Daladier |
1 | 31 janvier 1933 – 24 octobre 1933 | 급진당 | |||||
알베르 사로
Albert Sarraut |
1 | 26 octobre 1933 – 24 novembre 1933 | 급진당 | |||||
카미유 쇼탕
Camille Chautemps |
2 | 26 novembre 1933 – 27 janvier 1934 | 급진당 | |||||
에두아르 달라디에
Édouard Daladier |
2 | 30 janvier 1934 – 7 février 1934 | 급진당 | |||||
가스통 두메르그
Gaston Doumergue |
2 | 9 février 1934 – 8 novembre 1934 | 급진당 | |||||
피에레티엔 플랑댕
Pierre-Étienne Flandin |
1 | 8 novembre 1934 – 31 mai 1935 | Alliance démocratique | |||||
페르디낭 부이송
Fernand Bouisson |
• | 1 juin 1935 – 4 juin 1935 | 무소속 | |||||
피에르 라발
Pierre Laval |
4 | 7 juin 1935 – 22 janvier 1936 | 무소속 | |||||
알베르 사로
Albert Sarraut |
2 | 24 janvier 1936 – 4 juin 1936 | 급진당 | |||||
레옹 블룸
Léon Blum |
1 | 4 juin 1936 – 21 juin 1937 | Section française de l'Internationale ouvrière | 제16대 (1936) | ||||
카미유 쇼탕
Camille Chautemps |
3 | 29 juin 1937 – 14 janvier 1938 | 급진당 | |||||
4 | 14 janvier 1938 – 10 mars 1938 | |||||||
레옹 블룸
Léon Blum |
2 | 13 mars 1938 – 8 avril 1938 | Section française de l'Internationale ouvrière | |||||
에두아르 달라디에
Édouard Daladier |
3 | 12 avril 1938 – 13 mai 1939 | 급진당 | |||||
4 | 13 mai 1939 – 13 septembre 1939 | |||||||
5 | 13 septembre 1939 – 20 mars 1940 | |||||||
폴 레노
Paul Reynaud |
• | 22 mars 1940 – 16 juin 1940 | Alliance démocratique | |||||
필리프 페탱
Philippe Pétain |
• | 16 juin 1940 – 10 juillet 1940 | 무소속 |
특이사항편집
- 다음 9명의 정부 수반은 국무회의 의장으로 임명될 때 국회의장이었다. 루이 뷔페, 레옹 강베타, 앙리 브리송 (1, 2기), 샤를 플로케, 장 카지미르페리에, 샤를 뒤퓌, 폴 팽르베 (2기), 에두아르 에리오 (2기), 페르디낭 부이송
- 그 중 5명은 한 차례 더 국회의장을 역임했다. 샤를 플로케, 장 카지미르페리에, 앙리 브리송, 에두아르 에리오 (2기), 페르디낭 부이송
- 쥘 멜린은 국무회의 의장이 되기 전 국회의장에 재임했으며, 레옹 부르주아는 이후 국회의장이 되었다.
- 다음 5명의 정부 수반은 이후 상원 의장이 되었다. 쥘 페리, 에밀 루베, 아르망 팔리에르, 레옹 부르주아, 가스통 두메르그
- 다음 5명의 정부 수반은 훗날 대통령이 되었다. 아돌프 티에르, 장 카지미르페리에, 에밀 루베, 아르망 팔리에르, 가스통 두메르그
- 두 명의 정부 수반은 임기중 대선에서 승리하여 대통령에 올랐다. 레몽 푸앵카레, 알렉상드르 밀랑
- 두 명의 전 대통령은 다시끔 국무회의 의장이 되었다. 레몽 푸앵카레(두 차례), 가스통 두메르그
- 피에르 발데크루소, 조르주 클레망소, 레몽 푸앵카레는 제3공화국을 통틀어 약 삼 년 동안 연이어 임기를 보낸 세 명의 국무회의 의장이다.
- 다음 정부 수반은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알베르 드 브뢰유, 쥘 뒤포르, 레몽 푸앵카레, 조르주 클레망소, 필리프 페탱
기간urée편집

프랑스 공화국 임시정부 (1944-1947)편집
목록iste편집
이름 | 내각 및 기간 | 정당 | 대수 (선거) |
Chef de l'État | |||
---|---|---|---|---|---|---|---|
샤를 드 골
Charles de Gaulle |
1 | 무소속 | Consultative provisoire (1944) |
Fusion des fonctions de chef du gouvernement et de chef d'État | |||
2 | [[Assemblée constituante de 1945|틀:Ire Constituante]] (1945) | ||||||
펠릭스 구앵
Félix Gouin |
• | SFIO | |||||
조르주 비도
Georges Bidault |
1 | MRP | [[Assemblée constituante de 1946|틀:IIe Constituante]] (juin 1946) | ||||
레옹 블룸
Léon Blum |
3 | SFIO | [[Ire législature de la Quatrième République française|틀:Ire]] de la [[Quatrième République (France)|틀:IVe République]] (nov. 1946) |
Durée편집

제4공화국 (1947-1959)편집
목록편집
이름 | 내각 및 기간 | 정당 | 대수 (선거) |
대통령 (재임 시기) | |||
---|---|---|---|---|---|---|---|
폴 라마디에
Paul Ramadier |
1 | SFIO | 초대 (nov. 1946) |
뱅상 오리올
Vincent Auriol | |||
2 | |||||||
로베르 쉬망
Robert Schuman |
1 | MRP | |||||
앙드레 마리
André Marie |
• | 급진당 | |||||
로베르 쉬망
Robert Schuman |
2 | MRP | |||||
앙리 쾨이유
Henri Queuille |
1 | 급진당 | |||||
조르주 비도
Georges Bidault |
2 | MRP | |||||
3 | |||||||
앙리 쾨이유
Henri Queuille |
2 | 급진당 | |||||
르네 플레뱅
René Pleven |
1 | UDSR | |||||
앙리 쾨이유
Henri Queuille |
3 | 급진당 | |||||
제2대 (1951) | |||||||
르네 플레뱅
René Pleven |
2 | UDSR | |||||
에드가 포르
Edgar Faure |
1 | 급진당 | |||||
앙투안 피네
Antoine Pinay |
• | CNIP | |||||
르네 마예르
René Mayer |
• | 급진당 | |||||
조제프 라니엘
Joseph Laniel |
1 | CNIP | |||||
2 | 르네 코티
René Coty | ||||||
피에르 망데스 프랑스
Pierre Mendès France |
• | 급진당 | |||||
에드가 포르
Edgar Faure |
2 | 급진당 | |||||
기 몰레
Guy Mollet |
• | SFIO | 제3대 (1956) | ||||
모리스 부르제모누리
Maurice Bourgès-Maunoury |
• | 급진당 | |||||
펠릭스 가이야르
Félix Gaillard |
• | 급진당 | |||||
피에르 플리믈랭
Pierre Pflimlin |
• | MRP | |||||
샤를 드 골
Charles de Gaulle |
3 | Divers droite (1958), UNR (1958-1959) |
기간편집

제5공화국 (1959-)편집
목록편집
이름 | 내각 및 기간 | 정당 | 대수 (선거) |
대통령 (재임 기간) | |||
---|---|---|---|---|---|---|---|
미셸 드브레
Michel Debré |
• | UNR | 초대
(1958) |
샤를 드 골 | |||
조르주 퐁피두
Georges Pompidou |
1 | UNR (1962) UNR-UDT (1962-1967) UD-Ve (1967-1968) UDR (1968) | |||||
2 | 제2대
(1962) | ||||||
3 | |||||||
4 | 제3대
(1967) | ||||||
모리스 쿠브 드 뮈르빌
Maurice Couve de Murville |
• | UDR | 제4대
(1968) | ||||
쟈크 샤방델마스
Jacques Chaban-Delmas |
• | UDR | 조르주 퐁피두 †
Georges Pompidou | ||||
피에르 메스메르
Pierre Messmer |
1 | UDR | |||||
2 | 제5대
(1973) | ||||||
3 | |||||||
자크 시라크
Jacques Chirac |
1 | UDR | 발레리 지스카르 데스탱 | ||||
레몽 바르
Raymond Barre |
1 | Divers droite | |||||
2 | |||||||
3 | 제6대
(1978) | ||||||
피에르 모루아
Pierre Mauroy |
1 | PS | 프랑수아 미테랑
François Mitterrand | ||||
2 | 제7대
(1981) | ||||||
3 | |||||||
로랑 파비위스
Laurent Fabius |
• | PS | |||||
자크 시라크
Jacques Chirac |
2 | RPR | 제8대
(1986) | ||||
미셸 로카르
Michel Rocard |
1 | PS | |||||
2 | 제9대
(1988) | ||||||
에디트 크레송
Édith Cresson |
• | PS | |||||
피에르 베레고부아
Pierre Bérégovoy |
• | PS | |||||
에두아르 발라뒤르
Édouard Balladur |
• | RPR | 제10대
(1993) | ||||
알랭 쥐페
Alain Juppé |
1 | RPR | 자크 시라크 | ||||
2 | |||||||
리오넬 조스팽
Lionel Jospin |
• | PS | 제11대
(1997) | ||||
장피에르 라파랭
Jean-Pierre Raffarin |
1 | DL (2002) UMP (2002-2005) | |||||
2 | 제12대
(2002) | ||||||
3 | |||||||
도미니크 드 빌팽
Dominique de Villepin |
• | UMP | |||||
프랑수아 피용
François Fillon |
1 | UMP | 니콜라 사르코지
Nicolas Sarkozy | ||||
2 | 제13대
(2007) | ||||||
3 | |||||||
장마르크 에로
Jean-Marc Ayrault |
1 | PS | 프랑수아 올랑드
François Hollande | ||||
2 | 제14대
(2012) | ||||||
마뉘엘 발스
Manuel Valls |
1 | PS | |||||
2 | |||||||
베르나르 카즈뇌브
Bernard Cazeneuve |
• | PS | |||||
에두아르 필리프
Édouard Philippe |
1 | LR (2017-2018) Divers droite (2018-2020) |
엠마뉘엘 마크롱
Emmanuel Macron | ||||
2 | 제15대
(2017) | ||||||
장 카스텍스
Jean Castex |
• | Divers droite |
주석 및 각주편집
참고편집
위키백과 자매 프로젝트에서 “프랑스의 정부 수반 목록”에 관련된 문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 |
---|---|
위키낱말사전 — 사전적 정의 | |
위키책 — 교과서 | |
위키인용집 — 인용구 | |
위키문헌 — 원문 | |
위키뉴스 — 뉴스 기사 | |
위키미디어 공용 — 이미지와 미디어 자료 | |
위키생물종 — 생물 분류 도감 |
참고문헌편집
- 필리프 아르당, Le Premier ministre en France, 몽크레티앵, 155쪽, 1991 ISBN 978-2-7076-0497-2
- 라파엘 바케, L'Enfer de Matignon : Ce sont eux qui en parlent le mieux, 푸앵, 318쪽, 2010 ISBN 978-2-7578-16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