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주 최씨
해주 최씨(海州 崔氏)는 황해도 해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 해주 최씨의 종문. | |
관향 | 황해도 해주시 |
---|---|
시조 | 최온(崔溫) |
집성촌 | 황해도 해주시 충청남도 당진시 전라남도 화순군 전라남도 영암군 |
주요 인물 | 최충, 최유선, 최유길, 최사제, 최사추, 최사량, 최약, 최용, 최윤의, 숙비 최씨, 최자, 최홍윤, 최춘명, 최유엄, 최안도, 최유, 최관, 최만리, 최호, 최황, 최경회, 최경창, 숙빈 최씨, 최규서, 최승희, 최상업, 최명헌, 최덕인, 최창윤, 최불암, 최한수, 최기선, 최창근, 최기산, 최종찬, 최정운, 최석식, 최재형 |
인구(2015년) | 201,625명 |
비고 | 해주 최씨 대종회 |
해주 아전 최온(崔溫)의 아들 최충(崔冲)이 1005년(고려 목종 8) 과거에 장원 급제하여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수태사(守太師) 겸 문하시중(門下侍中) 상주국(上柱國) 내사령(內史令)에 이르렀다.
역사 편집
해주 최씨(海州 崔氏)의 시조 최온(崔溫)은 고려 초기 해주의 목민관(牧民官)으로 선정을 베풀었으며, 후에 판이부사(判吏部事)에 이르렀다. 그 선조들이 누대에 걸쳐 해주(海州) 대녕군(大寧郡)에 세거하여 해주(海州)를 본관으로 삼았다.
최온의 아들 최충(崔沖)이 1005년(목종 8)에 과거에 장원 급제하여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수태사(守太師) 겸 문하시중(門下侍中) 상주국(上柱國) 내사령(內史令)에 이르렀으며, 문종 때 구재학당(九齋學堂)이라는 사학을 건립하여 인재들을 길러내어 해동공자로 추앙받는다.[1]
3세 최유선(崔惟善)과 4세 최사추(崔思諏)가 문하시중(門下侍中)에 이르렀고, 6세손 최윤의(崔允儀)는 『상정고금예문(詳定古今禮文)』(50권)을 편찬했다.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48명을 배출하였다. 조선 세종 때의 학자이자 청백리인 최만리(崔萬理), 임진왜란 당시 진주성에서 순절한 최경회(崔慶會) 등이 있고, 영조 때 영의정을 지낸 최규서(崔奎瑞)가 종묘에 배향되었다.
인물 편집
- 최충(崔冲, 984년 ~ 1068년) : 해주의 아전 최온(崔溫)의 아들. 고려 목종(穆宗)조에 과거에 갑과로 급제하여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수태사(守太師) 겸 문하시중(門下侍中) 상주국(上柱國) 내사령(內史令)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 최유선(崔惟善, ? ~ 1075년) : 최충의 아들. 고려 현종(顯宗)조에 과거에 을과로 급제하고, 벼슬이 중서령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화(文和)이다. 문종(文宗)의 묘정에 배향하였다.
- 최유길(崔惟吉) : 최유선의 아우. 수사공 섭상서령(守司空攝尙書令)을 지냈다.
- 최사제(崔思齊, ? ~ 1091년) : 최유선의 아들. 고려 문종조에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이 문하시랑 판이부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양평(良平)이다.
- 최사추(崔思諏, 1036년 ~ 1115년) : 최충의 손자. 고려 문종조에 과거에 합격하여 숙종(肅宗)조에는 문하시중에 임명되고, 수태사 중서령에까지 이르렀다.
- 최사량(崔思諒, ? ~ 1092년) : 18세 과거에 합격하여 고려 문종조에 공부시랑검교태사를 거쳐 좌복야 참지정사에까지 승진되었다. 시호는 강경(康敬)이다.
- 최약(崔瀹) : 최사제의 아들. 고려 예종(睿宗)조에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이 예부상서 한림학사에 이르렀다.
- 최윤의(崔允儀, 1102년 ~ 1162년) : 최충의 현손.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이 문하시랑 평장사 판이부사에 이르렀다. 《고금상정례(古今詳定禮)》 50권을 편찬하였으며, 의종(毅宗)의 묘정에 배향하였다.
- 최자(崔滋, 1188년 ~ 1260년) : 고려 강종(康宗)조에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이 수태사 문하시랑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청(文淸)이다.
- 최홍윤(崔弘胤, 1153년 ~ 1229년) :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이 문하시랑 평장사 수문전대제학에 이르렀다. 시호는 경문(景文)이다.
- 최춘명(崔椿命, ? ~ 1250년) : 고려 고종조에 자주 부사(慈州副使)에 임명되었으며 벼슬이 추밀원부사에 이르렀다.
- 최유엄(崔有渰, 1239년 ~ 1331년) : 최자의 아들. 충렬왕(忠烈王)조에 도첨의 찬성사를 역임하고, 벼슬이 정승에 이르렀다.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 최함(崔諴) : 과거에 합격하여 벼슬이 중서시랑 평장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 최만리(崔萬理, ? ~ 1445년) : 최충(崔沖)의 12대손. 아버지는 최하(崔荷)이고, 어머니는 충주 지씨(忠州池氏)로 지문하성사(知門下省事) 지용수(池龍壽)의 딸이다. 1419년(세종 1)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부제학을 지냈고,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하였다.
- 최황(崔滉, 1529년 ~ 1603년) : 1566년(명종 21)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590년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평난(平難)·광국(光國) 공신에 각각 3등으로 녹훈되고 해성군(海城君)에 봉해졌다.
- 최경창(崔慶昌, 1539년 ~ 1583년) : 1568년(선조 1)에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1575년(선조 8)에 사간원정언에 올랐고, 대동도찰방(大同道察訪)과 종성부사(鍾城府使)를 지냈다.
- 최규서(崔奎瑞, 1650년 ~ 1735년) : 1680년(숙종 6)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고, 1723년 영의정에 올랐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본관 편집
해주(海州)는 황해도 해주시의 지명이다. 고조선 시대에 고죽(孤竹)으로 불렸다. 본래 고구려의 내미홀군(內未忽郡)이다. 748년(신라 경덕왕 7) 폭지군(瀑池郡)으로 고쳤고, 936년(고려 태조 19) 남쪽으로 큰 바다에 임하였다고 하여 태조가 해주를 사명(賜名)했으며, 983년(성종 2)에 해주목으로 승격되었다. 1018년(현종 9)에 안서도호부로 개편되었고 예종(睿宗) 때 대도호부로 승격하였다. 1247년(고종 34)년에 다시 해주목으로 환원되었다.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에 지역이 넓고 백성이 많으며, 관서(關西)의 큰 주로 최씨(崔氏), 정씨(鄭氏), 오씨(吳氏), 경씨(景氏) 등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1896년 황해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1954년 북한의 관제 정비로 황해남도의 도 소재지가 되었다.
분파 편집
|
|
분관 편집
- 용주 최씨(龍州 崔氏) 시조(始祖) 최광(崔光)이 고려시대에 용주부호장(副戶長)을 지냈다.
- 청송 최씨(靑松 崔氏) 시조(始祖) 최세걸(崔世傑)은 통훈대부(通訓大夫)를 지내고 후에 어희장군(禦侮將軍)에 추증(追增)되었다.
- 아산 최씨(牙山 崔氏) 시조(始祖) 최예립(崔禮立)은 해주최씨(海州崔氏) 시조 최온(崔溫)의 21세손으로 조선시대 사과(司果)를 지내고 선대(先代)부터 대대로 살아온 아산(牙山)에서 정주(定州)로 이주하였다.
- 용궁 최씨(龍宮 崔氏) 시조(始祖) 최현(玄崔)은 고려 조에 평리부밀직사사(評理府密直司使)를 역임하였다.
- 나주 최씨(羅州 崔氏) 시조(始祖) 최택(崔澤)은 조선 조에 예문관응교(藝文官應校)를 역임하였다.
항렬자 편집
- 승지공파
28세 | 29세 | 30세 | 31세 | 32세 | 33세 | 34세 | 35세 | 36세 | 37세 | 38세 | 39세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45세 | 46세 | 47세 | 48세 | 49세 | 50세 |
---|---|---|---|---|---|---|---|---|---|---|---|---|---|---|---|---|---|---|---|---|---|---|
옥(玉) | 석(錫) | 부(溥) | 병(秉) | 섭(燮) 병(秉) |
노(老) 재(在) |
호(鎬) | 일(一) | 수(秀) | 영(英) | 중(重) | 종(鍾) | 영(泳) | 동(東) | 현(炫) | 규(圭) | 옥(鈺) | 연(演) | 모(模) | 희(熙) | 균(均) | 현(鉉) | 철(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