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 아리랑

SBS, 1995~2000년 시트콤
(LA아리랑에서 넘어옴)

LA 아리랑》은 SBS에서 1995년 7월 10일부터 2000년 4월 9일까지 방영된 시트콤이었다.

LA 아리랑
방송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미국의 기 미국
방송 채널 SBS TV
방송 기간 1995년 7월 10일 ~ 2000년 4월 9일
방송 횟수 221화(1기), 총 178화(2 ~ 3기)
기획 배철호, 윤인섭
연출 김병욱, 정동천, 주병대
조연출 감도경
각본 마석철, 성민지, 신동익, 오수연, 이숙진, 장지영, 최성호
구성 김성민, 김의찬, 백현락, 전현진, 정진영
여는 곡 《이제부터 영원까지》 (홍세봉 노래, 작사, 작곡)
닫는 곡 위와 같음

트리비아 편집

방영 내내 많은 인기를 끌었지만 IMF 이후 LA 로케이션이 여의치 않아 국내제작으로 일관하여 교포 시트콤이란 정체성마저 흔들리는 위기를 맞이하자[1] 1999년 7월 11일부터 일일시트콤 포함하여 출연해 온 여운계 김찬우 외의 나머지 인물들을 대거 하차시켰으나 "(일일시트콤 포함하여) 고정적으로 유지된 가족관계를 같은 프로그램에서 한순간에 뒤바꾸는 것은 시청자보다 시청률만 두려워하는 고질병"이란 지적을 받아[2] 시청자들한테 외면당한 데다 시청률이 갈수록 떨어져 2000년 4월 9일 또다시 막을 내려야 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로 이민간 변호사 가족이 벌이는 아기자기한 에피소드로 구성되었으며, 미국에 사는 한국인들의 삶과 애환을 재미있게 다루었다. 다만, 1995년 7월 10일부터 출연했던 김세윤, 박정수, 견미리, 이영범, 이정섭 등을 빼는 대신 1999년 7월 11일부터 주현, 박원숙, 이덕화, 임예진 등을 투입시켰는데 이 과정에서 시청률이 갈수록 떨어지자 2000년 봄 개편 때 막을 내렸다.

방송 시간 편집

1995년 7월 10일부터 1996년 6월 28일까지 일일시트콤으로 방영되었다. 첫방송시 주 4회로 시작 후 1995년 10월 19일까지는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방송되었다가, 인기 상승에 힘입어 주 5회 방송으로 변경되었다.

4개월 간 방영을 중단하였다가 1996년 10월 20일부터 종전의 20분물 일일 시트콤에서 일요일 오전 시트콤으로 탈바꿈하여 일요일 아침 주간 시트콤으로 일요일 오전 8시 50분에 다시 방영하였다.[3]

1996년 10월 20일부터 1997년 4월 20일까지는 매주 일요일 아침 8시 50분에 방송되었으나, 동시간대 MBC 일요아침드라마 《》 때문에 시청률 부진을 면치 못하자 1997년 4월 27일부터 2000년 4월 9일까지는 매주 일요일 오전 9시 50분에 방영되었다.

제작 개요 편집

아메리칸 드림을 성취하려고 미국 LA로 이민 온 한국교포 김변호사는 라디오 방송국의 DJ인 부인과 장모, 처남과 3명의 자녀와 함께 살고 있다. 유머가 풍부하고 강직하면서도 부드러운 성격을 가진 김변호사는 한국교민회의 총무로서도 활동하고 있으며 미국아동보호협회 회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는 근면하고 성실한 가장이다. 한국 라디오 방송의 DJ로 활동하고 있는 부인은 활동적이고 쾌활한 성격의 여인이지만 자녀들의 교육문제만큼은 엄격하기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이다. 이 때문에 자녀들과 마찰을 많이 일으키지만 그때마다 인정많고 유머많은 장모가 이를 해결해 간다.

한편, 관광회사의 여행 가이드로 일하고 있는 처남은 아직까지 미국생활에 정착하지 못하고 가정을 갖지 못한 노총각으로서, 어머니는 변호사 사무실에서 일하는 여자와 결혼시키려 하나 처남은 오히려 미국여자와 사랑에 빠져 가족들을 당황하게 한다. 미국교육을 받은 자녀들과 마찰을 빚고, 인종간 국가간 갈등속에서 이를 헤쳐 나가는 가장 큰 힘은 역시 가족간의 사랑이라는 것을 김변호사는 인내와 유머로 때로는 용기로서 깨우치게 한다. 한국인에게는 미국의 민주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미국인에게는 한국의 경로 사상이나 효를 통해 서로의 문화적인 장점을 배우고 서로를 이해하게 된다.

등장 인물 편집

시즌 제1기(1995년 7월 10일 ~ 1996년 6월 28일) 편집

한인 변호사. 1946년생.[4]
여운계의 큰딸, 김세윤의 아내, 한인 라디오 방송 DJ. 1953년생.
박정수, 박영범, 박미리(3남매)의 엄마.[5]
여운계의 아들, 아주관광 여행사 가이드. 1961년생.
박영범의 아내, 김세윤 변호사의 사무실 직원. 1963년생.
여운계의 작은딸, 미키 비디오 직원. 1956년생.
박미리의 남편, 미키 비디오 사장. 1949년생.
김세윤, 박정수의 첫째 딸, 춘삼월 토끼띠생, 대학생.
김세윤, 박정수의 큰아들, 춘사월 용띠생, 대학생.
김세윤, 박정수의 작은아들, 동짓달 양띠생, 고등학생.
이정섭, 박미리의 딸, 섣달 양띠생, 고등학생.
김유미의 남자친구, 1996년 5월 중순 시부터 본격 유미 연하 남친으로 등장한 섣달 용띠생 연하남 재미교포 대학생(유미와는 학교가 다른 대학교 1학년).
김세윤 변호사 사무실 전직 직원. 쥐띠 1972년생.
한인 라디오방송 PD.
한인 라디오 방송 DJ. 소띠.
한인 라디오 방송 FD. 쥐띠생.
김세윤 변호사 사무실 직원. 1969년 닭띠생.
박현숙의 남편, 한인 라디오 방송 PD. 1958년 개띠생.
이정섭의 조카. 이정오(이정섭의 형)의 아들. 토끼띠.
이제형의 친구, 미키비디오의 아르바이트생, 미국 대학 2학년~3학년 유학생, 토끼띠 및 포르투갈령 마카오 한인 교포 3세 출신(아버지는 한국인이요, 어머니는 영국령 홍콩 사람.).
김유진의 동갑내기 여자친구, 미국 대학의 유학생, 춘삼월 용띠 및 말레이시아 콸라룸푸르 한인 교포 3세 출신. 김유진과는 학교가 다른 대학교 1학년~2학년생(아버지는 한국인이요, 어머니는 말레이시아 사람.).
김유선의 연상녀 여자친구, 한인 고등학생, 말띠. 김유선보다 한 학년 높음.
아주관광 여행사 부장, 박영범의 상사, 닭띠 1957년생.

시즌 제2기(1996년 10월 20일 ~ 1999년 7월 4일) 편집

한인 변호사. 뱀띠 1941년생.[8]
여운계의 큰딸, 김세윤의 아내, 한인 라디오 방송 DJ. 말띠 1942년생.[9]
박정수, 박영범, 박미리(3남매)의 엄마.[10]
여운계의 아들, 하이라이트 광고회사 만년 대리 → 영업과 과장 → 홍보과 만년 과장. 소띠 1961년생.
박영범의 아내. 뱀띠 1965년생.
여운계의 작은딸, 레스토랑 직원. 말띠 춘삼월 1966년생.
박미리의 남편, 레스토랑 사장. 소띠 1949년생.
김세윤, 박정수의 큰아들, 하이라이트 광고회사 직원, 1968년생 춘삼월 원숭이띠.
김세윤, 박정수의 둘째 딸, 항공사 직원, 1972년생 춘삼월 쥐띠.
김세윤, 박정수의 막내아들, 대학생, 1977년 동짓달 뱀띠생. 1999년 1월 1일, 애니 파크와 결혼.
이정섭, 박미리의 외동딸, 대학생, 1977년 섣달 뱀띠생.
한인 라디오방송 PD. 1970년생 개띠.
김유진 대학 후배, 하이라이트 광고회사 광고 디자이너, 섣달 돼지띠 1971년생.
김유진의 여자친구, 하이라이트 광고회사 광고 카피라이터, 춘삼월 소띠 1973년생.
김원희와 김선민의 룸메이트, 모델, 뱀띠 1977년생.
샤나의 전 남자친구, 김원희와 김선민의 이웃. 뱀띠 1977년생.
김유진의 고등학교 친구, 하이라이트 광고회사 광고 성우. 1968년 섣달 원숭이띠생.
박미리의 집 하숙생, 레스토랑 아르바이트생. 1972년생 쥐띠.
김유선의 여자친구 → 아내, 레스토랑 아르바이트생. 1977년생 뱀띠. 1999년 1월 1일, 김유선과 결혼.
하이라이트 광고회사 사장. 호랑이띠 1950년생.
김유진의 전 여자친구, 광고회사 비서. 1975년생 토끼띠.
  • 박은정 : 캐리 주 역
김유진의 여자친구, 속옷회사 광고실 실장. 1974년생 호랑이띠.
김세윤의 배다른 누이동생, 레스토랑 매니저. 1971년 돼지띠생. 1998년 11월 8일, 김달수와 결혼.
김은영의 남자친구 → 남편(김세윤의 이복 매제). 1964년생 용띠. 1998년 11월 8일, 김은영과 결혼.
광고회사 직원. 1972년생 쥐띠.

시즌 제3기(1999년 7월 11일 ~ 2000년 4월 9일) 편집

주현, 주덕화, 주찬용(3형제)의 엄마.[15]
여운계의 첫째 아들, 아리랑 한의원 원장.[16]
  • 박원숙 : 카사라 박(카사라 셀레나 파크) 역
주현의 아내, 카사라 모터스 사장
여운계의 둘째 아들, 카사라 모터스 사원.[17]
주덕화의 아내, 한의사
여운계의 셋째 아들, 사진 작가.[18]
  • 현건호 : 주다운 역
주현과 카사라 박의 아들
주현의 딸, 최재원의 여자친구
  • 최유연 : 주해나 역
주현의 쌍둥이 딸
  • 최유나 : 주안나 역
주현의 쌍둥이 딸
박원숙 친구의 딸, 주찬용의 여자친구
김원희의 동복 남동생
한의사
김의성의 배다른 이복 누이동생, 김원칠의 여자친구
한의사
  • 윤혜경 : 셀리 초이(셀레나 사라 최) 역
주다운의 여자친구, 부동산 투자가
김원희를 좋아하는 남자친구

해당 드라마 극중 라디오 방송 목소리 출연 편집

  • 이주나 : 애니 리(Annie Lee, 이선주) 역
1995년 8월 상순, 경기도 부천 출신의 용띠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대한민국 교민 미술 디자이너 초년생 만19세 애니 리(이선주) 역
  • 이윤성 : 베스 베이(Bess Bae, 배상숙) 역
1995년 8월 상순, 경기도 수원 출신의 용띠 미국 하와이주 와이키키 대한민국 교민 미술 디자이너 초년생 만19세 베스 베이(배상숙) 역
  • 이승규 : 탐 사이먼 짐 리(Tom Simon Jim Lee, 이승규) 역
1995년 8월 중순, 경상남도 창녕 출신의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대한민국 교민 미술 디자이너 탐 사이먼 짐 리(이승규) 역
  • 서영애 : 토니 엘리 모크(Toni Ellie Mork, 목형복) 역
1995년 8월 하순, 경상남도 사천 출신의 미국 인디애나주 인디애나폴리스 대한민국 교민 미술 디자이너 토니 엘리 목(목형복) 역
  • 권미혜 : 멜라니 애너 홍(Melanie Anna Hong, 홍창신) 역
1995년 9월 상순, 경상남도 창원 출신의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대한민국 교민 미술 디자이너 멜라니 애너 홍(홍창신) 역
  • 권귀옥 : 셀리너 멜린더 파크(Selena Melinda Park, 박평안) 역
1995년 9월 중순, 경상남도 밀양 출신의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대한민국 교민 미술 디자이너 셀리너 멜린더 박(박평안) 역
  • 이용규 : 제리 용 캥(Jerry Yong Kang, 강영수) 역
1995년 9월 하순, 경상남도 진주 출신의 미국 뉴 욕 주 뉴욕 시티 대한민국 교민 미술 디자이너 제리 용 강(강영수) 역
  • 안문숙 : 소니아 파크(Sonia Park, 박지유) 역
1996년 2월 상순, 전라북도 전주 출신의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타 모니카 대한민국 교민 미술 강사 소니아 박(박지유) 역
  • 이애숙 : 티나 리(Tina Lee, 이봉령) 역
1996년 2월 중순, 전직 샌 프란시스코 여성 한인회 회장 티나 리(이봉령) 역
1996년 5월 상순, 대한민국 부산 지역에서 미국 LA로 특파된 대한민국 부산의 해외 국가 방문 성향 위문 공연단 단장 48세 고상순 역
1996년 5월 상순, 대한민국 제주도 제주 지역에서 미국 LA로 특파된 대한민국 제주도 제주의 해외 국가 방문 성향 위문 공연단 단장 원숭이띠 29세 황민달 역
1996년 5월 상순,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 지역에서 미국 LA로 특파된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의 해외 국가 방문 성향 위문 공연단 단장 뱀띠 56세 안회을 역
1996년 12월 상순,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 지역에서 미국 LA로 특파된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의 해외 국가 방문 성향 위문 공연단 단장 양띠 30세 구동필 역
  • 김남진 : 소니 베이(Sonny Bae, 배상섭) 역
1996년 12월 중순, 호랑이띠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출생인 동시에 또한 강원도 속초 출생인 이주민 출신(훗날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지역으로 이주한 대한민국 교민)의 아들이자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대한민국 교민의 후손 출신으로(친할아버지 부부 및 큰아버지 부부가 모두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지역에 계시기도 하고 큰 고모 부부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지역에 계시기도 한), 이른바 미술 디자이너 초년생 호랑이띠 만22세 소니 베이(배상섭) 역
  • 최용민 : 앨리슨 셔먼 초이(Allison Sherman Tschoi, 최창희) 역
1997년 8월 상순, 닭띠 경기도 김포 출신의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대한민국 교민 미술 디자이너 겸 CEO 사업가 만40세 앨리슨 셔먼 초이(최창희) 역 - 만5세 시절(1962년 3월 하순)에 일가족들과 그리고 경상남도 밀양 지역에 살던 외갓댁 직계 외가친척들과 모두 함께 가지고 있던 각기각기의 부유한 농토 및 농가 가택 등을 모두 팔고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이주 후 시민권 취득도 한 그는 훗날 미국 시애틀 대학교 미술학과 학사 취득하여 시카고 대학교 대학원 미술학 석사 취득 후 브라운 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취득한 엘리트 성향급 인텔리 출신.
  • 권오중 : 토머스 파크(Thomas Park, 박재호) 역
1997년 8월 상순, 소띠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출생인 동시에 또한 경상남도 밀양 출생인 이주민 출신(훗날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지역으로 이주한 대한민국 교민)의 아들이자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대한민국 교민의 후손 출신으로 미술 디자이너 초년생 만24세 토머스 파크(박재호) 역 - 미술 디자이너 겸 CEO 사업가 앨리슨 셔먼 초이(최창희)의 외갓댁 외종사촌 남동생(최창희 막내 외숙부 부부의 막내아들 토머스 파크는 1973년생으로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출생) - 미국 시애틀 대학교 미술학과 학사 출신.
  • 남주희 : 새러 레지나 주(Sarah Regina Juu, 주희숙) 역
1997년 8월 상순, 소띠 경기도 평택 출신의 미국 하와이주 호놀룰루 대한민국 교민 미술 디자이너 초년생 만24세 새러 레지나 주(주희숙) 역 - 미술 디자이너 초년생 토머스 파크(박재호)의 미국 시애틀 대학교 미술학과 동기 동창.
  • 우성현 : 케빈 원 앤서니 크리스 파크(박장오, Kevin Wohnne Anthony Chris Park) 역
1999년 12월 중순, 새크라멘토 한인 교민 양띠 1991년생 초등학교 유학생 만8세 초등학교 2학년 케빈 원 크리스 파크(박장오) 역
  • 김민정 : 맨디 신 애너 사라 파크(박민지, Mandy Shin Anna Sarah Park) 역
2000년 3월 말순, 새크라멘토 한인 교민 출신의 말띠 1978년생 미국 하와이 주립 대학교 종교학과 3학년 휴학생 만22세 맨디 파크(박민지) 역 - 미국 새크라멘토 교민 초등학생 케빈 파크(박장오)의 종고모(5촌 고모)

특별 출연 편집

  • 심양홍 : 김세윤의 시카고 사는 친구 역 (대한민국 아이들. 2 19950711)
  • 룰라 (룰라 마돈나 그리고 가족. 4 19950713)
  • 김벌레 (알라뷰 유진. 8 19950720)
  • 성동일 (부부 랩소디. 16 19950803)
  • 양희경 (여름이 오면. 25 19950823)
  • 박용식 (LA 오렌지. 30 19950831)
  • 이경심 (유선의 첫사랑. 39 19950918)
  • 배한성 : 김세윤의 친구 변호사 역[19] (아내의 훈장. 45 19950928)
  • 송도순 : 박정수의 친구 소설가 역[19] (아내의 훈장. 45 19950928)
  • 박일 (미세스 코리아. 50 19951011)
  • 김현수 (무드맨 블루스. 52 19951016)
  • 이낙훈 : 하와이(호놀룰루)를 떠나 LA로 이사를 온 노신사이자 여운계의 옛날 남자친구 역 (옷이 작아요. 62 19951101)
  • 홍록기 (신 신데렐라. 67 19951108)
  • 이춘식 (친구야 친구. 69 19951110)
  • 지석진 (인간과 인간. 70 19951113)
  • 이낙훈 : 하와이(호놀룰루)를 떠나 LA로 이사를 온 노신사이자 여운계의 옛날 남자친구 역 (요세미티에서 사랑을. 71 19951115)
  • 성악가 박순복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81 19951129)
  • 엄앵란, 강석현 (신부와 어머니. 95 19951219)
  • 이낙훈 : 하와이(호놀룰루)를 떠나 LA로 이사를 온 노신사이자 여운계의 옛날 남자친구 역 (나홀로 크리스마스. 99 19951225)
  • 김창준 (우리들의 친구. 108 19960109)
  • 김학래 (Junk Mail. 114 19960117)
  • 김현수 (잘못된 만남. 116 19960119)
  • 김영옥 (할머니의 새언니. 120 19960125)
  • 이한필 (아빠 영범. 122 19960129)
  • 최주봉, 배연정 (도사가 된 세탁부. 128 19960206)
  • 이홍렬 (디제이 만세. 133 19960213)
  • 김세환 (화이트 발렌타인. 134 19960214)
  • 전유성, 진미령 (뿌리 깊은 난초. 137 19960221)
  • 전철우 (아빠 힘내세요. 139 19960223)
  • 배한성 (천재 만들기. 140 19960226)
  • 박상도 (우리 집 식구는 아무도 못 말려. 141 19960227)
  • 이계인 (잘못된 합의. 146 19960306)
  • 윤문식, 이무송 (MY NAME IS. 147 19960307)
  • 김민희 (수용이의 이중생활. 149 19960311)
  • 홍석천 : LA의 당구 큐 보이 찰리 역 / LA의 차이니스 레스토랑 보이 토니 역 / LA 호텔 보이 레이먼드 역 (봄이 오는 소리. 151 19960313)
  • 장재근, 진재영 (에어로빅 소동. 152 19960314)
  • 김하림 (아빠 부끄러워 마세요. 153 19960315)
  • 강남길 (What about 영범?. 158 19960325)
  • 최종원 (결혼 만들기 I. 160 19960327)
  • 최종원 (결혼 만들기 2. 161 19960328)
  • 국악가 박동진 (국악과 서커스. 162 19960329)
  • 개그맨 김현철 (우리 만남은. 165 19960403)
  • 남포동, 이미영 (정섭의 짝사랑. 168 19960408)
  • 오제형 (붕어빵 조카는 새끼 붕어빵. 171 19960412)
  • 이경진 (여고 동창생. 174 19960417)
  • 이영후 (샘이 깊은 물을 위하여. 177 19960423)
  • 강성범 (유미의 웨딩. 180 19960426)
  • 양택조 (해피를 찾아라. 189 19960509)
  • 신충식 (선생님 지가요. 197 19960523)
  • 박상도 (케이크 경연대회. 200 19960528)
  • 김영인 (불개미를 타고온 사나이. 201 19960529)
  • 임하룡 (코미디언이 좋아요. 205 19960605)
  • 김성원 (우리들의 선생님. 206 19960606)
  • 박규채 (프리티 운계. 211 19960613)
  • 김형일 (마피아에 쫓긴 영범. 29 19970504)
  • 신성일 (아내라는 이름의 소녀. 30 19970511)
  • 강성범, 정웅인 (콤플렉스 콤플렉스. 33 19970601)
  • 트위스트 김 (사랑의 경매. 35 19970615)
  • 윤순홍, 최란 (강도와 구두. 38 19970706)
  • 김을동 (고추 먹고 맴맴. 40 19970720)
  • 이경심, 정욱 (좋은 친구들. 43 19970810)
  • 이계인, 최재원 (질투. 46 19970831)
  • 박형준 (폼생폼사. 48 19970914)
  • 이경진 (STAR START. 51 19971005)
  • 설수진 (영범의 독립선언. 52 19971012)
  • 최지나 (운계에게 무슨 일이 생겼나?. 55 19971102)
  • 최성국 (시 읽어주는 남자. 59 19971130)
  • 차승원 (짐작과는 다른 일들. 95 19980816)
  • 서혜린 (남자 vs 여자. 96 19980823)
  • 이숙 (악동과의 한판승. 97 19980830)
  • 최선규, 유피 (LA 아리랑 만들기. 100 19980920)
  • 오지명, (꼬리가 길면 밟힌다. 101 19980927)
  • 전철우 (오마니 우리 오마니. 102 19981004)
  • 핑클 (영범 발에 족쇄 달기. 104 19981018)
  • 젝스키스 (장모의 날. 105 19981025)
  • 김주영 (네 이웃의 여자를 엿보지 마라. 108 19981115)
  • 오승룡 (인터넷 속의 세 여자. 110 19981129)
  • 로버트 할리 (우리 엄마는 왕따. 119 19990131)
  • 유진박, 남능미 (발렌타인데이에 무슨 일이 생겼나?. 121 19990214)
  • 박영규 (내 사랑 내 곁에. 122 19990221)
  • 조형기(빌리), 트위스트 김, 라나(쏘나) (빌리가 나타났어요. 128 19990404)
  • 최성훈 (좋은 세상 만들기. 129 19990411)
  • 서인석 (LA의 잠 못 드는 밤. 130 19990418)
  • 김기현, 정은숙 (LA 한일전. 131 19990425)
  • 김은우 (남편은 남자보다 강하다. 133 19990509)
  • 클론, 김성민 (복제인간 대소동. 134 19990516)
  • 이병철 (그날 밤 무슨 일이 있었나?. 137 19990606)
  • 박윤배, 김종국 (인생 최고의 순간. 138 19990613)
  • 임현식, 조갑경 (LA 브라더스. 142 19990711)
  • 서학 (ONLY YOU. 150 19990905)
  • 쟈니윤 (쟈니윤을 잡아라. 152 19990919)
  • 원기준 (크리스마스의 기적. 165 19991219)
  • 이재포 (웅담과 모피에 관한 진실. 170 20000213)
  • 김성겸 (러브 러브 허리케인. 176 20000326)

OST 편집

  • 1. PROLOGUE (연주곡)
  • 2. 이제부터 영원까지
  • 3. 꿈이 있으니까
  • 4. 남모르는 미소
  • 5. 이제부터 영원까지 (연주곡)
  • 6. PACIFIC COAST HIGHWAY
  • 7. TEQUILA TOAST
  • 8. COAST TO COAST
  • 9. THE SOUNDGRAPHY
  • 10. 이제부터 영원까지 (반주곡)

참고 사항 편집

  • 초기의 제작 기획은 성공한 미국 이민 1세대 의사 가정을 배경으로 제작될 예정이었다. 그러던 중 홍세봉 변호사가 1990년대 초반에 한국에서 발매한 자작곡 앨범 <길>에 수록된 곡 중 하나인 <이제부터 영원까지>를 LA 아리랑 감독이 듣고 주제곡으로 선정하게 되면서, LA로 연출가와 작가등 제작진이 찾아가서 직접 홍세봉 변호사와 미팅을 가진 뒤 이야기의 배경이 변호사 가정으로 변경되었다.
  • 극중 변호사 김세윤 역은 홍세봉 변호사를 실제 모델로 하였다. 홍 변호사는 <LA아리랑>의 대본 작성 및 법률 부문, LA 현지 생활 실태 등 모든 면에 관심을 갖고 자문에 응했으며 자신이 직접 작사, 작곡한 시트콤 주제가 <이제부터 영원까지>도 부르는 등 다방면의 재능으로 직접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20]
  • 실제 방청객을 앞에 두고 녹화하면서 웃음소리를 사실적으로 담아내었다.[21]
  • 이 드라마의 주조연 및 단역을 포함한 역대 총 출연진 중 최고령 출연자는 남성 판소리 국악인 박동진이며, 차고령 출연자는 여성 원로 영화배우 엄앵란이다.
  • 1996년 10월 13일에서 1997년 4월 20일까지 일요일 오전 9시에 방영되었는데, 1999년 7월 4일까지 출연했던 이영범은 <LA 아리랑>이 일요일 아침 시트콤으로 변경됨에 따라 본인이 출연해 온 작품이면서 이 프로그램과 1996년 10월 13일부터 1997년 3월 2일까지 동시간대에 경쟁한 KBS 2TV 일요아침드라마 <귀여운 여자>에서 하차했다.[22]
  • 1997년 4월 27일부터 일요일 오전 9시 50분에 방영될 당시 MBC 사랑의 스튜디오와 경쟁하였다.
  • 1999년 7월 11일, 제목을 그대로 둔 채 차기 새 시즌을 비롯한 새 출연자들, 새 가정을 모델로 등장시키면서 시청자들의 혼란을 초래하였다.[23]

결방 편집

월~목 9시 20분 일일 시트콤 편성 당시 결방 편집

  • 1995년 8월 14일 - 드라마 《장희빈》 50~51회 연속
  • 1995년 8월 15일 - 2부작 특집극 <국화와 칼> 편성에 따라[24] 드라마 《장희빈》과 동시 결방
  • 1995년 9월 26일 - 5시 55분부터 프로야구 <롯데 VS 해태> 중계 편성[25]
  • 1995년 10월 4일 - 프로야구 플레이오프 2차전 <롯데 VS LG> 중계 편성
  • 1995년 10월 9일 - 프로야구 플레이오프 5차전 <롯데 VS LG> 중계 편성
  • 1995년 10월 17일 -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3차전 <OB VS 롯데> 중계가 연장전까지 가서

월~금 9시 20분 일일 시트콤 편성 당시 결방 편집

  • 1995년 11월 14일 - 9시부터 창사 5주년 3부작 특집극 <인생> 편성[26]
  • 1996년 1월 1일 - 8시 50분부터 신년 특선영화 《유치원에 간 사나이》편성[27]
  • 1996년 1월 2일 - 8시 50분부터 2부작 개그 드라마 <친정아버지> 편성[28]
  • 1996년 2월 19일 - 8시 30분부터 구정특집 2부작 드라마 《곰탕》편성[29]
  • 1996년 2월 20일 - 《야망의 불꽃》이 9시부터 39~40회 연속 편성되어 《자전거를 타는 여자》가 9시 30분으로 이동했고 이 때문에 결방
  • 1996년 3월 1일 - 3부작 특집극 《안중근》편성[30]
  • 1996년 3월 21일 - 8시 50분부터 올림픽 축구예선 <한국 VS 중국> 중계 편성[31]
  • 1996년 4월 11일 - 특집 《SBS 8 뉴스》편성
  • 1996년 4월 19일 - 6시 50분부터 <2002 월드컵 유치기원 축제> 편성
  • 1996년 5월 16일 - 8시부터 2002 월드컵 유치기원 국제축구대회 <한국 VS 스웨덴> 중계 편성[32]
  • 1996년 5월 17일 - 민영TV의 날 특선영화 《황비홍 3》편성[33]
  • 1996년 5월 31일 - 8시 50분부터 <서울대 개교 50주년 축하 대공연> 편성[34]
  • 1996년 6월 25일 - 8시 50분부터 6.25 특집 2부작 드라마 <구하리의 전쟁> 편성[35]

일요일 오전 편성 당시 결방 편집

  • 1997년 12월 14일 - <대통령후보 초청 합동 토론회> 편성
  • 2000년 1월 2일 - 오전 8시부터 신년특집 <잉꼬부부 재치부부> 편성에 따라[36]달콤한 신부》가 9시 40분으로 이동하여 결방
  • 2000년 2월 6일 - 설 특선만화 《포켓몬스터》3부(마지막) 편성[37]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손정인 (1999년 7월 1일). “《방송가》… `LA아리랑` 11일부터 새단장”. 국제신문. 2021년 7월 30일에 확인함. 
  2. 김갑식 (1999년 8월 9일). “SBS시트콤 'LA아리랑' "어,언제부터 여운계가 엄마야?". 동아일보. 2021년 7월 30일에 확인함. 
  3. 이무경 기자 (1996년 10월 10일). “시트콤 'LA아리랑' 컴백”. 경향신문. 
  4. 시즌 1기 캐릭터 김세윤 한인 변호사(극중 청주 김씨 집안의 5대 독자 김세윤 변호사 그는, 1984년 빙부상, 1986년 친조모상, 1988년 모친상, 1991년 부친상, 1994년 친조부상 등을 치름.)는 1946년 당시 미군정 조선국 시대 말기 서울(마포 용강동)의 청주 김씨 부잣집 후손 집안(김세윤 아버지는 1991년 하세한 김종재 변호사, 김종재 그는 법학 석사 출신으로 일제 시대 충청북도 청원 현도면 현도리 소재 부농가 대농 집안의 맏 자제(1994년 하세한 할아버지 김창호 소아 내과 의사 겸 전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객원교수와 그 부인 내외의 슬하 1남 2녀 3남매 중 첫째 김종재 변호사), 1925년생~1991년졸, 향년 67세.)의 부잣집 둘째 자제(1남 2녀 중 둘째)로 출생한 LA 교포 출신으로 청주 김씨 후손이고, 그의 친할아버지(김창호 의학박사, 대한제국 충청북도 청원 현도면 현도리 소재 부농가 대농 집안의 후손 출신, 1908년생~1994년졸, 향년 87세.)는 의학박사소아 내과 전문의 출신이자, 전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객원교수 출신으로, 1958년 4월 21일, 서울교동국민학교 6학년 1학기 재학 시절 당시 일가족들과 같이 함께 미국 LA 이주.
  5. 시즌 1기 캐릭터 여운계 여사는 1932년 11월 11일 일제강점기 조선 시대 평안북도 영변 지역에서 함양 여씨 부농가 대농 집안의 막내 여식(1남 3녀 중 막내딸)으로 출생하여 1945년 2월, 일제 시대 말기 평북 영변국민학교 졸업을 하자마자 친정 일족들과 같이 함께 일제 강점기 조선국 시대 말기 수도(경성부)로 전격 이주하여 같은 해 1945년 경성부(서울)에서 을유 광복(8.15)을 목도 후 이듬해 1946년 당시 15년 연상의 충주 박씨 뱀띠 후손(박수철, 1917년생~1984년졸, 향년 68세.)과 결혼하였으며 1968년 당시 일가족들과 같이 함께 미국 LA 이주. 1984년 53세 당시 부군(박수철)을 상배.
  6. 경상남도 밀양 지역에서 동래 정씨 부농민 집안의 후손으로 출생하여 1968년 당시 일족들과 모두 함께 미국 이주.
  7. 강원도 춘천 지역에서 평창 이씨 부농민 집안의 후손으로 출생하여 1957년 초등학교 2학년 당시 일족들과 모두 함께 미국 이주.
  8. 시즌 2기 캐릭터 김세윤 한인 변호사는 1941년 당시 일제강점기 조선국 시대 말기 경기도 인천 제물포(북성동)의 평양 김씨 부잣집 막내 자제(2남 3녀 중 넷째이자 막내아들)로 출생. 시즌 1기 캐릭터(변호사 김세윤)의 동성이본 내종 5촌 아저씨(시즌 1기 변호사 김세윤 선친(김종재 - 청주 김씨 후손.)의 친가친척 고종사촌 남동생). - 1958년 4월 21일, 서울경복고등학교 2학년 1학기 재학 시절 미국 LA 이주.
  9. 변호사 김세윤의 1년 연하녀 아내.
  10. 시즌 2기 여운계 여사는 닭띠 1921년 12월 9일 일제강점기 조선국 시대 경상남도 함양 지역에서 함양 여씨 부농가 대추나무 골목길 대농 집안의 막내 여식(2남 1녀 중 막내 고명딸)으로 출생하여 1934년 당시 일제 시대 말기 경남 함양보통학교 졸업을 하자마자 일제 시대 수도 경성부(서울)로 전격 이주하였으며 이듬해 1935년 당시 13년 연상의 밀양 박씨 원숭이띠 후손(박창배, 1908년생~1988년졸)과 결혼 후 1968년 당시 일가족들과 같이 함께 미국 LA 이주. 1988년 당시 부군(박창배)을 상배.
  11. 경기도 파주 지역에서 교하 노씨 부농민 집안의 후손으로 출생하여 1973년 초등학교 2학년 당시 일족들과 모두 함께 미국 이주.
  12. 1949년 충청북도 진천 지역에서 용인 이씨 부농민 집안의 후손으로 출생하여 1956년 초등학교 1학년 당시 일족들과 모두 함께 미국 이주.
  13. 시즌 2기 캐릭터 김은영(미국 교포 3세)은 1971년 당시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지역에서 평양 김씨 부잣집 막내 여식(2남 3녀 중 다섯째로 막내이자 막내딸)으로 출생.
  14. 시즌 2기 캐릭터 김달수(미국 교포 3세)는 1964년 당시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상산 김씨 후손(일제 시대 경상북도 상주 지역에서 태어난 이른바 미국 교포 2세 출신의 아버지 김강산 부부)의 아들로 출생.
  15. 시즌 3기 캐릭터 여운계 여사는 시즌 2기 캐릭터(여운계 여사)의 친정댁 친가 6촌 언니. - 1925년 2월 15일 일제강점기 조선 시대 경상북도 성주 지역에서 함양 여씨 부농가 박달나무 골목길 대농 집안의 막내 여식(3남 3녀 중 막내딸)으로 출생하여 1937년 2월, 일제 시대 말기 경북 성주보통학교 졸업을 하자마자 일제 강점기 조선국 시대 말기 경기도 수원(화성 행궁 마을 근교)으로 전격 이주하여 3년 후 1940년 7년 연상의 신안 주씨 말띠 후손(주찬우)과 결혼하였고 그로부터 5년 후 1945년 경기도 수원(화성 행궁 마을 근교)에서 광복(8.15)을 목도하였으며 그 이후 1971년 당시 일가족들과 같이 함께 미국 LA 이주. 1991년 당시에 부군(주찬우)을 상배.
  16. 1946년 당시 미군정 조선국 시대 말기 경기도 수원(팔달산 산자락 옆동네 상록수 마을)에서 출생.
  17. 1952년 경기도 수원(팔달산 산자락 옆동네 상록수 마을)에서 출생.
  18. 1963년 경기도 수원(팔달산 산자락 옆동네 상록수 마을)에서 출생.
  19. “배한성·송도순 드라마 출연”. 경향신문. 1995년 9월 30일. 2016년 9월 26일에 확인함. 
  20. “[방송가] 변호사가 드라마주제가 불러 화제..'LA아리랑'서”. 한국경제신문. 1995년 7월 6일. 2016년 5월 13일에 확인함. 
  21. 윤여수 (2015년 10월 20일). “[스타 그때 이런 일이] 주간시트콤 ‘LA아리랑’ 첫 선”. 스포츠동아. 2016년 5월 13일에 확인함. 
  22. 정재왈 (1996년 10월 5일). “새 황금시간대 일요 아침드라마 경쟁 후끈”. 중앙일보. 2016년 5월 13일에 확인함. 
  23. “이상한 ‘LA아리랑’ 시청률 유지 편법에 어리둥절”. 서울신문. 1999년 7월 13일. 2016년 5월 13일에 확인함. 
  24. “日(일)극우파 피살사건”. 조선일보. 1995년 8월 15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25. “해태 對(대) 롯데 마지막 경기 「95 프로야구 해태 대 롯데」 〈SBS 오후5.55〉”. 동아일보. 1995년 9월 26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26. “드라마「인생」(SBS·오후9:00)”. 경향신문. 1995년 11월 14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27. “「유치원에 간 사나이」〈SBS 밤 8.50〉”. 동아일보. 1996년 1월 1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28. “친정아버지 (SBS·오후8:50)”. 경향신문. 1996년 1월 1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29. “온가족 정겨움에 안방극장도 훈훈한 잔치”. 한겨레신문. 1996년 2월 18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30. 윤정호 (1996년 3월 1일). “77번째 삼일절…다양한 특집방송”. 조선일보.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31. “스포츠「올림픽축구 아시아지역 최종예선 한국—중국」〈KBS 1 밤8.55 SBS 밤 8.50〉”. 동아일보. 1996년 3월 21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32. 박병수 (1996년 5월 16일). “오늘밤 스웨덴과 친선 축구”. 한겨레신문.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33. “기상천외한 무술과 진솔한 사랑이야기 ★영화「황비홍 3」 (SBS·오후9:20)”. 경향신문. 1996년 5월 17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34. “서울대개교50주년 축하 대공연〈SBS 오후 8시50분〉”. 매일경제. 1996년 5월 31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35. “6.25특집드라마「구하리의 전쟁」(SBS·오후8:50)”. 경향신문. 1996년 6월 25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36. “[TV가이드/2일]”. 동아일보. 2000년 1월 1일.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37. 황종숙 (2000년 2월 4일). “설 연휴 방송사, 만화영화 풍성”. 세계일보. 2022년 10월 13일에 확인함. 
SBS 일일 시트콤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