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8년 1월) |

가야(한국 한자: 伽倻)는 삼국시대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던 한국의 고대 국가 연맹체이다. 가락(駕洛) 또는 가라(加羅, 伽羅, 迦羅, 柯羅)라고도 한다. 삼한 중 하나인 한반도 중남부 현재 김해시에 위치했던 변한의 금관가야(구야국)를 중심으로 변한의 12개 소국을 결집해 성립된 전기 가야 연맹이며 고구려의 공격으로 금관가야 중심의 전기 가야 연맹이 약화되자 5세기 ~ 6세기 경 대가야를 중심으로 후기 가야연맹체을 만들었다. 562년에 사라졌다. 가야왕(王)의 이름은 일본서기에서 나타나는 "기능말다간기(己能末多干岐)"와 "기본한기", "우사기아리질지간기(于斯岐阿利叱智干岐)"가 있다. 이것으로 보아 가락국의 왕(王)은 신라와 마찬가지로 "간(干, Xаан)"이라는 호칭으로 불린 것으로 보인다.
가야 伽耶 | ||||||
---|---|---|---|---|---|---|
국가 | 금관가야 | 대가야 | 아라가야 | 고령가야 | 성산가야 | 소가야 |
현 위치 | 김해시 | 고령군 | 함안군 | 상주시 | 성주군 | 고성군 |
군주 -건국군주 -멸망군주 |
10 왕 수로왕 구형왕 |
16 왕 이진아시왕 도설지왕 |
10왕 아로왕 가실왕 |
3왕 고로왕 이현왕 |
3 왕 벽로왕 유충왕 |
9 왕 말로왕 이형왕 |
국성 | 김해 김씨 | (실전) | (실전) | 함창 김씨 | (실전) | 고성 김씨 |
성립 | 42년 | 42년 | 42년 | 42년 | 42년 | 42년 |
멸망 | 532년 | 562년 | 561년 | 254년 | 400년경 | 554년 |
![]() | ||||||
4세기 혹은 5세기 말 ~ 6세기 초의 가야. |
역사 편집
전기 가야연맹 편집
전기 가야연맹은 김해 지방에서 생산되는 질 좋은 철을 바탕으로 국력을 키웠으며 왜 등지와 교역을 하기도 했었다.
전기 가야연맹의 철기 문화는 뛰어난 수준으로 평가되고있다. 당초에 변한(弁韓)은 각국의 왕들이 마한의 왕에게 임명된 마한 사람일 정도로 마한의 지배를 받았다. 인근의 진한도 마찬가지였었다. 기원전 1세기에 진한이 사로국을 중심으로 결집해 마한으로부터 독립하고 서기 9년에 마한이 백제에 패망해 합병되는 등 마한의 영향력이 소멸하여가자 기원후 1세기를 전후해 기존 변한의 소국들은 김해의 구야국을 중심으로 국제무역을 기반으로 개별적으로 발전하면서 다소 엉성한 국가연맹체를 구성했었다.
구야국(금관가야)의 왕위를 두고 구야국왕인 수로왕이 신라 사람인 석탈해와 왕권다툼을 벌여 이겼고 석탈해는 신라로 돌아가 탈해이사금이 되었다. 탈해이사금 21년인 77년에는 황산진(黃山津) 어구에서 신라와 분쟁이 벌어지고 94년에는 전기 가야연맹 군이 마두성(馬頭城, 현 양산시 물금읍)을 함락하고 96년에도 가야군과 신라군의 분쟁이 벌어졌다. 115년에는 신라군이 전기 가야연맹을 침공했다가 다시 황산하(黃山河, 현 낙동강)에서 대참패하고 물러났다. 231년에는 감로국이 신라에 병합되고 전기 가야연맹은 철 공급권을 이용해 일본의 소국들로부터 병력을 수입하고 그들을 부추겨 신라를 공격했다. 전기 가야연맹과 신라는 초기부터 경쟁 관계였다. 그러나 가야는 당시 중국(한사군 포함), 일본의 소국들, 마한, 동예, 신라를 제외한 진한의 소국들에게까지 영향력을 행사해 사실상 신라가 4세기 중반까지 가야에 밀렸다.
전기 가야연맹의 구야국은 지금의 김해평야인 고김해만이라는 옛 바다를 천혜항구로 무역을 발달시켰던 전형적인 상업국가로 외국의 선진문물을 받아들여 문화를 발전시키고 이를 또 왜와 변한에 공급하여 중계무역으로 이득을 보면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중국과 왜도 변진과 전기 가야연맹의 철을 수입하였다. 왜는 당시에 제철 기술 등이 전무해 전적으로 전기 가야연맹의 철에 의지했다. 3세기를 전후해 구야국이 무역을 독점하고 구야국과 여타 소국간에 부의 불평등이 야기되면서 내부결속마저 깨지기 시작했다. 골포국(창원), 고사포국(고성), 사물국(사천) 등의 전기 가야연맹의 소국들과 침미다례의 불미국 등 남해안 8개 나라가 전기 가야연맹에서 이탈해 포상팔국을 결성하고 전기 가야연맹에 대항했다. 포상팔국은 안라국을 침공하고 심지어 신라와도 항쟁하는 등 한때 극성했지만 결국 전쟁에서 쇠퇴하기 시작하고 신라의 도움으로 전기 가야연맹이 이들을 간신히 평정할 수 있었다. 포상팔국 전쟁에서 신라를 끌여들이고 전기 가야연맹의 맹주였던 구야국의 지위가 흔들리면서 소국간의 관계가 소원해지고 백제가 중국 요서와 평양 남쪽으로 진출하면서 구야국을 중심으로 짜인 해상무역 네트워크를 위협하고 신라가 낙동강 연안으로 진출하면서 낙동강 수로의 지배권을 놓고 분쟁했다.
4세기말 고구려와의 항쟁에서 연패하고 있던 백제는 고구려와 제휴하던 신라에 앙심을 품었고, 결국 백제와 금관가야, 왜국이 연합하여 신라를 대대적으로 침공했다. 연합군은 신라군보다 강력하여 서라벌 남쪽의 남천에서 신라군을 격파한 뒤 신라의 서라벌을 함락하나,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원군(援軍)이 동원되고 신라가 구원되었다. 연합군이 궤멸당하고 남쪽으로 후퇴해, 결국 고구려와 신라의 연합군이 구야국을 패망시키고 전기 가야연맹은 와해되었다. 고구려는 종발성을 공격했고 구야국은 옛 김해만과 낙동강 유역의 지배권을 상실했으며 경제 기반이었던 해상 무역도 거의 불가능해졌다. 고령지방의 대가야가 이후 후기 가야연맹의 주도권을 갖게 된다.
후기 가야연맹 편집
옛 변한지역은 가야가 고구려와 신라의 공격으로 패망하자 한동안 혼란을 겪었었다. 그 시기를 전후해 그때까지 변한의 일각을 차지하고 있던 내륙의 반파국이 가락국의 망명객을 받아들이고 급속히 세력을 팽창하면서 가야의 주도권을 잡고 반파국을 중심으로 소위 후기 가야연맹대가야를 형성했다. 475년 고구려 장수왕이 군대를 보내 백제를 침범하고 패망시키고 백제를 압박했다. 중앙집권적국가체제를 정비한 대가야는 신라의 낙동강수로와 옛 김해만 대신으로 백제의 섬진강 유역을 장악하고 섬진강 유역은 새로운 무역항이자 새로운 무역기반이 되고 전북에서 남원, 진안, 임실, 장수 일대에 기문지방이 이루어지고 전남에서는 모루(牟婁, 광양), 사타(娑陀, 순천), 상, 하다리(여수) 등의 지역을 장악해 소위 섭라지방이 형성되고 대가야는 전성기를 이루었다. 섭라지방에서 산출된 옥은 고구려로 수출되고 고구려는 옥을 북위와의 무역에서 중요 결제 수단으로 사용되었고 대가야는 일본과의 무역 주도권을 잡았다. 479년에 가야는 남제에 사신을 보내고 국제 사회에 이름을 알리고 481년에 백제와 연합하여 백제의 고구려와 신라의 전쟁에 대가야 군이 동원되고 신라를 구원하였다.
쇠퇴 편집
475년 백제의 동성왕은 국가체제를 재정비하고 고구려와 북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무령왕은 다시 세력을 확충했다.
494년 가야연맹은 22개국에 달하여 경상남도를 최초로 장악한다.512년(백제 무령왕 12년)에 대가야가 지배하고 있던 기문지방과 상,하다리·사타(娑陀)·모루(牟婁) 등의 4현(縣)을 돌려받게 되고 가야는 15국으로 줄어든다.
513년 3월 반파는 자탄(子呑), 대사(帶沙)에 성을 쌓아 만해(滿奚)까지 연결하고 봉화대와 군량고를 만들고 이열비(爾列比), 마수비(麻須比)에 성을 쌓고 마차해(麻且奚)와 추봉(推封)에 연결하고 군과 무기를 모으고 신라와 화친하였다. 6세기 초 백제는 무령왕때 남진 정책을 피어 대가야는 호남 동부를 잃었다.대가야는 522년 신라와 결혼동맹을 맺었지만 신라는 가야와의 외교분쟁을 야기하고 529년 탁기탄(啄己呑, 경남 밀양)을 점령하고 후기 가야연맹의 소국들은 대가야 조정을 불신하게 되고 대가야는 무산되었다.
이후 아라가야가 위기를 느끼고 3월 안라회의를 개최하여 다시 가야를 살리려 하지만 회의에서 백제와 신라는 다른 마음을 품게 된다. 531년 백제가 아라가야를 소국으로 만들었으며 신라는 532년 금관가야를 멸망시킨다. 538년 탁순국의 마지막왕인 아리사등이 신라에 항복하여 멸망한다.
541년과 544년 1,2차 사비회의가 성왕의 주도하에 열리고 일본 사신과 대가야,아라가야,소가야,산반하,걸손,졸마, 사이기,다라의 8개 가야소국의 대표가 모여 회의를 하나 무산되었고 548년 아라가야는 고구려에 도움을 요청하여 백제를 공격한다. 하지만 신라의 개입으로 고구려와 아라가야가 패하며 3년 뒤 백제와 신라와 가야연맹은 한강유역을 빼앗는 것에 성공한다.
554년 관산성전투가 열리게 된다. 이 전투에서 백제 성왕이 전사하였고 소가야와 사물국이 멸망하게 된다. 555년 신라는 창녕군에 완산주를 설치한 뒤 남은 가야 10국을 공격한다. 그 뒤 557년부터 신라는 가야를 침공하고 559년경 임례,자타,걸손,졸마,사이기,산반하의 6개국이 신라에 복속되었으며 561년 2월 신라는 아라 파사산을 공격하여 아라가야를 멸망시키고그곳에 성과 비석을 설치한다. 562년 1월 남은 3국 중 다라국,거열국이 신라에 멸망하였고 562년 9월 결국 마지막 대가야를 멸망시켜 복속하였다.
가야의 위치 변천 편집
본래 이름 | 중심 지역 | 현재 위치 |
---|---|---|
금관국(金官國) | 가락국(駕洛國) | 경상남도 김해시(金海市) |
고동람국(古冬攬國) | 반파국(伴跛國) | 경상북도 고령군(高靈郡) |
아라국(阿羅國) | 안라국(安羅國) | 경상남도 함안군(咸安郡) |
고자국(古自國) | 고사포국(古史浦國) | 경상남도 고성군(固城郡) |
성산국(星山國) | 벽진국(碧珍國) | 경상북도 성주군(星州郡) |
비화국(非火國) | 불사국(不斯國) | 경상남도 창녕군(昌寧郡) |
지역 | 변한 변진. 진한 | 가야(1~5세기) | 대가야, 우륵의 12곡(5~6, 5세기) | 신라군현 | 6가야(고려시대) |
---|---|---|---|---|---|
고령군 | 반로국(半路國) | 반파국(伴跛國) | 상가라도(上加羅都) | 고령군(高靈郡) | 대가야(大伽倻) |
김천시 | 감로국(甘路國) | 감문국(甘文國):진한 | 신라영토 | ||
성주군 | - 원래 신라영토 - | 본피현(本彼縣)/벽진군(碧珍郡) | 성산가야(星山伽倻) | ||
청도군 | 우유국(優由國):진한 | 이서국(伊西國) | -신라영토- | ||
상주시 함창읍 | 진한 사벌국 | -원래 신라영토 - | 고령군(古寧郡) | 고령가야(古寧伽倻) |
지역 | 변한 변진 | 가야/포상팔국(1~5세기) | 대가야, 우륵의 12곡(5~6, 5세기) | 신라군현 | 6가야(고려시대) |
---|---|---|---|---|---|
밀양시 | 미리미동국(彌離彌凍國) | 탁기탄(啄己呑), 추봉(推封) | 밀성군(密城郡) | ||
밀양시 삼랑진읍 | 마차해(麻且奚) | 밀진현(密鎭縣) | |||
창녕군 영산면 | 마수비(麻須比) | 상약현(尙藥縣) | |||
고성군 | 고자미동국(古資彌凍國) | 고사포국(古史浦國) | 고자국(古自國)/ 고(구)차국(古(久)嵯國) | 고성군(固城郡) | 소가야(小伽倻) |
산청군 단성면 | 고순시국(古淳是國) | 걸손(乞飡) | 궐성군(闕城郡) | ||
진주시 | 자타(子他), 자탄(子呑) | 거타주(居陀州), 강주(康州) | |||
의령군 | 임례국(稔禮國) | 의령현(宜寧縣) | |||
의령군 부림면 | 사이기(斯二岐), 이열비(爾列比)/이사(爾赦) | 의상현(宜桑縣) | |||
거창군 | 거열(居列) | 거창군(居昌郡) | |||
하동군 | 대사(帶沙) | 하동군(河東郡) | |||
하동군 악양면 | 악노국(樂奴國) | 악양현(岳陽縣) | |||
합천군 | 다라(多羅) | 대야성(大耶城), 강양군(江陽郡) | |||
합천군 초계면 | 초팔국(草八國):진한 | 사팔혜(沙八兮) | 팔계현(八谿縣) | ||
합천군 삼가면 | 산반해/하(散半奚/下) | 가수현(嘉壽縣) | |||
사천시 | 사물국(史勿國) | 사물(思勿) | 사수현(泗水縣) | ||
사천시 곤양 | 군미국(軍彌國) | 곤미(昆彌) | 하읍현, 성량현 | ||
창원시 | 미오야마국(彌烏邪馬國) | 골포국(骨浦國) | 탁순국(卓淳國) | 의안군, 합포현 | |
함안군 | 안야국(安邪國)/안라국(安羅國) | 하가라도(下加羅都) | 함안군(咸安郡) | 아라가야(阿羅伽倻) | |
함안군 칠원읍 | 변진접도국(弁辰接塗國) | 칠포국(漆浦國) | 구례모라(久禮牟羅) | 칠제현(漆堤縣) | |
부산광역시 동래 | 독로국(瀆盧國) | 종발성(從拔城) | 신라영토 | ||
김해시 | 구야국(句倻國, 狗邪國) | 가락국(駕洛國) | 금관국(金冠國) | 김해경 | 금관가야 |
지역 | 마한, 침미다례 | 대가야, 우륵의 12곡(5~6, 5세기) | 신라군현 |
---|---|---|---|
남원시 | 고랍국 | 하기물(下奇勿) | 남원경 |
장수군, 임실군 | 상기물(上奇勿) | 청웅현(靑雄縣) | |
순천시 | 사타(娑陀) | 승평군(昇平郡) | |
광양시 | 물혜(勿慧)/모루(牟婁) | 희양현(晞陽縣) | |
여수시 | 상다리(上哆唎), 달이(達已) | 해읍현(海邑縣) | |
여수시 돌산읍 | 하다리(下哆唎) | 돌산현(突山縣) |
6란(六卵) 설화 편집
《삼국유사》 가락국기에는 9명의 간들이 하늘에 빌어 “하나의 자줏빛 끈이 드리워지고 6개의 둥근 알이 내려왔는데, ‘다섯은 각기 읍으로 돌아가고 하나만 이 성에 남았구나’하고 그 하나는 수로왕이 되고 다섯은 각각 5가야의 주인이 되었다.”라고 나와 있다. 나라가 없던 때에 백성들이 하늘의 명을 받아 구지봉에 올라 “거북아,거북아 머리를 내놓아라, 내놓지 않으면 구워먹으리”하며 제사를 지내자, 하늘에서 붉은 도자기에 쌓인 황금 알 여섯 개가 내려왔다. 10일이 지난 후 가장 먼저 깨어 나온 수로를 백성들은 가락국의 왕으로 모시고, 나머지 다섯 알에서 나온 사내아이들은 각각 5가야의 왕이 되었다.
가야의 문화 편집
가야인들은 신라사회에 편입하면서 정치와 군사, 문화에서 활약을 하였다.
금관국의 왕족인 김씨 일족은 신라의 진골귀족으로 편입되었고 금관국의 김구해(金仇亥)의 손자 김무력(金武力)은 관산성 전투에 참전하는 등 신라 장군으로 활약하고 김무력의 손자인 김유신과 김흠순 형제는 신라의 삼국통일에 기여하면서 왕실과 혼인관계를 맺었었다. 금관국의 김씨 일족에 연원을 둔 김해 김씨는 한국의 주요성이다.
신라로 망명한 우륵이 가야금을 가져 왔다.
일본과의 관계 편집
전기 가야연맹은 중국과 북방에서 들여온 철기문명을 바탕으로 다양한 마구와 판갑을 이용·활용한 조직적인 군대를 운용한 선진 군사문화를 이루고 이를 왜에 전파했다. 왜는 6세기 초까지 제련로를 만들지 못하고 조직적인 군대 운용의 흔적이 없었다.
대표적인 유물들 편집
-
대가야 왕릉
-
대가야 금관, 장신구
-
대가야 귀걸이
-
가야 소국의 각배
-
토기
-
금관가야 방패 장신구
-
대가야 투구
-
김해 대성동 구야한국(금관가야)철갑
-
용봉무늬환두대도
-
창원 다호리 고분 가야검
-
김해 양동리 가야 검
-
김해 대성동 고적 철갑
-
김해 대성동 고적 철갑
-
김해 대성동 고적 투구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조희승 (1990년 5월 15일). 《일본에서 조선소국의 형성과 발전》. 평양: 백과사전출판사 (대한민국 출판본은 한국문화사에서 펴냄).
- 김태식(1993)가야연맹사-일조각
- 김태식(2002)미완의 문명 700년 가야사1~3권
- 가야제국의 왕권(국제학술회의 논문집)-신서원
- 국사편찬위원회 편집부(1970)한국사 7 (삼국의 정치와 사회3 신라.가야)
- 박영규(2000)한권으로 읽는 백제왕조실록-웅진닷컴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미디어 공용에 가야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위키낱말사전에 가야 관련 글이 있습니다.
- 합천박물관 가야의 역사 Archived 2019년 3월 28일 - 웨이백 머신
-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삼국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