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론대수적 위상수학에서 교차 가군(交叉加群, 영어: crossed module)은 2-군의 데이터를 담고 있는 대수적 구조이다.[1] 구체적으로, 서로 군 준동형작용을 갖는 두 으로 구성된다.

정의 편집

교차 가군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  
  • 군 준동형  
  • 군 준동형  

이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파이퍼 항등식 영어: Peiffer identity)

가환 그림으로 적으면 이 두 조건은 다음과 같다.

 
 

이 개념은 사실 의 범주 속의 내적 범주 또는 범주의 범주 속의 군 대상과 사실상 같다. 전자의 경우, 대상의 군은  이며, 사상의 군은  이다.[2] 이 경우

 
 

이며, 항등 사상은 포함 군 준동형  이다.

구체적으로, 군의 범주 속의 내적 범주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대상의 군  
  • 사상의 군  
  • 항등 사상을 정의하는 군 준동형  
  • 사상의 정의역을 정의하는 군 준동형  
  • 사상의 공역을 정의하는 군 준동형  
  • 사상의 합성을 정의하는 군 준동형  

이는 교차 가군의 데이터와 다음과 같이 대응된다.

교차 가군 군의 범주의 내적 범주
   
   
   
   
   
 ,    
 ,    

편집

정규 부분군 편집

임의의  정규 부분군  이 주어졌을 때,

 
 

로 잡으면, 이는 교차 가군을 이룬다.

가군 편집

다음 두 개념이 서로 동치이다.

  •  군환  왼쪽 가군  
  •   (치역 의 항등원인 상수 함수)인 교차 가군  

증명:

 왼쪽 가군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제,  으로 놓으면, 이는 교차 가군의 데이터를 이룬다 ( 의 군 연산은 가군의 덧셈). 만약  일 때, 교차 가군의 두 조건 가운데 하나는 자명하며 다른 하나(파이퍼 항등식)는  아벨 군임을 의미한다.

반대로,  인 교차 가군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교차 가군의 조건(파이퍼 항등식)에 의하여  아벨 군이며, 작용    위에  -가군의 구조를 정의한다.

즉,  -왼쪽 가군의 범주는  에 대한 교차 가군의 범주부분 범주를 이룬다. 다시 말해, 교차 가군의 개념은 군의 가군의 개념의 일반화이다.

사실, 파이퍼 항등식을

 

와 같이 쓰면, 이는  가 “뒤틀린 교환 법칙”을 따른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중심 확대 편집

짧은 완전열

 

에서,  아벨 군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을 정의하면,  는 교차 가군을 이룬다.

특히, 만약  이며  가 임의의 아벨 군일 경우, 이는 교차 가군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만약  이며  가 임의의 일 경우, 이 역시 교차 가군을 이룬다. 이 경우

 
 

이다.[3]:Example A.9

자기 동형군 편집

임의의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표준적인 군 준동형

 
 

이 존재한다. 즉, 이는 군 원소를 내부 자기 동형에 대응시킨다. 이에 따라,  는 교차 가군을 이루며, 이를  라고 한다.[2]:§2

증명:

파이퍼 항등식은 정의에 따라 성립한다. 나머지 한 조건은

 

이다. 이를 확인하려면, 임의의  에 대하여, 좌변은

 

인데, 우변은

 

이므로, 따라서 이 조건 역시 참이다.

2-기본군 편집

위상 공간  부분 공간   에 대하여,

  (기본군)
  (2차 호모토피 군)

을 정의하고,

 

가 상대 호모토피류의 경계로 정의되는 군 준동형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는 교차 가군을 이룬다.

리 교차 가군 편집

교차 가군  에서, 만약   리 군이라고 하고, 또 모든 작용 및 군 준동형이 매끄러운 함수라고 하자. 이 경우, 교차 가군  의 구조를 그 리 대수에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  라고 할 때, 교차 가군의 구조는 다음과 같이 제한된다.

  • 두 유한 차원 실수 리 대수  ,  
  • 리 대수 준동형   (공역 미분 리 대수)
  • 리 대수 준동형  

이는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무한소 파이퍼 항등식)

특히, 파이퍼 항등식으로부터,  리 괄호가 완전히 결정된다. 따라서,

 
 
 
 

를 정의하면,  는 등급이 0 또는 1인 미분 등급 리 대수이며, 특히 (3차 이상의 괄호들이 모두 0인) L∞-대수의 특수한 경우이다.

역사 편집

존 헨리 콘스턴틴 화이트헤드가 1941년에 최초로 도입하였으며,[4] 화이트헤드는 1949년에 ‘교차 가군’(영어: crossed module)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였다.[5]:453, §2 이에 대하여 화이트헤드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편의상, 상대 호모토피 군과 같은 대수적 성질을 갖는 군에 대하여 이름을 붙이고, 이에 대하여 몇몇 보조 정리를 증명하자. 이러한 군을 ‘교차 가군’[……]이라고 부르도록 하자.

It will be convenient to have a name for groups with the algebraic properties of relative homotopy groups, and to have proved some lemmas concerning them. We shall call such a group a crossed module […].

 
[5]:453, §2

참고 문헌 편집

  1. Noohi, Behrang (2005). “Notes on 2-groupoids, 2-groups and crossed modules” (영어). arXiv:math/0512106. 
  2. Baez, John Carlos; Stevenson, Danny (2008). “The Classifying Space of a Topological 2-Group” (영어). arXiv:0801.3843. 
  3. Schreiber, Urs; Waldorf, Konrad (2008). “Smooth functors vs. differential forms” (영어). arXiv:0802.0663. 
  4. Whitehead, John Henry Constantine (1941). “On adding relations to homotopy groups,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42: 409–428. 
  5. Whitehead, John Henry Constantine (1949). “Combinatorial homotopy Ⅱ”.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55: 453–496. doi:10.1090/S0002-9904-1949-09213-3. MR 30760.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