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의의 콤팩트 단순 리 대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위에
-
-
를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는 킬링 형식이다.
끈 2-리 대수는 실수 벡터 공간으로서 다음과 같다.
-
코쥘 쌍대성에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등급 가환 미분 등급 대수는 다음과 같다.
-
-
-
이 경우, 추가된 2차 리 미분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대하여 대응되는 위상군을 끈 군이라고 한다. 즉, 단일 연결 콤팩트 단순 리 군 의 경우
-
-
이므로, 이는 화이트헤드 탑
-
의 일부를 이룬다. 특히, 의 경우, 이는 직교군
-
-
-
-
의 화이트헤드 탑
-
의 한 성분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2-군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 군
- 군
- 군 준동형
- 계수의 의 3차 코호몰로지류 . 여기서 는 를 통하여 -가군으로 간주한다.
이제,
-
-
-
를 생각하자. 천-사이먼스 형식으로부터, 어떤 1차원 격자
-
로부터 코호몰로지 사상
-
을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정수 에 따라서 이 데이터로 정의되는 2-군 를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코호몰로지류는 연속 코호몰로지가 아니므로 이는 리 군을 정의하지 못한다.[1]:Theorem 1
끈 군 이 존재하며, 이는 짧은 완전열
-
을 갖는다. 여기서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 는 로 여길 수 있다. 이 위상군은 유한 차원 리 군으로 표현될 수 없다.
단일 연결 단순 콤팩트 리 군 에 대하여, 끈군 는 무한 차원 프레셰 리 군으로 표현될 수 있다.[2]
구체적으로, 임의의 무한 차원 분해 가능 힐베르트 공간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사영 유니터리 군 에 노름 위상을 주면, 이는 를 이룬다. 이제, 호모토피 군
-
의 생성원
-
을 고르면, 이를 표현하는 주다발
-
를 고를 수 있다. 또한, 망각 사상
-
이 존재한다. 물론, 군은 스스로 위의 왼쪽 곱셈 함수
-
-
를 갖는다. 즉
-
이다. 그렇다면, 끈 군은 다음과 같다.
-
끈군은 프레셰 리 군으로 구성된 교차 가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1] 이 교차 가군 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 (매끄러운 함수 의 점별 곱셈군인 프레셰 리 군)
- ( 차 아핀 리 대수에 대응되는 프레셰 리 군)
- 는 경로군의, 고리군에 대한 자연스러운 켤레 작용을 아핀 리 대수로 올린 것이다.
- 는 아핀 리 군에서 고리군으로 가는 사영 사상 과, 고리군에서 경로군으로 가는 포함 사상 을 합성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