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空間, 영어: Eilenberg–MacLane space)은 주어진 특정 차수의 호모토피 군을 제외하고 다른 호모토피 군이 모두 자명군위상 공간이다.

정의

편집

  및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  은 다음과 같은 호모토피 군을 갖는 위상 공간이다.

 

만약  이라면,  아벨 군이어야만 한다. 이러한 성질을 갖는 공간은 항상 존재하며, 항상 CW 복합체로 잡을 수 있으며, 약한 호모토피 동치를 무시하면 유일하다.

주어진 아벨 군  에 대하여, 고리 공간 함자  을 통해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스펙트럼을 이루며, 에일린베르크-매클레인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이는   계수의 코호몰로지를 나타내는 스펙트럼이다.

구성

편집

임의의 군   및 양의 정수  이 주어졌으며, 만약  이라면  아벨 군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는 다음과 같이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CW 복합체를 통한 구성

편집

 을 이루는 CW 복합체를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우선,  차원 초구들의 쐐기합 호모토피 군 일 경우 자유군이고,  일 경우 자유 아벨 군이다.

 
 

 표시

 

를 임의로 고르자. 여기서   일 경우 집합   위의 자유군이며  일 경우 집합   위의 자유 아벨 군이다. 그렇다면,  차원 초구들의 쐐기합

 

을 생각하자. 각  에 대하여,  에 대응하는 사상

 

을 고르자. 이 사상을 따라,  차원 세포들을 붙여 CW 복합체  을 만들 수 있다. 그렇다면

 
 

이다. 그러나  은 자명하지 않은 고차 호모토피 군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차례로 다음과 같이 없앨 수 있다.

  •  의 생성원들을 골라, 그 수만큼  차원 세포들을 붙여 이들을 죽인다. 이를  라고 하자.
  •  의 생성원들을 골라, 그 수만큼  차원 세포들을 붙여 이들을 죽인다. 이를  라고 하자.

이와 같이 계속하여 모든  에 대하여  을 정의한 뒤, 그 귀납적 극한

 

을 취하자. 그렇다면   을 이룬다.

분류 공간을 통한 구성

편집

 이산 위상을 주자. 그렇다면, 분류 공간  는 1차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

 

을 이룬다. 이러한 분류 공간은 다음과 같이 단체 복합체로 구성할 수 있다. 우선,  가 다음과 같은 무한 차원 단체 복합체라고 하자.

  •   차원 단체의 집합은  이다.
  •  은 각  에 대하여 면  과 붙여져 있다.

이는 축약 가능 공간이다.   위에는 다음과 같은  작용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몫공간  를 정의할 수 있다. 정의에 따라 이는  이며 고차 호모토피 군을 갖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고차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도 유사한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성질

편집

다음이 성립한다.

 
 

여기서    위의 고리 공간(영어: loop space)이다.

에크먼-힐튼 쌍대성(영어: Eckman–Hilton duality) 및 브라운 표현 정리에 따라, 코호몰로지는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스펙트럼에 의하여 표현된다.

 

특히,

 
 

이다.

  • 첫 등식은  무한 순환군분류 공간  이므로,  -주다발은 1차 코호몰로지류에 의하여 완전히 분류됨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에 대응하는 코호몰로지류는  의 유일한 1차 코호몰로지류의 당김이다.
  • 둘째 등식은  원군분류 공간  이므로, U(1)-주다발 (복소수 선다발)은 2차 코호몰로지류 (천 특성류)에 의하여 완전히 분류됨을 뜻한다. 구체적으로,  에 대응하는 코호몰로지류는  의 2차 코호몰로지  의 생성원의 당김이다.

대표적인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으로는 다음이 있다.

   
  타원면  
  ( 자유군) 원의 쐐기합  
  무한 차원 실수 사영 공간  
  무한 차원 렌즈 공간  
    (종수   콤팩트 가향 곡면)
    ( 매듭)
  무한 차원 복소수 사영 공간  
  초구 위의 무한 차원 짜임새 공간  

유한 차수 원소를 갖는 군  에 대하여,  은 유한 차원 CW 복합체가 될 수 없다.

역사

편집

사무엘 에일렌베르크손더스 매클레인이 도입하였다.[1][2]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Eilenberg, S.; MacLane, S. (1945). “Relations between homology and homotopy groups of spaces”.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46: 480–509. ISSN 0003-486X. 
  2. Eilenberg, S.; MacLane, S. (1950). “Relations between homology and homotopy groups of spaces II”. 《Annals of Mathematics》 (영어) 51: 514–533. ISSN 0003-486X.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