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군론에서 고리군(영어: loop group)은 리 군고리 공간이며, 위상군을 이룬다.[1] 이에 대하여, 반단순 리 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렐-베유-보트 정리 등의 이론을 전개할 수 있다.

정의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매끄러운 함수의 공간

 

위에는 점별 곱셈 및 콤팩트-열린집합 위상을 통해 위상군의 구조를 줄 수 있다. 이를  의,   위의 게이지 변환 군(영어: group of gauge transformations)이라고 한다. 만약  일 때, 이를  고리군이라고 하며,  라고 표기된다.

고리군 위에는 자기 동형의 족

 
 

이 주어지며, 이를 통해 반직접곱

 

를 정의할 수 있다.

양에너지 표현

편집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원군표현

 

이 다음과 같은 꼴이라면, 양에너지 표현(영어: positive-energy representation)이라고 한다.

 

여기서  는 양의 실수 스펙트럼을 갖는 (유계 또는 비유계) 작용소이다.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위의 연속 표현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양에너지 표현(영어: positive-energy representation)이라고 한다.

  •  원군의 양에너지 표현이며,  연속 표현  이 존재한다.

성질

편집

위상수학적 성질

편집

 연결 공간필요 충분 조건 연결 단일 연결 공간인 것이다.

 연결 단일 연결 콤팩트 반단순 리 군이라고 하고, 그 카르탕 부분군 라고 하자. 그렇다면, 올다발

 

이 존재한다.

 의 2차 특이 코호몰로지는 다음과 같다.

 

대수적 성질

편집

아핀 리 대수는 고리군의 리 대수의 중심 확장이다.

표현론

편집

 

에 대하여   위의 복소수 선다발

 

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그 정칙 단면의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을 생각하자. 동차 공간   위에는  의 표준적인 왼쪽 작용이 존재하며, 이는   위의 왼쪽 작용을 유도한다. 즉, 이는  표현을 이룬다.

또한, 만약  에서 양근의 집합을 선택할 경우, 보렐-베유-보트 정리에서의 구성으로서 아벨 군의 동형

 

이 결정된다. 여기서   폰트랴긴 쌍대군(즉,  의 꼴의 군 준동형의 군)이다.

고리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보렐-베유-보트 정리의 일종이 성립한다.[1]:163, Proposition (4.2)

  •  는 0차원이거나 또는  의 기약 양에너지 표현을 이룬다.
  • 반대로,  의 모든 기약 양에너지 표현에 대하여, 이를 위와 같이 구성하는  가 존재한다.
  •  필요 충분 조건은 다음과 같다.
    •  의 모든 양의 쌍대근  에 대하여,  

여기서   리 대수   (즉, 쌍대근의 공간) 위의 표준적인 양의 정부호 대칭 쌍선형 형식이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egal, Graeme B. (1985). 〈Loop groups〉. 《Arbeitstagung Bonn 1984》 (PDF). Lecture Notes in Mathematics (영어) 1111. Springer-Verlag. doi:10.1007/BFb0084589. ISBN 978-3-540-15195-1. ISSN 0075-8434. 2018년 5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월 17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