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는 4년 임기의 제8대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로 1971년 5월 25일에 치러졌다. 각 지역구에서 소선거구제를 통한 직접선거로 153명을 선출하였다. 전국구는 51명을 포함하여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은 모두 204명이다. 입후보 자격을 정당 추천으로 제한하여 무소속은 선출되지 않았다.
![]() | ||||||||||||||||||||||||||||||||||||||||||||||||||||||
제8대 국회의원 선거 | ||||||||||||||||||||||||||||||||||||||||||||||||||||||
| ||||||||||||||||||||||||||||||||||||||||||||||||||||||
| ||||||||||||||||||||||||||||||||||||||||||||||||||||||
|
경과편집
배경편집
신민당은 당수 유진산이 지역구를 포기하고 전국구 후보로 등록하자 당내에 혼란이 일어났다. 이른바 진산 파동으로 불리는 이 사건은 유진산 대표위원이 자신의 출신 지역구인 서울 영등포구 갑을 포기하고 전국구 1번으로 등록하자, 이에 불만을 품은 당내 소장층과 영등포 갑구 당원 등이 강력하게 반발하여 당수직 사퇴를 요구하는 사태로 벌어졌다. 이후 유진산은 당직을 사퇴하였다.
입후보편집
제8대 총선에서는 제7대 총선보다 지역구 의원정수가 22명, 전국구 7명이 증가하여 지역구 153명과 전국구 51명 등이며, 지역구 입후보자는 577명으로 평균경쟁률 3.8 대 1을 나타냈다.
선거결과편집
선거결과 정당별 당선자는 민주공화당이 의원 정수의 55.4%에 해당하는 113명(지역구 86명, 전국구 27명)으로 과반수를 넘는 의식을 차지하게 되었다. 신민당은 89명(지역구 65명,전국구 24명)을 당선시켰고, 국민당과 민중당이 지역구에 각각 1명씩 당선되었고, 나머지 2개 정당은 단 1명의 당선자도 내지 못하였다.
의미편집
이번 총선은 국회를 통해 집권세력을 견제해야겠다는 유권자들의 의지가 투표의 결과로 드러났고, 특히 대도시를 중심으로 야당에 대한 지지가 구심점으로 작용함으로써 양당체제로 정치가 단순화되는 선거였다.
선거 정보편집
투표율편집
- 전국 선거인수 15,610,258명 중 11,430,202명이 투표하여, 투표율은 73.2%를 기록하였다.
서울 | 부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
---|---|---|---|---|---|---|---|---|---|---|---|
투표율 | 59.2 % | 72.1 % | 72.4 % | 78.6 % | 80.2 % | 74.9 % | 76.8 % | 76.7 % | 78.7 % | 79.3 % | 78.4 % |
선거 결과편집
정당 | 득표 | 의석 | ||||||||
---|---|---|---|---|---|---|---|---|---|---|
득표수 | % | ± | 지역구 | ± | 전국구 | ± | 합계 | ± | ||
민주공화당 | 5,460,581 | 48.77 | –1.85 | 86 | –16 | 27 | ±0 | 113 | –16 | |
신민당 | 4,969,050 | 44.38 | +5.80 | 65 | +37 | 24 | +7 | 89 | +44 | |
국민당 | 454,257 | 4.06 | +4.06 | 1 | +1 | 0 | ±0 | 1 | +1 | |
민중당 | 155,277 | 1.39 | –0.27 | 1 | +1 | 0 | ±0 | 1 | +1 | |
통일사회당 | 97,398 | 0.87 | –0.10 | 0 | ±0 | 0 | ±0 | 0 | ±0 | |
대중당 | 59,359 | 0.53 | –1.77 | 0 | –1 | 0 | ±0 | 0 | –1 | |
기권/무효 | 234,280 | |||||||||
합계 | 11,430,202 | 100 | ±0 | 153 | +22 | 51 | +7 | 204 | +29 | |
등록유권자/투표율 | 15,610,258 | 73.22 | ||||||||
출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
지역별 지역구 의원 수편집
지역 | 민주공화당 | 신민당 | 국민당 | 민중당 | 합계 |
---|---|---|---|---|---|
서울특별시 | 1 | 18 | - | - | 19 |
부산시 | 2 | 6 | - | - | 8 |
경기도 | 11 | 4 | - | 1 | 16 |
강원도 | 8 | 1 | - | - | 9 |
충청북도 | 6 | 2 | - | - | 8 |
충청남도 | 11 | 4 | - | - | 15 |
전라북도 | 6 | 6 | - | - | 12 |
전라남도 | 15 | 7 | - | - | 22 |
경상북도 | 15 | 8 | 1 | - | 24 |
경상남도 | 9 | 9 | - | - | 18 |
제주도 | 2 | - | - | - | 2 |
합계 | 86 | 65 | 1 | 1 | 153 |
정당 득표율편집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인 |
---|---|---|---|
민주공화당 | 5,460,581 | 48.8% | 27 |
신민당 | 4,969,050 | 44.4% | 24 |
국민당 | 454,257 | 4.1% | |
대중당 | 59,359 | 0.5% | |
민중당 | 155,277 | 1.4% | |
통일사회당 | 97,398 | 0.9% | |
총합 | 11,195,922 | 51 |
전국구 배분편집
국회의원 선거법에 따라, 지역구 의석이 5석, 득표율이 5% 이상인 민주공화당과 신민당에만 득표율에 따라 각각 27석과 24석이 배분되었다.
당선자편집
지역구편집
색 | 정당 |
---|---|
민주공화당 | |
신민당 | |
국민당 | |
민중당 |
전국구편집
민주공화당 | 신민당 | |
1 | 김종필 | 유진산 |
2 | 정일권 | 김대중 |
3 | 백두진 | 홍익표 |
4 | 길재호 | 김홍일 |
5 | 김형욱 | 김의택 |
6 | 권오병 | 유청 |
7 | 황종률 | 정헌주 |
8 | 이동원 | 이종남 |
9 | 이종우 | 이세규 |
10 | 유봉영 | 편용호 |
11 | 홍승만 | 김준섭 |
12 | 모윤숙 | 채문식 |
13 | 최용수 | 이상조 |
14 | 이해랑 | 신도환 |
15 | 강병규 | 김재화 |
16 | 강성원 | 김용성 |
17 | 문창탁 | 강필선 |
18 | 권일 | 오세응 |
19 | 김성두 | 유성범 |
20 | 신광순 | 정규헌 |
21 | 박태원 | 이대우 |
22 | 박철 | 오홍석 |
23 | 전정구 | 박종율 |
24 | 장덕진 | 김윤덕 |
25 | 이도선 | |
26 | 김현숙 | |
27 | 편정희 |
참고 자료편집
- 국회의원선거법(일부개정 1970.12.22 법률 제2241호)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역대선거정보시스템 보관됨 2012-09-03 - archive.today
각주편집
- ↑ http://www.nec.go.kr/sinfo/index.html 보관됨 2012-09-03 - archive.today 중앙선관위 역대선거정보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