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유클리드 공간 의 열린집합
U
⊆
R
n
{\displaystyle U\subseteq \mathbb {R} ^{n}}
확장된 실수
p
∈
[
1
,
∞
]
{\displaystyle p\in [1,\infty ]}
양의 정수
s
∈
Z
+
{\displaystyle s\in \mathbb {Z} ^{+}}
그렇다면,
U
{\displaystyle U}
위의
(
s
,
p
)
{\displaystyle (s,p)}
차 소볼레프 공간
W
s
,
p
(
U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s,p}(U)}
은 다음과 같은 함수 공간이다.
W
s
,
p
(
U
)
=
{
f
∈
L
p
(
U
)
:
∂
μ
1
⋯
∂
μ
k
f
∈
L
p
(
M
;
K
)
∀
μ
1
,
…
,
μ
k
∈
{
1
,
…
,
n
}
,
k
≤
s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s,p}(U)=\left\{f\in \operatorname {L} ^{p}(U)\colon \partial _{\mu _{1}}\cdots \partial _{\mu _{k}}f\in \operatorname {L} ^{p}(M;\mathbb {K} )\qquad \forall \mu _{1},\dotsc ,\mu _{k}\in \{1,\dotsc ,n\},\,k\leq s\right\}}
여기서
L
p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
는 르베그 공간 이며, 미분 연산자는 분포 에 대한 미분 연산자이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확장된 실수
p
∈
[
1
,
∞
]
{\displaystyle p\in [1,\infty ]}
양의 정수
s
∈
Z
+
{\displaystyle s\in \mathbb {Z} ^{+}}
그렇다면,
M
{\displaystyle M}
위의 매끄러운 함수
f
∈
C
∞
(
M
,
R
)
{\displaystyle f\in {\mathcal {C}}^{\infty }(M,\mathbb {R} )}
에 대하여, 노름
‖
f
‖
W
s
,
p
=
∫
M
(
|
f
|
p
+
(
∂
μ
f
∂
μ
f
)
p
/
2
+
⋯
+
(
∇
μ
1
⋯
∇
μ
s
f
∇
μ
1
⋯
∇
μ
s
f
)
p
/
2
)
det
g
d
n
x
{\displaystyle \|f\|_{\operatorname {W} ^{s,p}}=\int _{M}\left(|f|^{p}+(\partial _{\mu }f\partial ^{\mu }f)^{p/2}+\dotsb +(\nabla _{\mu _{1}}\dotsm \nabla _{\mu _{s}}f\nabla ^{\mu _{1}}\dotsm \nabla ^{\mu _{s}}f)^{p/2}\right)\,{\sqrt {\det g}}\,\mathrm {d} ^{n}x}
을 정의할 수 있다.
C
∞
(
M
,
R
)
{\displaystyle {\mathcal {C}}^{\infty }(M,\mathbb {R} )}
가운데, 이 노름이 유한한 원소들의 공간은 실수 노름 공간 을 이루지만, 이는 완비 거리 공간 이 아니다. 이에 대한 완비화인 실수 바나흐 공간 을
M
{\displaystyle M}
위의 (s ,p )차 소볼레프 공간
W
s
,
p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s,p}(M)}
이라고 한다.[ 4] :10, Definition 2.1
이 정의는
M
{\displaystyle M}
이 유클리드 공간 의 열린집합 일 때 위의 정의와 동치 이다 (마이어스-세린 정리 영어 : Meyers–Serrin theorem )[ 5] .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콤팩트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매끄러운 벡터 다발
E
↠
M
{\displaystyle E\twoheadrightarrow M}
E
{\displaystyle E}
위의 벡터 다발 접속
∇
{\displaystyle \nabla }
E
{\displaystyle E}
위의 내적
η
∈
Γ
∞
(
E
∗
⊗
E
∗
)
{\displaystyle \eta \in \Gamma ^{\infty }(E^{*}\otimes E^{*})}
확장된 실수
p
∈
[
1
,
∞
]
{\displaystyle p\in [1,\infty ]}
양의 정수
k
∈
Z
+
{\displaystyle k\in \mathbb {Z} ^{+}}
그렇다면, 단면들의 벡터 공간
Γ
p
(
E
)
=
C
p
(
M
,
E
)
∩
Γ
0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Gamma } ^{p}(E)={\mathcal {C}}^{p}(M,E)\cap \Gamma ^{0}(E)}
위에 노름
|
s
|
p
,
k
=
(
∫
M
(
∑
i
1
,
…
,
i
p
,
j
1
,
…
,
j
p
,
a
,
b
g
i
1
j
1
⋯
g
i
p
j
p
η
a
b
(
∇
i
1
⋯
∇
i
p
s
a
)
(
∇
j
1
⋯
∇
j
p
s
b
)
)
k
/
2
)
1
/
k
{\displaystyle |s|_{p,k}=\left(\int _{M}\left(\sum _{i_{1},\dotsc ,i_{p},j_{1},\dotsc ,j_{p},a,b}g^{i_{1}j_{1}}\dotsb g^{i_{p}j_{p}}\eta _{ab}(\nabla _{i_{1}}\dotsb \nabla _{i_{p}}s^{a})(\nabla _{j_{1}}\dotsb \nabla _{j_{p}}s^{b})\right)^{k/2}\right)^{1/k}}
을 줄 수 있다. 특히,
k
=
2
{\displaystyle k=2}
일 때 이는 내적
⟨
s
|
s
′
⟩
p
,
2
=
∫
M
∑
i
1
,
…
,
i
p
,
j
1
,
…
,
j
p
,
a
,
b
g
i
1
j
1
⋯
g
i
p
j
p
η
a
b
(
∇
i
1
⋯
∇
i
p
s
a
)
(
∇
j
1
⋯
∇
j
p
s
′
b
)
{\displaystyle \langle s|s'\rangle _{p,2}=\int _{M}\sum _{i_{1},\dotsc ,i_{p},j_{1},\dotsc ,j_{p},a,b}g^{i_{1}j_{1}}\dotsb g^{i_{p}j_{p}}\eta _{ab}(\nabla _{i_{1}}\dotsb \nabla _{i_{p}}s^{a})(\nabla _{j_{1}}\dotsb \nabla _{j_{p}}{s'}^{b})}
과 호환된다. 이 노름에 대한 완비화인 바나흐 공간 을
W
p
,
k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p,k}(E)}
라고 한다.
정의에 따라 항상
Γ
p
(
E
)
⊆
W
p
,
2
(
E
)
{\displaystyle \Gamma ^{p}(E)\subseteq \operatorname {W} ^{p,2}(E)}
이다. 음이 아닌 정수
q
{\displaystyle q}
에 대하여, 만약
p
>
(
dim
M
)
/
2
+
q
{\displaystyle p>(\dim M)/2+q}
라면, 연속 포함 사상
W
p
,
2
(
E
)
↪
Γ
q
(
E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p,2}(E)\hookrightarrow \Gamma ^{q}(E)}
이 존재한다.[ 6] :Theorem Ⅲ.2.15
유클리드 공간 이나 원환면 의 경우 푸리에 변환 을 사용하여, 정수가 아닌
s
{\displaystyle s}
에 대하여 소볼레프 공간
W
s
,
p
{\displaystyle \operatorname {W} ^{s,p}}
를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두 실수
s
,
p
∈
[
1
,
∞
)
{\displaystyle s,p\in [1,\infty )}
에 대하여, 유클리드 공간
R
n
{\displaystyle \mathbb {R} ^{n}}
위의 소볼레프 공간
W
s
,
p
(
R
n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s,p}(\mathbb {R} ^{n};\mathbb {K} )}
는 다음과 같은 함수 공간이다.
W
s
,
p
(
R
n
;
K
)
=
{
f
∈
L
p
(
R
n
;
K
)
:
F
−
1
(
1
+
‖
ξ
‖
2
)
s
/
2
F
f
∈
L
p
(
R
n
;
K
)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s,p}(\mathbb {R} ^{n};\mathbb {K} )=\left\{f\in \operatorname {L} ^{p}(\mathbb {R} ^{n};\mathbb {K} )\colon {\mathcal {F}}^{-1}\left(1+\|\xi \|^{2}\right)^{s/2}{\mathcal {F}}f\in L^{p}(\mathbb {R} ^{n};\mathbb {K} )\right\}}
여기서
(
F
f
)
(
ξ
)
{\displaystyle ({\mathcal {F}}f)(\xi )}
는 푸리에 변환 이다. 마찬가지로, 원환면
T
n
{\displaystyle \mathbb {T} ^{n}}
위에도 소볼레프 공간
W
s
,
p
(
T
n
;
K
)
{\displaystyle W^{s,p}(\mathbb {T} ^{n};\mathbb {K} )}
을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
s
,
p
≥
1
{\displaystyle s,p\geq 1}
),
W
s
,
p
(
M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s,p}(M;\mathbb {K} )}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을 이룬다. 만약
p
=
2
{\displaystyle p=2}
인 경우,
W
s
,
p
(
M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s,p}(M;\mathbb {K} )}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힐베르트 공간 을 이룬다. 만약
p
=
∞
{\displaystyle p=\infty }
일 경우,
W
s
,
p
(
M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s,p}(M;\mathbb {K} )}
는 바나흐 공간 이지만 분해 가능 공간 이 아니다.
임의의 리만 다양체
M
{\displaystyle M}
에 대하여,
W
k
,
∞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k,\infty }(M)}
의 원소들은 (L∞ 르베그 공간 과 마찬가지로)점별 덧셈과 곱셈에 대하여 닫혀 있다.
p
<
∞
{\displaystyle p<\infty }
에 대하여,
W
k
,
p
(
M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k,p}(M)}
은 덧셈에 대하여 닫혀 있지만, (Lp 르베그 공간 과 마찬가지로) 곱셈에 대하여 닫혀 있지 않다.
다음과 같은 소볼레프 부등식 (영어 : Sobolev inequality )이 성립한다. 임의의
s
,
s
′
∈
N
{\displaystyle s,s'\in \mathbb {N} }
p
,
p
′
∈
[
1
,
∞
)
{\displaystyle p,p'\in [1,\infty )}
에 대하여, 만약
1
p
−
s
n
=
1
p
′
−
s
′
n
{\displaystyle {\frac {1}{p}}-{\frac {s}{n}}={\frac {1}{p'}}-{\frac {s'}{n}}}
p
≤
p
′
{\displaystyle p\leq p'}
s
≥
s
′
{\displaystyle s\geq s'}
이라면, 다음과 같은 포함 관계가 존재하며, 이 포함 관계는 연속 단사 선형 변환 이다.
W
s
,
p
(
R
n
)
⊆
W
s
′
,
p
′
(
R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s,p}(\mathbb {R} ^{n})\subseteq \operatorname {W} ^{s',p'}(\mathbb {R} ^{n})}
특히, 만약
s
=
1
{\displaystyle s=1}
이며
s
′
=
0
{\displaystyle s'=0}
일 경우
W
1
,
p
(
R
n
)
⊆
L
n
p
/
(
n
−
p
)
(
R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1,p}(\mathbb {R} ^{n})\subseteq \operatorname {L} ^{np/(n-p)}(\mathbb {R} ^{n})}
이다.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확장된 실수
1
≤
p
≤
∞
{\displaystyle 1\leq p\leq \infty }
유계 연결 열린집합
U
⊆
R
n
{\displaystyle U\subseteq \mathbb {R} ^{n}}
또한,
∂
U
{\displaystyle \partial U}
가 립시츠 경계라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수
C
(
p
,
U
)
{\displaystyle C(p,U)}
가 존재한다.
‖
f
−
1
vol
(
U
)
∫
U
f
(
x
)
d
n
x
‖
L
p
(
U
)
≤
C
(
p
,
U
)
‖
∇
f
‖
L
p
(
U
)
(
∀
f
∈
W
1
,
p
(
U
)
)
{\displaystyle \left\|f-{\frac {1}{\operatorname {vol} (U)}}\int _{U}f(x)\,\mathrm {d} ^{n}x\right\|_{\operatorname {L} ^{p}(U)}\leq C(p,U)\|\nabla f\|_{\operatorname {L} ^{p}(U)}\qquad (\forall f\in \operatorname {W} ^{1,p}(U))}
이를 푸앵카레-비르팅거 부등식 (Poincaré-Wirtinger不等式, 영어 : Poincaré–Wirtinger inequality )이라고 하며, 이를 만족시키는 최소의 상수
C
(
p
,
U
)
{\displaystyle C(p,U)}
를 푸앵카레 상수 (Poincaré常數, 영어 : Poincaré constant )라고 한다.
소볼레프 공간
W
s
,
p
{\displaystyle \operatorname {W} ^{s,p}}
에서, 만약
s
=
0
{\displaystyle s=0}
이라면 (즉, 매끄러움에 대한 조건을 가하지 않는다면) 이는 르베그 공간 과 같다.
W
0
,
p
=
L
p
{\displaystyle \operatorname {W} ^{0,p}=\operatorname {L} ^{p}}
실수선
R
{\displaystyle \mathbb {R} }
의 구간
I
{\displaystyle I}
에서, (1,1)차 소볼레프 공간은 절대 연속 함수 의 공간과 같다.
W
1
,
1
(
I
)
=
C
abs
0
(
I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1,1}(I)={\mathcal {C}}_{\text{abs}}^{0}(I)}
이는 절대 연속성이 ①거의 어디서나 미분이 존재하며 ②미분의 절댓값 이 적분 가능 함수 인 것과 동치이기 때문이다.
물론, 정확히 말하면, (1,1)차 소볼레프 공간의 원소는 어떤 절대 연속 함수와 거의 어디서나 일치하는 가측 함수 들의 동치류 들의 공간이다. 그러나 이러한 동치류에서는 절대 연속 함수 인 유일한 대표원을 고를 수 있으므로, 이는 함수의 공간과 동치이다.
이는 1차원에서만 성립한다. 고차원 공간 위의 (1,1)차 소볼레프 공간은 연속 함수 가 아닌 함수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
x
↦
‖
x
‖
−
1
)
∈
W
1
,
1
(
B
3
)
{\displaystyle (x\mapsto \|x\|^{-1})\in \operatorname {W} ^{1,1}(\mathbb {B} ^{3})}
이다 (
B
3
{\displaystyle \mathbb {B} ^{3}}
은 3차원 공 ).
실수선
R
{\displaystyle \mathbb {R} }
의 구간
I
{\displaystyle I}
에서, (1,∞)차 소볼레프 공간은 립시츠 연속 함수 의 공간과 같다.
W
1
,
1
(
I
,
R
)
=
Lip
(
I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1,1}(I,\mathbb {R} )=\operatorname {Lip} (I,\mathbb {R} )}
이는 립시츠 연속성이 ①거의 어디서나 미분이 존재하며 ②미분이 (거의 어디서나) 유계 함수 인 것과 동치이기 때문이다.
물론, 정확히 말하면, (1,∞)차 소볼레프 공간의 원소는 어떤 립시츠 연속 함수와 거의 어디서나 일치하는 가측 함수 들의 동치류 들의 공간이다. 그러나 이러한 동치류에서는 립시츠 연속 함수 인 유일한 대표원을 고를 수 있으므로, 이는 함수의 공간과 동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