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경춘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首都圈 電鐵 京春線)은 경춘선을 중심으로 운행한 수도권 전철운행 계통이다. 중앙선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역상봉(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역경춘선 춘천(한림대)역 구간을 운행한다. 평일 하루 2회는 경춘선 구간을 벗어나 망우선을 경유해 광운대역까지 운행하기도 한다. 노선 안내에 사용된 색상은 청록색이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수도권 전철 경춘선
경춘선을 달리는 361000호대 전동차
경춘선 구운천교 (재도색 변경 전)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운행 계통
체계수도권 전철
상태영업 중
기점청량리역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광운대역
(서울특별시 노원구)
종점춘천역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역 수24
경유 노선중앙선, 경원선, 망우선, 경춘선
개통일2010년 12월 21일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2
신호 방식ATS/ATP(알스톰) 수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ATS/ATP 구간 110km/h
수도권 전철 경춘선(광운대역/청량리-춘천(한림대))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K117
-4.6
-4.9
광운대 119
-3.2
중랑 K119
-1.4
-0.6
K120 상봉(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0.0
K121 망우
2.1
P122 신내
4.7
P123 갈매
6.1
P124 별내(삼육대학교)
7.7
P125 퇴계원
11.0
P126 왕숙
11.0
P127 사릉
14.6
P128 금곡
18.6
P129 평내호평
22.8
P130 천마산
25.0
P131 마석
30.7
P132 대성리
38.3
P133 청평
44.7
P134 상천
51.8
P135 가평
56.5
P136 굴봉산
57.6
P137 백양리(엘리시안 강촌)
62.9
P138 강촌
70.4
P139 김유정
76.3
P140 남춘천(강원대학)
79.0
P141 춘천(한림대)

1 : 경의중앙선
2 : ITX-청춘 (용산~춘천 운행)
3 : 본선 완행
4 : 본선 급행
5 : 망우선 지선, 일 왕복 4회

역사

편집

운영

편집

차량

편집

역 목록

편집

본선(경춘선)

편집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급행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비고
K117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 Cheongnyangni(University of Seoul) 淸凉里(서울市立大入口)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일부)
경원선
중앙선
- 0.0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K118 회기(삼육보건대학) Hoegi(Sahmyook Health Daehaq) 回基(三育保健大學) 수도권 전철 1호선 1.4 1.4
K119 중랑 Jungnang 中浪 1.8 3.2 중랑구
K120 상봉(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Sangbong(Open Cyberdaehaqgyo Of Korea) 上鳳(韓國열린사이버大學校) 수도권 전철 경춘선 (광운대행 평일 일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 지하철 7호선
중앙선
0.8 4.0
K121 망우 Mangu 忘憂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중앙선
0.6 4.6
P122 신내 Sinnae 新內 서울 지하철 6호선 2.1 6.7
P123 갈매 Galmae 葛梅 2.6 11.4 경기도 구리시
P124 별내(삼육대학교) Byeollae(Samyukdaehaqgyo) 別內(三育大學校) 수도권 전철 8호선 1.4 17.5 남양주시
P125 퇴계원 Toegyewon 退溪院 1.6 25.2
P126 왕숙 Wangsuk 王宿 2. 5 31. 1
P127 사릉 Sareung 思陵 3.3 36.2
P128 금곡 Geumgok 金谷 3.6 39.8
P129 평내호평 PyeongnaeHopyeong 坪內好坪 4.0 43.8
P130 천마산 Cheonmasan 天摩山 4.2 48.0
P131 마석 Maseok 磨石 2.2 50.2
P132 대성리 Daeseong-ri 大成里 7.4 57.6 가평군
P133 청평 Cheongpyeong 淸平 7.5 65.1
P134 상천 Sangcheon 上泉 4.8 69.9
P135 가평 Gapyeong 加平 7.1 77.0
P136 굴봉산 Gulbongsan 屈峰山 4.7 81.7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수도<권
외구간
P137 백양리(엘리시안 강촌) Baegyang-ri(ELYSIAN GANGCHON) 白楊里(엘리시안 江村) 2.9 84.6
P138 강촌 Gangchon 江村 5.3 89.9
P139 김유정 Gimyujeong 金裕貞 7.4 97.3
P140 남춘천(강원대학) Namchuncheon(Gangwondaehaq) 南春川(江原大學) 5.9 103.2
P141 춘천(한림대) Chuncheon(Hallymdae) 春川(翰林大) 2.7 105.9

광운대 ~ 상봉 구간

편집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119 광운대 Kwangwoondae 光云大 수도권 전철 1호선 - 0.0 서울특별시 노원구
K120 상봉(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Sangbong(Open Cyberdaehaqgyo Of Korea) 上鳳(韓國열린사이버大學校) 수도권 전철 경춘선 (청량리행)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 지하철 7호선
중앙선
4.3 4.3 중랑구
↓ 춘천역 방면

각주

편집
  1. “경춘선 사릉역 20일부터 '급행열차' 정차”. 연합뉴스. 2011년 6월 14일. 2011년 6월 17일에 확인함. 
  2. “2016년 9월 26일 기준 경춘선 광역전철 시간표”. 2017년 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12월 2일에 확인함. 
  3. 한국철도공사. “공지사항”. 《www.letskorail.com》. 2017년 1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월 19일에 확인함. 
  4. 다만, 상시 운행 구간이 아니기 때문에 이 구간은 최단거리 형태로 운임은 변동되지 않았으며, 다른 노선을 이용한 최단거리 운임으로 산출한다. 예를 들면 구리 ~ 광운대 간 운임을 계산할 때, 망우선을 경유하는 거리는 9.5 km이나, 회기역을 경유할 경우에는 12.2 km, 상봉역태릉입구역석계역을 경유할 경우에는 10.2 km, 이므로, 10 km 이하일 경우에 비해, 100원 늘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