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내역
서울특별시의 철도역
신내역(Sinnae station, 新內驛)은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에 있는 경춘선과 서울 지하철 6호선의 환승역이다.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이 역에만 유일하게 지상 구간이다.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심야에 1편성이 주박한다.
역명판 | |
역사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동부본부 망우관리역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역로 20 |
개업일 | 2013년 12월 28일 |
역 번호 | P122 |
승강장 구조 | 2면 2선 |
노선 | |
경춘선 | |
망우 기점 2.1 km | |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
|
![]() 역명판 | |
개괄 | |
관할 기관 | 서울교통공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역로 20 |
개업일 | 2019년 12월 21일 |
역 번호 | 648 |
승강장 구조 | 1면 1선 |
노선 | |
서울 지하철 6호선 | |
응암 기점 36.4 km | |
● 서울 지하철 6호선
| |
|
역사편집
역 구조편집
경춘선 역사는 지상 3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대합실이 지상 2층에, 승강장의 경우 경춘선은 지상 3층에 있으며, 6호선은 지상 1층에 있다.
6호선 신내역은 7호선 장암역, 광주 도시철도 1호선 녹동역과 같은 단선역이며, 역 구조를 놓고 진통을 겪은 끝에 신내차량사업소 구내에 단선 임시승강장 형태로 건설하였다. 2019년 12월 21일부터 6호선 전동열차 운행을 개시하였다.[4] 그 외에 서울 경전철 면목선과, 6호선의 구리시, 남양주시 연장이 계획되고 있다.
출구는 경춘선 역사와 공용하며, 4개가 있다.
경춘선 승강장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으로, 현재 스크린도어가 가동 중이다.
↑망우 |
2 | | 1 |
갈매↓ |
1 |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갈매 · 평내호평 · 가평 · 춘천 방면 |
---|---|---|
2 | 망우 · 상봉 · 청량리 · 광운대 방면 |
6호선 승강장편집
신내차량사업소 내 단선 승강장을 갖춘 임시승강장 형태의 지상역이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봉화산 ↑ |
상 | |
시·종착역 (신내차량기지) |
● 서울 지하철 6호선 | 당역종착 석계 · 고려대 · 동묘앞 · 삼각지 · 응암 방면 |
역 주변편집
이용객 변동편집
2013년 자료는 개통일인 2013년 12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인 4일치만이 반영된 것이다.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
경춘선 | 승차 | 미개통 | 135 | 428 | 631 | 700 | 745 | 737 | [5] | |||
하차 | 213 | 526 | 708 | 777 | 808 | 790 | ||||||
6호선 | 승차 | 미개통 | ||||||||||
하차 |
사진편집
인접한 역편집
서울 지하철 6호선 | ||
---|---|---|
647 봉화산 응암 방면 |
● 서울 지하철 6호선 (일부 열차 시종착) |
시·종착역 |
경춘선 | ||
K121 망우 청량리 · 광운대 방면 |
● 수도권 전철 경춘선 완행 |
P123 갈매 춘천 방면 |
각주편집
- ↑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726호, 2012년 10월 30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23호, 2013년 4월 10일.
- ↑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9277721
- ↑ 조윤성 (2018년 4월 16일). “"녹지공간 풍부한 중랑구 '신내데시앙'"”. 한국경제. 2018년 5월 9일에 확인함.
- ↑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