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음 (음운학)

오음(五音)은 한국이나 중국에서 전통적으로 음절 초의 닿소리조음 위치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아음(牙音, 어금닛소리), 설음(舌音, 혓소리), 순음(脣音, 입술소리), 치음(齒音, 잇소리), 후음(喉音, 목구멍소리)을 가리킨다. 이것에 반설음(半舌音, 반혓소리)과 반치음(半齒音, 반잇소리)을 증가해서 쓰인다. 한국어에 대해서는 초성오음(初聲五音)이라고도 한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중국 남조(南朝) 양나라(梁) 고야왕(顧野王)이 만든 옥편(玉篇)에 있는 오음성론(五音聲論)에 보인다. 중국에서는 송나라 때 오음으로부터 삼십육자모(三十六字母)가 만들어졌다.

훈민정음 초성 체계 편집

훈민정음 초성 체계(훈민정음의 17낱자, 동국정운의 23낱자)에서 초성은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있다.

조음 위치 오음 전청 차청 전탁 불청불탁
양순 입술소리
(순음)

[p]

[pʰ]

[p']

[m]
치조 혓소리
(설음)

[t]

[tʰ]

[t']

[n]
반혓소리
(반설음)

[ɾ]
치조 잇소리
(치음)

[t͡s]

[t͡sʰ]

[t͡s']

[s]

[s']
반잇소리
(반치음)

[z]
연구개 어금닛소리
(아음)

[k]

[kʰ]

[k']

[ŋ]
성문 목구멍소리
(후음)

[ʔ]

[h]

[h']

ø, [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