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
또는 닿소리는 성문을 벗어나 조음된 소리가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다
(닿소리에서 넘어옴)
자음(子音, 영어: consonant) 또는 닿소리는 성문을 벗어나 조음된 소리가 목, 입, 혀 따위의 발음 기관에 의하여 방해를 받으면서 나는 소리이다.[1] 모음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자음의 기술 방법 : 조음 음성학
편집조음 음성학에서는 자음을 기술하기 위하여 모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먼저 자음 음소 목록과 각 자음 음소의 변이음 목록을 작성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특성을 관찰하여 기술한다.
- 어떻게 발동되는가? - 폐소리, 목소리, 입안소리
- 기류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 날숨 소리, 들숨 소리
- 성대가 진동하는가? - 유성음, 무성음
- 성대의 불완전한 진동이나 개방이 수반되는가? - 속삭임 소리, 짜내기 소리, 유성 속삭임 소리, 유성 짜내기 소리, 유성 날숨 소리
- 비강이 닫히는가? - 구강음, 비강음 (혹 비음)
- 막음, 좁힘 등이 어떻게 수반되는가? -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 반모음
- 성문의 막음이나 좁힘이 수반되는가? - 성문 파열음, 성문 마찰음
- 막음, 좁힘이 어디에서 형성되는가? - 양순음, 치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 막음, 좁힘을 일으키는 조음 기관은?
- 조음 기관의 긴장을 수반하는가? - 경음, 연음
- 기식을 수반하는가? - 유기음, 무기음
위와 같은 특성 중 한국어 또는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외국어들[모호한 표현]의 자음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는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다. 조음 방법과 조음 위치가 가장 기본적인 분류 기준이 된다. 그리고 여기에 기식, 긴장, 성대 진동이 수반되는지에 따라 세부적인 구분이 이루어지게 된다.
문자로서의 자음
편집문자로서의 자음은 또한 자음 소리를 내는 알파벳이나 한글의 글자를 뜻하기도 한다.
영어
편집B, C, D, F, G, H, J, K, L, M, N, P, Q, R, S, T, V, X, Z이며, 가끔 W, Y도 포함한다.
- Y가 "yoke"와 같이 자음을 나타내는 문자일 때는 자음 [j]이며, "myth"와 같이 모음을 나타낼 때는 모음 [ɪ]이다. 예를 들면, W는 "crwth" "cwm"와 같이 드물게 나타나는 단어(대부분 웨일스어에서 빌려온 것들)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항상 자음이다.
한글
편집같이 보기
편집참고 문헌
편집- 이호영, 1996, 국어음성학, 태학사, 67-68쪽.
- 시대가 흐르는 국어의 역사
- 음성기관(organ of speech)[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각주
편집- ↑ 브루스 M. 로우, 장영준역, 《언어학개론》, 시그마프레스, 2007년, ISBN 8958323167, 39쪽
폐장기류음표 이미지 | ||||||||||||||||||||||||||||
위치 → | 입술소리 | 혀끝소리 | 혓바닥소리 | 목구멍소리 | ||||||||||||||||||||||||
↓ 방법 | 양순 | 순치 | 설순 | 치 | 치경 | 후치경 | 권설 | 치경구개 | 경구개 | 연구개 | 구개수 | 인두 | 후두개 | 성문 | ||||||||||||||
비음 | m̥ | m | ɱ | n̼ | n̥ | n | ɳ̊ | ɳ | ȵ̊ * | ȵ * | ɲ̊ | ɲ | ŋ̊ | ŋ | ɴ | |||||||||||||
파열음 | p | b | p̪ | b̪ | t̼ | d̼ | t | d | ʈ | ɖ | ȶ * | ȡ * | c | ɟ | k | ɡ | q | ɢ | ʡ | ʔ | ||||||||
치찰음 | s | z | ʃ | ʒ | ʂ | ʐ | ɕ | ʑ | ||||||||||||||||||||
비 치찰 마찰음 |
ɸ | β | f | v | θ̼ | ð̼ | θ | ð | θ̱ | ð̠ | ç | ʝ | x | ɣ | χ | ʁ | ħ | ʕ | ʜ | ʢ | h | ɦ | ||||||
접근음 | ʋ | ɹ̥ | ɹ | ɻ̊ | ɻ | j̊ | j | ɰ̊ | ɰ | |||||||||||||||||||
탄음 | ѵ̟ | ѵ | ɾ̼ | ɾ̥ | ɾ | ɽ̊ | ɽ | ȡ̆ * | ɢ̆ | ʡ̯ | ||||||||||||||||||
전동음 | ʙ̥ | ʙ | r̼ | r̥ | r | ɽ͡r | ʀ̥ | ʀ | ᴙ̥ * | ᴙ * | ||||||||||||||||||
설측 마찰음 | ɬ | ɮ | ꞎ * | ʎ̝̊ | ʎ̝ | ʟ̝̊ | ʟ̝ | |||||||||||||||||||||
설측 접근음 | l̥ | l | ɭ̊ | ɭ | ȴ̊ * | ȴ * | ʎ̥ | ʎ | ʟ̥ | ʟ | ʟ̠ | |||||||||||||||||
설측 탄음 | ɺ̼ | ɺ̥ | ɺ | ɺ̢̊ * | ɺ̢ * | ʎ̯ | ʟ̆ |
비폐장기류음 | ||||||||||
---|---|---|---|---|---|---|---|---|---|---|
흡착음 | ʘ | ǀ | ǃ | ǂ | ǁ | |||||
ʘ̃ | ʘ̃ˀ | ʘ͡q | ʘ͡qʼ | 𝼊 | ||||||
ǃ͡¡ | ʘ̺ | |||||||||
내파음 | ɓ̥ | ɓ | ɗ̪̊ | ɗ̪ | ɗ̥ | ɗ | ᶑ̊ | ᶑ | ʄ̊ | ʄ |
ɠ̊ | ɠ | ʛ̥ | ʛ | |||||||
방출음 | pʼ | t̪ʼ | tʼ | ʈʼ | cʼ | kʼ | qʼ | fʼ | θʼ | sʼ |
ɬʼ | ʃʼ | ʂʼ | ɕʼ | xʼ | χʼ | t͡sʼ | t͡ɬʼ | c͡ʎ̝̊ʼ | t͡ʃʼ | |
ʈ͡ʂʼ | k͡xʼ | k͡ʟ̝̊ʼ | q͡χʼ |
파찰음 | |||||||||
---|---|---|---|---|---|---|---|---|---|
p̪͡f | b̪͡v | t͡s | d͡z | t̪͡s̪ | d̪͡z̪ | t̪͡θ | d̪͡ð | t͡ʃ | d͡ʒ |
t͡ɕ | d͡ʑ | ʈ͡ʂ | ɖ͡ʐ | t͡ɬ | d͡ɮ | c͡ç | ɟ͡ʝ | c͡ʎ̥˔ | ɟ͡ʎ˔ |
k͡x | ɡ͡ɣ | k͡ʟ̝̊ | ɡ͡ʟ̝ | q͡χ | ɢ͡ʁ |
이중 조음 | ||||
---|---|---|---|---|
지속음 | ʍ | w | ɥ | ɧ |
폐쇄음 | k͡p | ɡ͡b | ŋ͡m |
— 이 표는 일부 브라우저에서 정확히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는 음성 기호를 포함하고 있다. |
— 쌍으로 있는 기호는 왼쪽이 무성음, 오른쪽이 유성음이다. |
— 어두운 부분은 조음이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곳이다. |
— 별표(*)가 붙어있는 곳은 비공식 기호인 경우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