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군
울릉군(鬱陵郡)은 대한민국 경상북도의 군이다. 동해상의 울릉도 본섬과 독도, 관음도 등 44개 부속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울릉군은 대한민국의 최동단에 위치한 기초지방자치단체이자 경상북도의 최북단·최동단에 위치한 기초자치단체이며, 주민 수는 약 9천명으로 대한민국의 기초자치단체 중 인구가 가장 적다. 군청 소재지는 울릉읍이고, 행정구역은 1읍 2면이다.
울릉군 | |||
---|---|---|---|
| |||
울릉군의 위치 | |||
행정 | |||
국가 | 대한민국 | ||
행정 구역 | 1읍, 2면 | ||
청사 소재지 | 울릉읍 도동2길 66 (도동리 206-1) | ||
단체장 | 남한권(국민의힘) | ||
국회의원 | 이상휘(국민의힘, 포항시 남구·울릉군) | ||
지리 | |||
면적 | 73.34km2 | ||
인문 | |||
인구 | 8,996명 (2022년[1]년) | ||
세대 | 5,258세대 (2022년[1]년) | ||
상징 | |||
나무 | 후박나무 | ||
꽃 | 동백꽃 | ||
새 | 흑비둘기 | ||
지역 부호 | |||
웹사이트 | http://www.ulleung.go.kr/ |
울릉도는 해안선 길이 64.43 km의 화산암 지역으로, 섬의 중앙부에는 성인봉(984 m)이 솟아 있고, 칼데라 화구가 함몰하여 형성된 나리분지가 있다. 주상절리, 기암괴석, 용출수, 원시림 등 자연자원이 풍부하고, 39종의 특산식물과 6종의 식물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드문 해양성 기후로 일교차가 작고, 눈이 많이 내린다. 특산물로는 오징어, 호박엿, 산나물, 울릉약소 등이 유명하다.
역사
편집- 청동기시대(기원전 1000~300년) 또는 철기시대 전기 (기원전 300년~1년) : 울릉도에 최초로 사람이 거주하기 시작했다. 지석묘, 무문토기, 갈돌, 갈판(현포, 남서, 저동리)
- ~ 512년 : 우산국
- 512년(신라 지증왕 13년) : 신라장군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벌했다.
- 930년(고려 태조 13년) : 조공한 우릉도(芋陵島) 주민에게 작위를 하사했다.
- 1018년(고려 현종 9년) : 여진족의 침입을 받고 농업을 폐하게 되어 이원구를 보내어 농기구를 하사하였다.
- 1032년(고려 덕종 원년) : 우릉성주가 아들을 보내어 조공하였다.
- 1157년(고려 의종 11년) : 우릉도 주민을 이주시킬 계획으로 명주도 감창사 김유립을 보내 조사케 하였으나 실행하지 못하였다.
- 1379년(고려 우왕 5년) : 7월 왜구가 무릉도(武陵島)에 침입하여 보름을 머물다 돌아갔다.[2]
- 1417년(조선 태종 17년) : 김인우를 안무사로 파견하여 주민들을 귀환시켰다. 강원도에서 관할.[3]
- 1614년(광해군 6년) : 대마도주에게 울릉도(鬱陵島)에 왜인들의 왕래를 금지하는 금약을 준수하라는 서계를 보냈다.
- 1693년(숙종 19년) : 울릉도에서 안용복 일행과 일본 어부들의 충돌로 조선과 일본사이 외교분쟁 발생. (안용복 1차 도일)
- 1694년(숙종 20년) : 삼척첨사 장한상 울릉도 수토
- 1696년(숙종 22년) : 안용복 2차 도일 일본 백기주(伯耆州) 태수와 담판, 울릉도가 조선 영토임을 인정(일본인의 출어,벌채금지서계 조선에 전달)
- 1882년(고종 19년) : 이규원 검찰사 울릉도 검찰, 울릉도 개척령 반포, 전석규 도장에 임명. (수토정책 철폐)
- 1883년 : 울릉도 주민 이주 시작(16호 54명)
- 1895년 : 삼척영장 겸임 도장제에서 전임 도장(島長)을 임명함. 도장을 도감(島監)으로 개칭.
- 1900년 : 울릉도를 강원도 울도군(鬱島郡)으로 개편하고, 그 아래 남면(南面)과 북면(北面)을 두었다. 도감을 군수(郡守)로 개칭. (2면)
- 1903년 : 군청 소재지가 태하(台霞)에서 도동(道洞)으로 이전되었다.
- 1906년 : 울도군을 강원도에서 경상남도로 이속하였다.[4] 남면 일부(남양동, 석문동, 통구미동, 남서동, 구암동) 및 북면 일부(태하동, 학포동)에 서면(西面)을 신설. (3면)
- 1914년 : 경상남도에서 경상북도로 이속[5]
지리
편집지형
편집울릉도는 동해의 해저에서 분출한 마그마가 굳어서 형성된 화산섬이다. 울릉도는 형성된 지 오래되지 않았으므로 화산의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다. 화산체의 약 2/3는 바다에 잠겨 있으며 해수면 위로 드러난 부분은 경사가 급한 산지를 이루고 있다. 산 정상에는 칼데라 분지인 나리 분지가 있으며 나리 분지 내에는 알봉이 있어서 전체적으로 이중 화산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8] 아름다운 자연 경관으로 유명하며 해상에서는 특이하고 독특한 울릉도의 지형이 관찰된다. 섬 대부분이 험준한 산악 지대이다.
기후
편집독도를 포함한 울릉도 부근 지역의 기후는 난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전형적인 해양성 기후를 띠고 있다. 연평균 기온은 약 12~13°C이며 가장 더운 달인 8월의 평균기온도 24°C를 넘지 않아서 여름에도 시원한 편이다. 연중 85%가 흐리거나 눈비가 내려 비교적 습한 지역이다. 그리고 가장 추운 달인 1월의 평균기온은 1.7°C로 온난한 편이다. 울릉도 주변 지역은 안개가 많고 연중 흐린 날이 160일 이상이며, 비가 내리는 날은 150일 정도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400~1500mm 정도이다. 겨울철 강수는 대부분 눈이 쌓인 적설의 형태이며, 폭설이 자주 내린다. 울릉도의 바람은 서풍과 남풍계열이 출현빈도가 높으며 연간 평균풍속은 4.3m/s이다.[9]
울릉도 (울릉도기상관측소, 울릉군 울릉읍 도동리)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14.9 (58.8) |
19.2 (66.6) |
21.8 (71.2) |
26.1 (79.0) |
30.8 (87.4) |
32.2 (90.0) |
34.6 (94.3) |
34.6 (94.3) |
32.4 (90.3) |
27.2 (81.0) |
23.2 (73.8) |
18.6 (65.5) |
34.6 (94.3)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4.4 (39.9) |
5.6 (42.1) |
9.6 (49.3) |
15.1 (59.2) |
19.7 (67.5) |
22.5 (72.5) |
25.5 (77.9) |
26.9 (80.4) |
23.2 (73.8) |
18.8 (65.8) |
13.2 (55.8) |
7.2 (45.0) |
16.0 (60.8) |
일일 평균 기온 °C (°F) | 1.7 (35.1) |
2.5 (36.5) |
5.8 (42.4) |
11.1 (52.0) |
15.8 (60.4) |
19.1 (66.4) |
22.7 (72.9) |
23.8 (74.8) |
20.0 (68.0) |
15.4 (59.7) |
9.9 (49.8) |
4.3 (39.7) |
12.7 (54.9)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0.5 (31.1) |
0.0 (32.0) |
2.9 (37.2) |
7.8 (46.0) |
12.5 (54.5) |
16.5 (61.7) |
20.5 (68.9) |
21.7 (71.1) |
17.7 (63.9) |
13.0 (55.4) |
7.4 (45.3) |
1.9 (35.4) |
10.1 (50.2) |
역대 최저 기온 °C (°F) | −11.6 (11.1) |
−13.6 (7.5) |
−9.9 (14.2) |
−2.7 (27.1) |
3.8 (38.8) |
7.0 (44.6) |
12.5 (54.5) |
14.7 (58.5) |
8.9 (48.0) |
0.7 (33.3) |
−5.9 (21.4) |
−9.6 (14.7) |
−13.6 (7.5)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117.4 (4.62) |
91.3 (3.59) |
76.4 (3.01) |
97.8 (3.85) |
108.5 (4.27) |
116.8 (4.60) |
175.0 (6.89) |
176.7 (6.96) |
173.6 (6.83) |
100.9 (3.97) |
116.9 (4.60) |
129.3 (5.09) |
1,480.6 (58.29)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8.8 | 14.5 | 12.0 | 9.0 | 8.6 | 8.6 | 12.0 | 11.6 | 10.6 | 9.3 | 13.1 | 18.2 | 146.3 |
평균 강설일수 | 17.7 | 13.2 | 7.4 | 1.0 | 0.0 | 0.0 | 0.0 | 0.0 | 0.0 | 0.1 | 3.4 | 13.1 | 55.9 |
평균 상대 습도 (%) | 68.6 | 68.4 | 67.5 | 67.2 | 70.2 | 79.6 | 84.7 | 83.4 | 79.3 | 71.4 | 67.6 | 67.3 | 72.9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102.0 | 118.1 | 180.5 | 216.5 | 238.5 | 185.5 | 165.1 | 176.6 | 163.7 | 178.8 | 132.0 | 104.1 | 1,961.4 |
출처: 기상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38년~현재)[10][11] |
행정 구역
편집울릉군의 행정 구역은 1읍, 2면, 1출장소가 설치되어 있고, 면적은 73.33km2이다.[12] 2022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8,996 명, 5,479 가구이고, 전체 인구의 70.8%가 울릉읍에 거주하고 있다. 남녀의 성비는 1.24:1인데, 인천광역시 옹진군(1.33:1) 다음으로 남초 현상이 심하다. 울릉군의 주민등록 인구는 1974년에 2만9810 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계속 감소하여 2017년 11월 이후로는 1만 명 아래로 줄어든 상태이다.[1]
읍·면 | 한자 | 면적 (km2) |
인구 | 세대 | |
---|---|---|---|---|---|
울릉읍 | 鬱陵邑 | 21.79 | 6,371 | 3,851 | |
서면 | 西面 | 27.19 | 1,345 | 780 | |
북면 | 北面 | 24.34 | 1,280 | 848 | |
총계 | 73.33 | 8,996 | 5,479 |
섬
편집- 울릉도 : 울릉군의 본섬이며, 면적은 72.86km2이다.
- 독도 : 대한민국의 최동단(울릉읍 독도리[13])이며, 면적은 0.187km2(187,554㎡)이다. 일본에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죽도 : 울릉읍 저동리에 속하며, 면적은 0.208km2이다.
- 관음도 : 북면 천부리에 속하며, 면적은 0.071km2이다.
인구
편집연도 | 총인구 | |
---|---|---|
1949년 | 14,688명 | |
1955년 | 15,565명 | |
1960년 | 17,910명 | |
1966년 | 22,016명 | |
1969년 | 22,667명 | |
1972년 | 24,648명 | |
1975년 | 29,479명 | |
1978년 | 24,968명 | |
1981년 | 18,943명 | |
1984년 | 17,941명 | |
1987년 | 16,845명 | |
1990년 | 15,642명 | |
1993년 | 12,385명 | |
1996년 | 11,199명 | |
1999년 | 10,664명 | |
2002년 | 9,929명 | |
2005년 | 9,237명 | |
2008년 | 10,120명 | |
2011년 | 10,623명 | |
2014년 | 10,448명 | |
2015년 | 10,223명 | |
2016년 | 10,115명 | |
2017년 | 9,951명 | |
2018년 | 9,920명 | |
2019년 | 9,752명 | |
2020년 | 9,521명 | |
2021년 | 9,035명 | |
2022년 | 9,013명 |
군청
편집관광
편집독도는 울릉도의 대표적인 관광지로 천연기념물 제 336호로 지정되어 있다. 원래 이름은 독섬으로 한자화되면서 독도가 되었다고 전한다. 독도는 해저 약 2,000m에서 솟은 용암이 굳어져 형성된 화산섬으로, 대략 460만 년 전부터 약 250만 년 전에 형성되었으며, 울릉도(약250만 년 전)보다 약 200만 년, 제주도(약120만 년 전)보다는 약 340만 년 앞서 생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오랜 세월동안 거친 바람과 파도에 꺾이면서 오늘날의 모습을 하고 있다.
- 풍혈
풍혈 (風穴)은 한여름에도 서늘한 냉기가 나오는 곳으로, 봉래폭포를 찾는 사람들의 필수 코스 중 하나이다. 땅 밑을 흐르는 지하수의 찬공기가 바위틈으로 흘러나와 항상 섭씨 4°C를 유지하기 때문에, 여름철 온도가 24°C 이상 올라갈 때는 찬공기로 느껴지며, 겨울철 대기 온도가 영하로 내려갈 때는 오히려 따듯한 느낌을 준다.[16]
- 행남산책로 - 도동부두 왼쪽 해안을 따라 만들어진 산책로이다. 자연동굴과 골짜기를 잇는 교량 사이로 펼쳐지는 해안비경을 볼 수 있다.
교통
편집여객선
편집여객선은 울릉도를 접근하는 가장 일반적인 교통수단으로 다음과 같은 곳에서 울릉도 저동항에 여객선을 타고 접근할 수 있다.
- 묵호여객터미널
- 대아고속여객선 (썬플라워호, 오션플라워호, 씨플라워호)
- 울진후포항 여객터미널
- 동해해상해운
- 포항여객터미널
- 강릉항여객선터미널
차량 및 화물승선은 포항에서만 가능하며, 울릉도는 LPG와 수소충전소가 없으므로 LPG 차량(현대 넥쏘 -수소차)은 입항이 되지 않는다. 단 전기차는 입항이 가능하며 울릉도 도동항에서 독도를 운항하는 것은 오션플라워호와 씨플라워호 그리고 삼봉호, 씨스타호가 있으며, 정기 운행은 되지 않는다.
버스
편집울릉군에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노선은 총 4개이며 운영업체로는 무릉교통이 유일하다. 대부분 중형차량이나 소형차량으로만 운행한다.
도로
편집울릉도의 도로는 울릉도 전체를 일주하는 울릉도 일주도로가 있다. 또한 독도에는 독도안용복길과 독도이사부길이 있으며 울릉군의 본섬에는 태하령길 등 여러 지선 도로도 존재한다.
항공 교통
편집울릉도 가두봉 인근의 바다를 매립하여 1,200m급 활주로를 건설한 뒤, 공항을 건설하여 향후 제트기가 취항할 수 있도록 하는 가칭 울릉공항 건설 계획이 추진되었으며 2020년 11월 27일에 착공됐고,[17] 2026년 12월 개항 예정이다.
문화
편집대중 가요
편집의료기관
편집- 울릉군 보건의료원
http://www.ulleung.go.kr/health/
진료과목 | 연락처 | 비고 |
---|---|---|
내과 | 054-790-6896 | |
054-790-6902 | ||
피부과 | 054-790-6904 | |
소아청소년과 | 054-790-6904 | |
안과 | 054-790-6902 | |
산부인과 | 054-790-6908 | |
정형외과 | 054-790-6910 | |
이비인후과 | 054-790-6918 | |
치과 | 054-790-6916 | |
한방과 | 054-790-6918 |
보건지소 | 연락처 | 주소 |
---|---|---|
서면보건지소 | 054-790-6851 | 서면 남양1길 30 |
북면보건지소 | 054-790-6861 | 북면 천부1길 25 |
한의원 | 연락처 | 주소 |
---|---|---|
선린한의원 | 054-791-1275 | 울릉읍 봉래길63 |
강남한의원 | 054-791-7585 | 울릉읍 도동길193 |
직속기관
편집- 울릉군 보건의료원 http://www.ulleung.go.kr/health/
- 울릉군 농업기술센터 http://www.ulleung.go.kr/ula/
사업소
편집관공서
편집- KT 울릉지사
- 국민연금공단 울릉상담센터
- 국민건강보험공단 울릉출장소
- LX한국국토정보공사 울릉지사
- NH농협은행 울릉군지부
- 새마을금고
- 수협
- 울릉농협
교육 기관
편집- 울릉교육지원청 http://www.kbuled.go.kr Archived 2018년 12월 27일 - 웨이백 머신
고등학교
편집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
울릉고등학교 | 울릉읍 울릉순환로 236 | 8학급 |
중학교
편집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비고 |
---|---|---|---|
울릉중학교 | 울릉읍 사동2길 219 | 6학급 | 2020년 3월 1일에 울릉군 내 4개 중학교를 통합해 신설된 기숙형 중학교[18] |
울릉읍 저동길 54 | - | 2020년 2월 29일 폐교 | |
서면 남서길 52 | - | 2020년 2월 29일 폐교 | |
북면 천부길 74-7 | - | 2020년 2월 29일 폐교 | |
서면 태하2길 28 | - | 2010년 3월 1일 폐교 |
초등학교
편집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비고 |
---|---|---|---|
울릉초등학교 | 울릉읍 도동길172 | 6학급 | |
남양초등학교 | 서면 남양1길 58 | 5학급 | |
저동초등학교 | 울릉읍 봉래길128-3 | 6학급 | |
천부초등학교 | 북면 천부길 95-3 | 4학급 | |
울릉읍 저동리 249-4[19] | - | 1981년 2월 28일 폐교 | |
북면 천부리 102[20] | - | 1998년 2월 28일 폐교 | |
서면 학포길 133-11 | - | 1999년 9월 1일 폐교 | |
서면 울릉순환로 1580 | - | 2000년 2월 29일 폐교 | |
서면 통구미1길 56 | - | 2000년 2월 29일 폐교 | |
울릉읍 사동리 238[21] | - | 2000년 3월 1일 폐교 | |
서면 태하길 130 | - | 2012년 3월 1일 폐교 | |
북면 현포1길 38 | - | 2024년 2월 29일 폐교 |
유치원
편집학교명 | 주소 | 학급수 |
---|---|---|
울릉초등학교병설유치원 | 울릉읍 도동길172 | 1학급 |
남양초등학교병설유치원 | 서면 남양1길 58 | 1학급 |
천부초등학교병설유치원 | 북면 천부길95-3 | 1학급 |
북면 현포1길 38 | - | |
저동초등학교병설유치원 | 울릉읍 봉래길128-3 | 1학급 |
도동유치원(사립) | 울릉읍 행남길 9 | 2학급 |
기타
편집울릉군에는 기상 등의 문제로 인해 정시에 시험지가 발부 및 회수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울릉군에서는 자격 시혐 등 국가공인시험 중 필기 부문이 치러지지 않으며, 대학수학능력시험 시험장이 없어 울릉도 학생들은 포항 등 외지로 나가서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본다.[22] 다만 통신의 발달로 인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험장이 설치될 가능성도 대두되었으나, 2018년 수험생과 학부모를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는 수시 대비 등의 이유로 80%가 군내의 수능 시험장 설치를 반대했다.[23]
자매 도시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가 나 다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행정안전부》.
- ↑ "七月 倭入武陵島, 留半月而去.", 고려사 세가 우왕 5년(기미년)
- ↑ 세종실록 153권, 강원도 삼척 도호부 울진현, 세종실록 지리지.
- ↑ “六郡移付”. 《대한매일신보》 (333). 1906년 9월 28일. 2022년 1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1월 25일에 확인함.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법률 제32호 지방자치법 (1949년 7월 4일) 제145조
- ↑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 ↑ 서태열 외 7인, 2015, 《고등학교 한국지리》 49쪽, 금성출판사
- ↑ [www.ulleung.go.kr/06_dokdo/page.htm?mnu_siteid=ull&mnu_uid=94&# 울릉군의 기후], 2011년 7월 19일 확인
- ↑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울릉도(115)”. 기상청. 2021년 3월 25일에 확인함.
- ↑ “순위값 - 구역별조회 울릉도(115)”. 기상청. 2021년 10월 2일에 확인함.
- ↑ 일반현황 - 위치/면적 Archived 2017년 8월 20일 - 웨이백 머신 울릉군 홈페이지, 2018년 5월 15일 확인.
울릉군 홈페이지는 울릉군의 면적을 72.86 km2라고 기재하고 있는데, 이는 울릉도만의 면적이다. 여기에 독도 등 울릉도의 부속 도서들의 면적을 합한 것이 울릉군의 면적이다. - ↑ 독도는 본래 울릉읍 도동리에 속했었는데, 2000년 3월 20일에 울릉군 의회에서 '독도리 신설과 관련된 조례안'이 의결되어 같은 해 4월 7일에 공포되어 독도리가 신설되었다.
- ↑ 통계청, KOSIS 국가통계포털
- ↑ 주민등록인구통계 행정안전부
- ↑ “울릉도 관광가이드”. 2015년 10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울릉공항 착공, 2025년 문연다…“비행기 타고 울릉도 간다”
- ↑ 울릉중학교, 우산중학교, 울릉서중학교, 울릉북중학교 등 4개교를 통합하여 새로운 부지에 신축 이전하였다. 울릉중학교 홈페지이의 연혁에 따르면, 기존 구(舊) 울릉중학교와 학교 역사가 이어지지 않는다.
- ↑ 저동리 230-2, 230-3, 233-3, 246-2, 249-4, 249-5, 635-2 포함
- ↑ 도로명주소 미발급
- ↑ 도로명주소 미발급
- ↑ 백, 상진 (2017년 11월 24일). “수능 전 지진, 끝나니 풍랑… 보름째 집 못가는 울릉도 수험생들”. 《국민일보》. 2019년 1월 1일에 확인함.
- ↑ 허, 영국 (2018년 8월 30일). “‘울릉 수능고사장 설치’ 학생 80% 반대”. 《경북도민일보》. 2019년 1월 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울릉군청 (공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