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5년 제13주

일반 사랑방
2015년 제13주
2015년 3월
9 23 24 25 26 27 28 1
10 2 3 4 5 6 7 8
11 9 10 11 12 13 14 15
12 16 17 18 19 20 21 22
13 23 24 25 26 27 28 29
14 30 31 1 2 3 4 5


인터넷 아이디를 지칭해 욕설을 해도 모욕죄

편집

아직 1심 판결이라 판결이 뒤집어질 수 있기는 합니다만, 최근 인터넷 아이디를 지칭해 욕설을 해도 모욕죄에 해당한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습니다.[1] 실명으로 활동하기 어려운 위키백과의 특성 상 상대에게 모욕을 당해도 법적인 보호를 받기가 어려웠는데, 이번 판례로 조금이나마 희망이 생긴 것 같네요. 아, 그렇다고 해서 위키백과 내에서 백:법적 위협 금지를 어기라는 건 아닙니다. 개인 스스로 자신의 인격을 보호할 수 있는 자구책이 이제서야 생기기 시작했다는 말을 해드리고 싶은 겁니다. 이제 악성 사용자들은 조심하는 게 좋을 것 같네요. --RedMosQ (토론) 2015년 3월 24일 (화) 23:17 (KST)답변

링크해주신 기사를 읽어봤는데, 기사 내용에 대해 부연설명합니다. 모욕죄가 성립하려면 모욕 대상자의 신원이 특정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인터넷 아이디를 지칭하는 것만으로는 신원이 특정된다고 보기 어려운게 사실이나, 전후 주위사정을 종합해 볼 때 아이디를 지칭하는 것 만으로도 신원이 특정되었다고 볼 수있는 예외적인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 해당 판결의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글쓴님의 아이디인 Redmosq라는 아이디를 지칭해서 욕을 하면 일반적으로 모욕죄가 성립할 수 없지만, 커뮤니티의 회원들 상당수가 Redmosq의 신원을 알고 있는 상황이라면 Redmosq라는 아이디를 지칭하면서 욕을 해도 모욕죄가 성립한다는 것입니다. --Yonggpo (토론) 2015년 3월 25일 (수) 17:03 (KST)답변
예를들어, 나는 너를 모르는데 제3자는 너를 아는 상황에서 나가 너를 모욕하면 특정성이 성립한다는 말이군요. 어찌됐건 그런 것을 굳이 신경쓰지 않더라도 서로가 서로의 입장에서 한번쯤 생각해 보고 신중하게 말하는 습관을 가진다면 문제가 될 것은 없어 보이네요. 욕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으니까요.--Backtothe (토론) 2015년 4월 5일 (일) 19:02 (KST)답변

차단 검토

편집

[2] 2011년 경에 올라온 글인데 저 글이 올라온 정황이 어떻게 된진 모르겠습니다만, 저기 나와있는데로 차단이 부당하다고 하면 차단 과정에 오류가 없었는지 좀 더 세심할 필요가 있었던 건지 검토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저 분의 위키백과 상의 원래 아이디가 어떻게 되는지 찾아보실 분 있으신가요.--Leedors (토론) 2015년 3월 25일 (수) 10:24 (KST)답변

RedMosQ의 관리자 권한을 회수합시다

편집
다중 계정 사용자가 분란 조장을 목적으로 제기한 내용이기에 가려두었습니다.

사용자:RedMosQ씨는 지금까지 여러차례 허위주장을 하면서 권한을 남용해왔고 본인의 잘못이 무엇인지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어서 권한을 회수해야합니다.

어떤 집단에서 어떤 사람을 관리자로 더이상 맡길 수도 없고 맡겨서는 안되는 상황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직권을 남용하는 경우이고 두번째는 본인이 잘못인지 인식하고 있는지 여부를 떠나서 지속적으로 잘못된 결정으로 피해를 미치는 경우이고, 세번째는 본인 스스로 허위 주장을 계속하는 경우입니다.

불행하게도 RedMosQ님은 이 세가지에 모두 해당됩니다.

찾아보니 위키백과는 RedMosQ님의 잘못된 행동을 끊게 만들 기회를 여러차례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위키백과 공동체의 몇몇 일원들이 RedMosQ씨를 'Unypoly를 잡는 필요악'으로 인식하고 발의자를 Unypoly로 몰아세우는 등의 이유로 회수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실상은 처참합니다. RedMosQ씨는 'Unypoly를 잡는 필요악'으로서도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엉뚱한 사용자를 Unypoly로 차단한 적이 많고, 'Unypoly의 다중계정'을 다른 사용자의 다중계정으로 오판한 적도 많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조사과정에서 RedMosQ님이 2년전에 남긴 인상깊은 발언을 발견했습니다. ' (Unypoly의) 악성 다중계정 사용으로 인해 위키백과 내부 사람이나 문서가 피해를 보는 것을 조금이라도 줄여야겠지요. ' 하지만 현실은 어떨까요? RedMosQ님은 Unypoly의 악성 다중계정 사용에 대처한답시고 위키백과 내부 사람을 잘못 차단하는 등의 피해를 여러차례 입혔습니다.

RedMosQ님에대한 권한 회수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Unypoly의 건을 빼고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Unypoly와 무관계한 사안에 대해서도 위키백과에서 정해진 절차를 어기고 감정적인 권한 사용을 했다는 것이고 두번째는 본인 스스로 여러차례 허위발언을 했다는 것입니다.

근거

편집

1. 허위 발언

편집

1. 허위 발언

1. 1. 본인의 행동에 대한 거짓말

허위 발언을 하면 신임을 상실하므로 권한이 회수되어야합니다. 위키백과:관리자 권한 회수/관인생략/2#중재 절차에서의 허위 발언

RedMosQ님은 지금까지 여러차례 위키백과에서 허위 발언을 했습니다.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4년 제42주#사단법인 창립총회 공개에 대한 우려,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4년 제28주#차단된 사용자의 오프라인 모임 참가에 대한 문제 제기

2014년 7월 12일 토요일에 한국어 위키백과에선 오프라인 모임이 열렸습니다. 이날 토론에서 유니폴리가 사용자:분당선M님과 사용자:RedMosQ님의 실명을 공개했다고 합니다.

RedMosQ님께서는 자신을 차단한 관리자의 위키백과 내에서 공개되지 않은 실명을 모임에서 발설, 공개하지 않은 제 실명등의 발언을 통해 Unypoly님이 자기 실명을 오프라인 모임에서 공개했으며 RedMosQ의 실명은 위키백과 내에서 공개되어 있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Unypoly님은 'RedMosQ님의 이름은 RedMosQ님이 사칭 방지 계정을 생성함으로써 위키백과 내부에 스스로 공개한 내용이다.'라고 중재위원회에 반론을 했습니다. 그리고 RedMosQ님은 '제 본명이 적힌 사칭 방지 계정을 생성한 것은 사실이나, 그 것이 제 이름을 공표한 것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제가 그럼 장동건이라는 계정을 만들거나 이나영이라는 계정을 만들면 그게 제 이름을 공표한건가요? 어디까지나 유니폴리 식 아전인수입니다.'라며 자기 실명은 위키백과에 공개되어 있지 않다고 발언하였습니다.

그러나 RedMosQ님의 실명은 위키백과 내에서 공개되어 있는데다가 스스로 공개한 적도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우선, RedMosQ님은 파일을 올리면서 저자 이름에 자기 이름을 넣는 방법으로 본인의 실명을 다섯 차례 공개했고 이중 한 개는 아직도 저자 이름에 RedMosQ님의 실명이 들어가있습니다.


그리고 옛 사용자토론에서 한 사용자가 RedMosQ님을 실명으로 지칭한 사실을 확인했으며, 여기에 나온 '제가 사용자 문서에 제 정보를 올린 것은 분위기 안 좋을 때 히든카드로 꺼내써라고 올려놓은 것이 아닙니다.'라는 발언을 통해 과거에는 사용자 문서에서도 본인의 실명을 공개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습니다.

본인의 실명이 위키백과에 공개되어있는지 아닌지는 본인의 이름을 위키백과에서 검색하는 방법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 토론:이계덕에서 허위 발언

사용자:안생겨요님의 관리자 권한 회수 발의에서 가져옵니다.

RedMosQ님은 토론:이계덕에서 허위 발언을 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오판을 유도한 혐의가 있습니다.

생성해놓고 바로 보호하는 일반 문서가 위키백과 내에서 무슨 의미가 있단 말인가요. 그냥 Reiro는 문서 생성에만 목적이 있는 것으로 알겠습니다. 그리고 Reiro 혼자 다른 사용자의 동의 없이 총의를 조작한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만약에 저라면 두번째 삭제 토론 이후, 현재 삭제토론 두번이 모두 삭제 총의가 나왔는데 발견한 이러이러한 근거가 있으니, 이 문서를 생성해도 되는지 다른 사용자와 먼저 토론을 해봤을 것입니다. 앞선 두 삭제토론은 말 그대로 가볍게 무시하고, 해당 문서를 다른 사용자와의 토론 없이 문서를 생성한 저의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삭제토론에서 나온 총의를 함부로 자기 멋대로 해석하는 것에 대해서는 상당한 우려를 표합니다. 삭제토론 무단 종결 문제로 물의를 일으킨 분이 지적할 사항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잘못된 지적이기도 하고요. --RedMosQ (토론) 2014년 11월 4일 (화) 20:36 (KST)

여기서 RedMosQ님은 적어도 두가지 허위 발언을 했습니다. Reiro 혼자 다른 사용자의 동의 없이 삭제토론 무단 종결을 했다는 부분과 Reiro님이 이 문서를 생성해도 되는지 다른 사용자와 먼저 토론을 해보지 않았다는 부분입니다.

토론:이계덕/보존1#복구요청에서 열린 토론에 사용자:Reiro님이 이 문서를 생성해도 되는지 토론을 했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며, 토론을 해보지 않았다는 주장은 허위입니다.--안생겨요 (토론) 2014년 12월 18일 (목) 13:32 (KST)답변


사용자:안생겨요님이 밝힌 의견에서 하나 더 추가합니다. RedMosQ님의 발언 내용인 Reiro님이 해당 문서를 생성했다는 부분도 허위인 것으로 보입니다. 토론:이계덕/보존1, 위키백과:삭제 토론/이계덕 (3)을 보아하니 2014년 1월달에 재생성된 문서나 3월 중하순경 재생성된 문서를 생성했다고 볼 수 없는 내용이 발견되었습니다. Reiro님이 2014년 3월에 문서를 재생성했다면 팝저씨님이 ' 기존의 문서를 그대로 살려야 합니다.', '제 의견을 명확하게 밝히면,  삭제사용자:Reiro/창고3이계덕으로  이동 입니다. '라고 말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관리자는 삭제된 문서의 기록을 열람할 권한을 가지고있으므로, 삭제된 문서를 재생성한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허위 발언을 한 것은 관리자 자격 미달입니다.--한일해 (토론) 2015년 3월 25일 (수) 16:33 (KST)답변

또한 위키백과:삭제 토론/이계덕 (3)에서  유지가 3표, 삭제하고 Reiro의 하부 문서를  이동하는 안이 3표, 순전한 삭제는 단 2표였습니다. 그런데 RedMosQ님은 '삭제 의견이 우세하다'는 이유로 삭제하였습니다. --한일해 (토론) 2015년 3월 25일 (수) 16:33 (KST)답변

다중계정 판단 오류

편집

RedMosQ님이 Unypoly의 다중계정이라는 이유로 차단 권한을 행사했다가 당사자가 신분을 인증하면서 철회한 사례가 두 건이나 됩니다. 사용자:Gabitheelf, 사용자;Gravitykipson

이미 누구의 다중계정인지 확인된 IP를 엉뚱한 사용자로 차단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182.222.26.71 [3]

  • Unypoly와 반대되는 의견을 낸 사람을 Unypoly로 잘못 판단한 경우도 있습니다. (사용자:안생겨요님의 회수안에서 가져옵니다)
    • 61.79.167.53 사건
      [4][5] 특:기여/61.79.167.53애초에 총의로 삭제된걸 맘대로 생성한거 부터가 문제 아닌가라고 Unypoly와 반대되는 의견을 남긴 것을 근거로 1개월간 차단했습니다.
    • 211.36.156.122 사건
      ③ RedMosQ님은 해당 문서에 출처로 되어있는 '이계덕' 강제추행 관련 뉴스기사는 모두 '원본'이 삭제됐습니다. 따라서 이는 '출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해서 관련정보를 게시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라는 Unypoly와 반대되는 의견을 낸 IP#의 의견을 2014년 12월 4일 새벽 05시 31분에 다중계정의 의견이라며 삭제합니다. ‎18분 뒤 위키백과:관리자 알림판#유니폴리 최근 활동 사항에 유니폴리가 SKT 데이터망을 이용해 무단으로 접속하는 것으로 보이며 남기는 의견에는 서명을 전혀 적지 않는다고 글을 남겼습니다. 그런데 211.36.156.122 아이피는 http://whois.kisa.or.kr/kor/ KISA whois]에서 LGU+ LTE망 아이피로 나옵니다.

Unypoly의 다중 계정을 다른 사용자의 다중 계정으로 잘못 차단한 경우가 있습니다. 하나는 2013년에 Unypoly의 다중 계정 사용자:Seoul1945사용자:케붐종의 다중계정으로 오인 차단한 사건이고 두 번째는 Unypoly의 다중 계정 사용자:재균임, 사용자:림재균사용자:임재균의 다중계정으로 오인하여 임재균을 무기한 차단한 사건입니다.

차단권한 남용

편집

RedMosQ님은 정책에 의해 '관리자 권한 사용이 금지'된 상태에서 차단 권한을 사용하거나 차단 재검토를 닫는 등의 방법으로 권한을 남용해왔습니다.

  • ① Reiro 사건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4년 제51주#사:RedMosQ님이 분쟁 상대방인 사:Reiro 님을 차단한 것은 직권 남용입니다를 참조해주세요.

  • ② 임재균 사건

RedMosQ님이 처음에 사용자:재균임을 유니폴리가 아닌 사용자:임재균의 다중계정으로 오인해서 임재균을 무기한 차단했습니다. 사실은 재균임을 임재균으로 알고 있었다 하더라도 관리자 권한을 행사해서는 안되는 상황이었습니다.

다중 계정의 이용 및 타 사이트와의 갈등 유도 시도에 의하여 차단을 신청합니다. --콩가루 (토론) 2014년 6월 21일 (토) 13:10 (KST)답변

 완료 해당 사용자를 무기한 차단하였습니다. --RedMosQ (토론) 2014년 6월 21일 (토) 15:16 (KST)답변

타 사이트와의 갈등 유도 시도는 차단 사유가 아닙니다. 위키백과:차단 정책에 차단은 차단 사유와 함께 차단의 필요성이라는 요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차단이 아닌 다른 방법에 의해서도 사태의 해결이 가능하다면 그 방법을 먼저 선택해보도록 해야 합니다. 즉 차단은 보충적으로 행사되어야 하고 제한이나 주의, 토론 등의 조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러한 선행 조치들이 미흡하면 관리자는 사용자를 차단하지 않습니다.

라고 나와있기 때문에 사용자:임재균님이 다중계정으로 차단에 항의했다고 판단한 상태에서 사용자:임재균을 무기한 차단한 것은 권한 남용입니다.

그 후, 임재균님의 토론까지 막은 것은 위키백과:차단 정책#차단 기간과 부가 조치사용자를 차단한 관리자는 개인 정보 유출이나 반복적인 인신 공격 등 긴급한 경우가 아니라면 해당 사용자의 개인 토론 페이지를 잠금 처리할 수 없습니다.에 의해 금지되므로 차단 정책 위반입니다.

  • ③ 차단 재검토 요청 통삭제 및 토론 문서 잠금 사건
사용자토론:빈센트권, 사용자토론:적도원주민의 사례가 있습니다. 설령 사용자토론:적도원주민의 내용이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었다 한들 개인정보를 지운 뒤 특정판 삭제를 하고 문서를 유지시켰어야 합니다.

부적절한 토론 태도

편집

Nuviek님의 제안인 위키백과:사랑방/2013년 제15주#사용자:RedMosQ님 관리자 권한 회수 제안을 참조해주세요.

권한을 안 뺏은 건 여러분들입니다. 이제 다중계정 문제는 공동체 분들께서 알아서 해결하시기 바랍니다.

이런 태도를 가지고 계신 분은 관리자 권한을 계속 가지고 계실 자격이 없다 생각합니다. 저도 참 많이 옹호했었습니다. 옹호한 이후로 문제 발언을 하신 적은 없지만, 스스로 곰곰히 다시 생각해보고 근거들을 모으다보니 관리자 권한 회수 신청이 제대로 한 번 쯤은 들어가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마음이 아프지만 분명 문제가 되는 발언들에 있어서는 공동체에서 다른 사용자에게 대하듯 공평하게 처리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NuvieK 2013년 4월 13일 (토) 09:06 (KST):위키백과:사랑방/2013년 제15주#사용자:RedMosQ님 관리자 권한 회수 제안에서답변

RedMosQ님은 이후 Reiro님이 자신을 비방하는 사용자 문서를 작성했다며 위키백과:사용자 관리 요청/2014년 제50주#Reiro 재차단 요청을 냅니다.

해당 사용자는 사용자:Reiro 문서에서 지속적으로 위키백과:사용자 문서에 명시된, 해서는 안되는 행동, 즉, "공격적이거나 논쟁을 일으킬 수 있는 내용, 특정인을 비방하는 내용" 을 작성하였습니다. 위키백과:사랑방 (일반)/2014년 제49주#이계덕 문서 얼른 복원하죠에서 저와 피요청자가 언쟁을 한 바 있는데, 피요청자의 사용자 문서 발언은, 저의 "위키백과에 문서를 올리는 것은 그만큼 책임감은 가지고 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하신 모양입니다."의 발언에 대한 악의적 비방이라고 볼 수 밖에 없습니다. 그 뿐만이 아니라, 해당 사용자는 [12], [13], [14], 등등 사용자 문서에 심각한 지침 위반 행위를 저질렀습니다

그러나 RedMosQ님은 자기 사용자 문서에서 도발적인 내용을 계속 넣고 있습니다.

위키백과에서 차단된 사용자에 대한 도발이라고만 생각할 수도 있지만, RedMosQ님에 의해 잘못 오인차단된 적이 있는 사용자분들이 본다고 해도 자신의 관리 행위가 항상 옳았던 것처럼 쓰고 있는 RedMosQ님의 사용자 문서에대해 불쾌하게 여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위키백과:사용자 문서#사용자 문서에 쓰면 안 되는 내용에서는 모든 특정인에 대한 비방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한일해 (토론) 2015년 3월 25일 (수) 16:33 (KST)답변

발제문 결론

편집

RedMosQ님의 권한은 회수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전 사용자:Unypoly의 다중계정이 아니므로 다중계정 검사를 하셔도 좋습니다.

이상입니다.--한일해 (토론) 2015년 3월 25일 (수) 16:33 (KST)답변

현재 제가 만든 문서들이 RedMosQ님에 의해 불법적으로 삭제되어있습니다만 제 기여수는 권한회수 발의 직전을 기준으로 204회 특수:통합계정관리/한일해(이제 206회가 되겠네요)이기 때문에 전 권한 회수 발의 자격이 있습니다. --한일해 (토론) 2015년 3월 25일 (수) 16:35 (KST)답변

위키백과에 남자가 많은 이유?

편집

여자가 세상의 반인데 왜 위키백과는 고추밭인가요 -- 이 의견을 2015년 3월 25일 (수) 17:07 (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123.228.81.228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SeGyun2782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백:먹이 --Pectus Solentis (한결같은 자의 가슴) 2015년 3월 25일 (수) 17:12 (KST)답변
위키백과의 남초현상은 한국어판뿐만이 아니라 전 언어판에서의 경향이긴 합니다 :)--Leedors (토론) 2015년 3월 25일 (수) 19:45 (KST)답변
윗 님들의 표현대로 고추밭, 남초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Backtothe (토론) 2015년 4월 5일 (일) 18:56 (KST)답변

신홍식 생몰년

편집

신홍식은 1937년 사망했는데 1939년 사망으로 오랫동안 적혀있었나 봅니다. 그래서 구글을 검색해보니 1939년으로 써있는 웹문서가 상당히 많더군요. 뭐랄까 위키백과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일듯도 합니다. --거북이 (토론) 2015년 3월 27일 (금) 10:36 (KST)답변

전형적인 Wikiality의 표본이네요.--Leedors (토론) 2015년 3월 27일 (금) 12:34 (KST)답변
위키백과를 보다보면 잘못된 정보가 수년간 유지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예를 들면 유명한 영화배우 하정우의 경우 본명인 김성훈의 한자표기가 2012년 공개된 졸업앨범 사진에 의하면 金聖勳인데(참고), 2009년 10월 IP편집자가 金惺勳으로 편집해 넣은 잘못된 정보가(참고), 제가 2014년 11월 수정할 때까지 무려 5년간이나 유지되고 있었습니다. 이런 경우가 한 두 건이 아닙니다. 가끔은 우려스러울정도입니다. --Immortalitas (토론) 2015년 3월 27일 (금) 20:41 (KST)답변

WikiWatchdog

편집

익명의 기고자 중 정부/공공기관 등지에서 편집하는 기고자가 있을 수도 있는데 그걸 알아내게 해주는 도구가 있네요. en:wikiscanner이라는 게 있지만 어째서인지 홈페이지가 열리지 않고 대신 WikiWatchdog이 있나봅니다. 호기심으로 청와대에서 편집한 게 있는지 찾아보니 4건 정도가 있네요.--Leedors (토론) 2015년 3월 28일 (토) 19:06 (KST)답변

오 이건 좀 참신하군요 ㅎㅎ --거북이 (토론) 2015년 3월 30일 (월) 11:33 (KST)답변

다시 인사드립니다.

편집

여지껏 바꾸고 싶던 계정명을 바꾸고 나서 인사를 안 드린 것 같네요. Tsuchiya Hikaru에서 현재의 계정명으로 바꾸었습니다. 늦은 인사감이 있지만 이제라도 다시 인사 올립니다. -- 잿빛동공 (토론) 2015년 3월 29일 (일) 13:38 (KST)답변

사용자:Tsuchiya Hikaru 님은 한국어 위키백과 편집 회수로 1위를 기록한 사용자로 기억합니다. 이번에 계정명을 사용자:Gray eyes로 변경하신 것 같은데, 앞으로도 좋은 기여를 많이 부탁합니다. -- 아사달(Asadal) (토론) 2015년 3월 30일 (월) 03:20 (KST)답변

출처의 형식

편집

신세기 에반게리온#각주를 편집하다가 의논해볼만 해서 글을 남겨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출처의 저자가 일본인, 한국인, 독일인, 미국인 등등이 섞여있고 성명 표기가 영어로 되어 있는 것도 있고 한글로 되어 있는 것도 있고 연월일 표기도 영문식으로 써있거나 한글식으로 써있거나 중구난방 합니다. 해서 제가 어느 한 쪽으로 통일하고 정리해보려고 다른 좋은 글이나 알찬 글을 참조해 고쳐보려고 했는데 어떤 문서는 마찬가지로 저자 표기가 영문으로 되어 있는 것도 있고 한글로 표기되어 있는 것도 있고 통일되어 있지 않습니다. 출처 표기에 대한 지침이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Leedors (토론) 2015년 3월 29일 (일) 19:05 (KST)답변

저자명이나 서적/논문명, 발행처명 등 고유명사는 원어 그대로 가져오되, 날짜나 쪽 정도의 일반명사는 한글로 번역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타언어 위키백과에서 번역해오는 글이 많은 한국어 위키백과의 특성상 출처도 원어 그대로 토씨 하나 바꾸지 않고 가져오는 일이 많은데, 날짜 정도는 한국어로 바꾸어 쓰는 성의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다만 저자 이름이나 출처명 등 고유명사는 한글로 바꿀 시 표기법이 다양해 혼동의 여지가 있을 수 있으므로 원어로 쓰는 편이 적확할 것 같습니다. Bluemersen (+) 2015년 3월 30일 (월) 04:21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