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아찌아어(바하사 찌아찌아, Bahasa Cia-Cia)는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 부톤섬 남부의 바우바우 시에서 쓰는 언어의 하나로서 말 그대로 소수 부족인 찌아찌아족이 쓰는 언어이다. ‘찌아찌아’라는 이름은 ‘아니오’란 뜻의 찌아찌아어 낱말 ‘찌아’에서 왔다.[1] 부톤섬 남부에서는 토착어로서, 교통어인도네시아어, 월리오어와 함께 쓰인다.

찌아찌아어
Bahasa Cia-Cia
바하사 찌아찌아
사용 국가 인도네시아의 기 인도네시아
사용 지역 술라웨시 남동부, 부톤섬 남부, 비농코섬(Binongko), 바투아타스섬(Batu Atas)
언어 인구 79,000명[1]
문자 로마자
한글
군둘 문자 (과거에 사용됨)
언어 계통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술라웨시어군
   무나부톤어군
    부톤어군
     찌아찌아어
언어 부호
ISO 639-3 cia 찌아찌아어
글로톨로그 ciac1237[2]

자음 편집

양순음 치경음 후치경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
비음 m n ŋ
파열음 무성음 p t t͡ʃ k ʔ
유성음 b d d͡ʒ ɡ
내파음 ɓ ɗ
마찰음 β s h
접근음 l
R음 (r) (ʁ)

모음 편집

전설 모음 후설 모음
고모음 i u
중모음 e o
저모음 a

문자의 역사 편집

 
초등학교
 
학생이 칠판에 글을 쓰고 있다.

인도네시아 내에는 소수 민족들이 매우 많기 때문에 약 250가지 언어가 존재한다. 찌아찌아족은 약 6만 명 정도이며 민족 고유의 언어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그들에겐 음성 언어는 있어도 고유의 문자 언어는 없었기 때문에 인도네시아어, 영어, 그리고 아랍어(알파벳에 기초한 자위 문자와 비슷한 군둘 문자) 등의 다른 민족 언어의 문자를 빌려와 사용해 왔다. 여기에는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한글이 2009년에 공식 표기 문자로 제안되었다. 즉, 찌아찌아족은 한글을 자극 전파 받은 것이다.[3][4][5] 그 이유에는 짧은 기간 동안 쉽게 배울 수 있으며, 발음기호 없이 말하는 대로 적을 수 있는 표음 문자라는 점 등이 큰 장점으로 작용하였다.[6] 이에 한국 정부 및 여러 민간 단체에서 적극 지원해 주고 있다.[7][8]

하지만 2010년 9월 주미 인도네시아 대사 니콜라스 담멘과 찌아찌아족을 훈민정음(한글)학회에 처음 소개시켜준 한국외국어대 전태현 교수(말레이·인도네시아통번역학과)는 코리아타임스 인터뷰에서 찌아찌아어가 공식 표기 문자가 되었다는 것은 과장된 부분이 있고 또한 인도네시아 정부와 법적 분쟁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9] 두 사람에 의하면 찌아찌아족은 교육열이 높고 이미 로마자를 쓰고 있다고 밝혔으며 한글 교육 또한 로마자를 사용해 이루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코리아타임스에 의하면 인도네시아 대사는 훈민정음 전파사업의 일방적 추진과 잘못된 언론 보도를 수차례 훈민정음학회와 바우바우 시장에 경고했고 이로 인해 바우바우 시장이 서울시와 MOU를 맺지 못해 의향서를 체결하게 되었다 한다.[10][11]

인도네시아 정부는 공식문자 채택을 위해서는 인도네시아 정부와 관련 부처에 보고가 되고 승인이 되어야 하지만 2010년 1월 말 현재 바우바우 시장은 서울시와의 문화교류 의향서만을 보고한 상태라 한다. 훈민정음학회 부회장이기도 했던 전태현 교수는 이 신문에서 한글 수출이 인도네시아에서 위헌소지가 있으며 또한 한글판 찌아찌아어 교과서가 문제가 많이 있음을 지적한다. 교제 편찬에 부족을 대표해 현지 영어 교사인 아비딘만이 참여했고 결과적으로 교과서에 찌아찌아족과 인도네시아어가 섞였으며 찌아찌아어에 존재하는 계층어가 반영이 안 되었다 한다.[12]

2012년 6월 서울시에서 한글 교사 양성위해 찌아찌아족 교사 4명을 초빙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방학동안 연수하였다.[13] 하지만 2012년 8월 31일에 자금난으로 인해 세종학당이 바우바우 시에서 철수했다.[14] 2012년 10월 18일에 대한민국은 찌아찌아족이 한글을 공식문자로 채택했다는 잘못된 내용의 교과서시정에 나섰다.[15] 하지만 찌아찌아족의 한글 사용은 현지법에 저촉되지 않으며, 문자발전사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 수 있다.[16][17]

현재 훈민정음학회와 서울시 그리고 바우바우시나 찌아찌아족과의 공식적인 교류 관계는 단절된 상태이다. 하지만 한국찌아찌아문화교류협회, 원암재단, 부산장학회 등 민간단체들에 의해 부톤섬에서의 한글 나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18][19][20][21] 2017년 학교와 지역 표지판에 한글이 사용되었고[22], 2022년 첫 번째 찌아찌아 사전이 출판되었다. 한글판은 2023년에 출판될 예정이다.

찌아찌아 학교 근황 편집

https://www.youtube.com/watch?v=aXJhhHTQHrk

2023년 9월, 찌아찌아족이 사는 까루야 바루를 방문한 여행 한 유튜버에 의해 고발 영상을 게재되었다. 한국어 교육은 까루야바루 초등학교에서 매주 토요일 2시간밖에 진행되지 않으며 한국어를 가르치던 인도네시아인 교사도 인근 고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고 있다고 한다. 십수 년 전부터 한글을 가르쳤지만 대부분의 졸업생들은 이미 그걸 잊어버린 지 오래인데도 후원금을 받고 새 건물만 올렸다고 한다.[23] 한국인 교사와 현지 교사와의 바하사 찌아찌아2에 대한 저작권 논쟁이 있다.

찌아찌아족이 사는 까루야바루에 그 어떤 한국인 교사도 거주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도 현지인들의 증언을 통해 밝혔다.

실제 현지에서의 한글 사용은 매우 저조하며 도로명 표기와 몇몇 간판을 확인 할 수 있다. 한글학교에서의 수업은 고발 유튜브 동영상에서 보듯 화요일 하루만 이루어졌으며, 까르야바루와는 차로 30분이상이나 되는 거리이다. 다만 시내에도 찌아찌아족은 많이 살고 있다고하며, 까르야바루 뿐만 아니라 남부톤군이나 부톤군 등 다른 지역에도 찌아찌아족이 살고 있는 만큼 고려 대상은 될 수 있다. 하지만 여전히 문제점인 것은 학생들의 접근성으로 대학교나 중고등학교와 거리가 멀고 현지 교통수단인 오젝이용에도 애로점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좀 더 객관적인 시선으로 볼 필요가 있다. 상기에 기록된 현지 유튜브 동영상을 봐도 한글학교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시내의 고등학교에서 한국어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더군다나 현지인들의 인터뷰 영상이나 초등학생이 교과서를 보며 한자한자 읽는 모습을 보면 한글나눔도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고발된 동영상의 현지인은 토요일 2시간 수업을 한다고하지만 이 역시 정기적이지 않으며, 심지어 한국사람이 왔을때만 수업을 한다는 의견도 있다.

후원자체에 대한 문제도 고발 유튜브영상 또한 광고로 돈을 벌기도하고 실제 해당 유튜버도 후원계좌를 만들어 후원을 받고 있는 만큼 후원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의 공지와 지출내역을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함이 옳다.

이 밖에도 현지를 다녀간 다른 유튜버들이 올린 동영상도 많다. 다양한 자료를 통해 종합적으로 보고 객관적으로 평가해야한다.

한글학교와 그곳에서 진행되는 한국어 수업내용을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rVWgItsEpo

현지 학생이 교과서 나온 내용의 책을 읽는 장면이나 현지인들의 생각을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kRtLX98yAc

바우바우시 제2고등학교에서 진행하는 한국어수업. 학생들이 아이유가 부른 '너의 의미'노래를 부르기도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8dfhTQCoHbg

초루TV - 현지 방문 영상, 까르야바루의 제 6 고등학교에 한글표기를 볼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k1OuTgYTPw

Ellen Choi - 아비딘 한국방문 수상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nZpnJ4x8i_o

한글 표기 편집

찌아찌아 문자
자음
IPA [ɡ] [k] [n] [ɗ] [d] [t] [r ~ ʁ, l] [m] [ɓ] [v] [b] [p] [s] [-, ʔ, ŋ] [dʒ] [tʃ] [h]
모음
IPA [a] [e] [o] [u] [i] null

찌아찌아어의 한글 표기에서는 현대에 쓰이는 한글과 함께 순경음비읍(ㅸ)이 쓰인다.[24] 이때문에 찌아찌아어를 한글로 입력하려면 옛 한글을 지원하는 소수의 편집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다. 또한 찌아찌아어에서 ㅍ과 ㅌ은 한국어와는 달리 유성음으로 쓰인다.[출처 필요] 'ㅡ'는 음가를 가지는 글자가 아니고, 모음 없이 자음이 여러 개 겹칠 때 자음들을 받쳐주기 위해 쓰이거나, 치경 설측 접근음을 표현할 때 '을르'와 같이 쓰인다.

표기 예제는 다음과 같다.[25]

아디 세링 빨리 노논또 뗄레ᄫᅵ시[26]. 아마노 노뽀옴바에 이아 나누몬또 뗄레ᄫᅵ시 꼴리에 노몰렝오.
adi sering pali nononto televisi. amano nopo'ombae ia nanumonto televisi kolie nomolengo.

단어 예시 편집

숫자 1-10[27]
하나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로마자 dise, ise rua, ghua tolu pa'a lima no'o picu walu, oalu siua ompulu
찌아찌아어
부리 (글을) 쓰다
뽀가우 말하다
바짜안 읽다
까아나
시골라 학교
사요르 채소
보꾸

[28][29][30]

회화 예시 편집

찌아찌아어
따리마 까시 감사합니다
인디우 미안노 찌아찌아 저는 찌아찌아인입니다
인다우 뻬엘루 이소오 사랑합니다
모아뿌 이사우 실례합니다
움베
찌아 아니요

[31]

참조 편집

각주 편집

  1. 찌아찌아어 (에스놀로그)
  2.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Cia-Cia〉.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3. 찌아찌아 이웃 부족도 한글 관심…부톤섬은 한글 세계화 전초기지- 중앙일보 뉴스
  4. [글로벌 아이] 한글을 세계화하려면- 중앙일보 뉴스
  5. 한글로 소통하는 찌아찌아족 - 1등 인터넷뉴스 조선닷컴
  6. “글과 '찌아찌아'족”. 2015년 9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4일에 확인함. 
  7. “정치권 ‘한글 세계화 지원’ 한 목소리”. 2011년 1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11월 4일에 확인함. 
  8. [서울신문] “찌아찌아족 한국어 선생님 찾습니다”
  9. Korea Times, Quest to Globalize 'Hangeul' Raises Questions, 한글 세계화 사업에 제기되는 의문들
  10. 중앙일보, 찌아찌아족 서울시와 MOU 체결한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1. 조선일보, 찌아찌아족 서울시와 의향서 체결했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2. Korea Times, Quest to Globalize 'Hangeul' Raises Questions, 한글 세계화 사업에 제기되는 의문들
  13. >찌아찌아족 교사들, 한글 단체 연수 오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4. 印尼 찌아찌아족 세종학당 자금난 7개월 만에 철수
  15. ‘찌아찌아족 한글 공식 문자로 채택’을… ‘부족어 표기에 한글 교육 실시’로 수정
  16. 찌아찌아족 한글 교육의 실태에 관한 연구 - 전태현
  17. 찌아찌아족 한글 교육의 실태에 관한 연구 - 전태현
  18. “한글을 쓰는 인도네시아 부족?”. 2019년 4월 1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4월 19일에 확인함. 
  19. 한글 도입한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 요즘은 - 매일경제
  20. 한글 도입 9년, 찌아찌아족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 주간조선
  21. 한국찌아찌아문화교류협회[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2. “Wow... Ada Kampung Korea di Sulawesi Tenggara!” [Wow... There's a Korean village in Southeast Sulawesi]. 《Kompas TV》 (인도네시아어). 2017년 4월 7일 – YouTube 경유. 
  23. 뒤의 조선일보 기사에 따르면 이 건물이 준공된 것은 2022년 8월이다.
  24. “사라질 소수민족 언어 ‘한글’로 새 생명”. 경향신문. 
  25. “인도네시아에 한글 사용하는 섬 생겼다”. 2009년 8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12일에 확인함. 
  26. 텔레비전
  27. Numbers in Austronesian languages
  28. “인도네시아에 한글 사용하는 섬 생겼다”. 2009년 8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12일에 확인함. 
  29. “‘따리마까시(고마워요), 한글’”. 2009년 8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26일에 확인함. 
  30. [1][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1. “세계속의 한글/이의민”. 2020년 10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8월 26일에 확인함. 

문헌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