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만 기하학 에서 킬링 벡터장 (Killing vector場, 영어 : Killing vector field )은 주어진 리만 다양체 의 등거리 변환 의 무한소 생성원인 벡터장 이다.[ 1] :214, 부록 C 즉, 리만 다양체의 대칭을 나타낸다. 킬링 벡터들은 리 대수 를 이루며, 이는 다양체의 등거리 변환군의 리 대수로 생각할 수 있다.
일반화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벡터장
X
∈
Γ
(
T
M
)
{\displaystyle X\in \Gamma (\mathrm {T} M)}
에 대하여, 리 미분
L
X
g
{\displaystyle {\mathcal {L}}_{X}g}
을 정의할 수 있다. 이는 (0,2)-텐서장들의 벡터 공간 위의 선형 변환 을 정의한다.
만약
L
X
g
=
0
{\displaystyle {\mathcal {L}}_{X}g=0}
이 성립한다면,
X
{\displaystyle X}
를
(
M
,
g
)
{\displaystyle (M,g)}
의 킬링 벡터장
X
∈
Γ
(
T
M
)
{\displaystyle X\in \Gamma (\mathrm {T} M)}
이라고 한다. 보다 추상적으로, 킬링 벡터장들의 벡터 공간 은 선형 변환
X
↦
L
X
g
{\displaystyle X\mapsto {\mathcal {L}}_{X}g}
의 핵 이다. 즉, 두 킬링 벡터장들의 합은 킬링 벡터장이며, 킬링 벡터장들의 상수 스칼라와의 곱 역시 킬링 벡터장이다.
L
X
g
=
0
{\displaystyle {\mathcal {L}}_{X}g=0}
을 국소 좌표계로 쓰면 다음과 같다.[ 2] :§3.3, (3.10)
∇
(
μ
X
ν
)
=
0
{\displaystyle \nabla _{(\mu }X_{\nu )}=0}
여기서
∇
{\displaystyle \nabla }
는 공변 미분 이다. 즉, 킬링 벡터장의 조건은 공변 상수 벡터장의 조건(
∇
μ
X
ν
=
0
{\displaystyle \nabla _{\mu }X_{\nu }=0}
)을 약화시킨 것이다.
(
M
,
g
)
{\displaystyle (M,g)}
의 등거리 변환 들은 (유한 차원) 리 군
Isom
(
M
,
g
)
=
{
f
∈
C
∞
(
M
;
M
)
:
f
∗
g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Isom} (M,g)=\{f\in {\mathcal {C}}^{\infty }(M;M)\colon f^{*}g=g\}}
을 이루며, 킬링 벡터장들은 등거리 변환군의 리 대수
i
s
o
m
(
M
,
g
)
{\displaystyle {\mathfrak {isom}}(M,g)}
를 이룬다.
일반화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의 킬링 벡터장
X
{\displaystyle X}
가 주어졌을 때, 부분 집합
{
x
∈
M
:
g
(
X
,
X
)
|
x
=
0
}
{\displaystyle \{x\in M\colon g(X,X)|_{x}=0\}}
을
X
{\displaystyle X}
의 킬링 지평선 (Killing地平線, 영어 : Killing horizon )이라고 한다.[ 2] :§3.3 이는 일반적으로 특이점을 가져 다양체 가 아닐 수 있다.
정의에 따라, 모든 킬링 벡터장은 등각 벡터장 이다.
일반화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의 킬링 벡터장들의 벡터 공간은 리 대수 를 이룬다. 즉, 두 킬링 벡터장의 리 괄호 역시 킬링 벡터장이다. 같은 차원과 부호수를 갖는 두 일반화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
(
M
′
,
g
′
)
{\displaystyle (M',g')}
에 대하여, 표준적으로
i
s
o
m
(
M
⊔
M
′
,
g
⊔
g
′
)
≅
i
s
o
m
(
M
,
g
)
⊕
i
s
o
m
(
M
′
,
g
′
)
{\displaystyle {\mathfrak {isom}}(M\sqcup M',g\sqcup g')\cong {\mathfrak {isom}}(M,g)\oplus {\mathfrak {isom}}(M',g')}
이다.
k
{\displaystyle k}
개의 연결 성분 을 갖는,
n
{\displaystyle n}
차원의 일반화 리만 다양체 의 킬링 리 대수의 차원은
k
n
(
n
+
1
)
/
2
{\displaystyle kn(n+1)/2}
이하이다.[ 3] :443, §C.3 (이 상한은 예를 들어 유클리드 공간 ·초구 ·쌍곡 공간 ·민코프스키 공간 ·더 시터르 공간 ·반 더 시터르 공간 및 이들의 분리합집합 에 의하여 포화된다.)
콤팩트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만약
M
{\displaystyle M}
의 리치 곡률 텐서 가 음의 정부호 이차 형식 이라면, 킬링 벡터장은 0 밖에 없다.
만약 모든 단면 곡률 이 양수이며,
M
{\displaystyle M}
의 차원이 짝수라면, 모든 킬링 벡터장은 항상 0을 갖는다. (즉, 임의의 킬링 벡터장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X
|
x
=
0
∈
T
x
M
{\displaystyle X|_{x}=0\in \mathrm {T} _{x}M}
인
x
∈
M
{\displaystyle x\in M}
이 존재한다.
일반화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의 킬링 벡터장
X
{\displaystyle X}
의 발산 은 0이다.
∇
⋅
X
=
0
{\displaystyle \nabla \cdot X=0}
유도:
∇
⋅
X
=
g
μ
ν
∇
μ
X
ν
=
1
2
g
μ
ν
(
∇
μ
X
ν
−
∇
ν
X
μ
)
=
1
2
(
g
μ
ν
−
g
ν
μ
)
∇
μ
X
ν
=
0
{\displaystyle \nabla \cdot X=g^{\mu \nu }\nabla _{\mu }X_{\nu }={\frac {1}{2}}g^{\mu \nu }(\nabla _{\mu }X_{\nu }-\nabla _{\nu }X_{\mu })={\frac {1}{2}}(g^{\mu \nu }-g^{\nu \mu })\nabla _{\mu }X_{\nu }=0}
X
{\displaystyle X}
의 2차 공변 미분은 다음과 같이 리만 곡률 텐서 에 비례한다.[ 3] :442, (C.3.6)
∇
μ
∇
ν
X
ρ
=
R
ρ
ν
μ
σ
X
σ
{\displaystyle \nabla _{\mu }\nabla _{\nu }X_{\rho }=R_{\rho \nu \mu \sigma }X^{\sigma }}
유도:
리만 곡률 텐서 의 정의에 따라
[
∇
μ
,
∇
ν
]
X
ρ
=
R
μ
ν
ρ
σ
X
σ
{\displaystyle [\nabla _{\mu },\nabla _{\nu }]X_{\rho }=R_{\mu \nu \rho }{}^{\sigma }X_{\sigma }}
이다. 킬링 벡터장의 정의에 따라
∇
μ
∇
ν
X
ρ
+
∇
ν
∇
ρ
X
μ
=
R
μ
ν
ρ
σ
X
σ
{\displaystyle \nabla _{\mu }\nabla _{\nu }X_{\rho }+\nabla _{\nu }\nabla _{\rho }X_{\mu }=R_{\mu \nu \rho }{}^{\sigma }X_{\sigma }}
이다. 이제, 양변에
(
μ
,
ν
,
ρ
)
{\displaystyle (\mu ,\nu ,\rho )}
에 대한 순환에 대하여 대칭화하면,
2
(
∇
μ
∇
ν
X
ρ
+
∇
ν
∇
ρ
X
μ
+
∇
ρ
∇
μ
X
ν
)
=
(
R
μ
ν
ρ
σ
+
R
ν
ρ
μ
σ
+
R
ρ
μ
μ
σ
)
X
σ
=
0
{\displaystyle 2(\nabla _{\mu }\nabla _{\nu }X_{\rho }+\nabla _{\nu }\nabla _{\rho }X_{\mu }+\nabla _{\rho }\nabla _{\mu }X_{\nu })=(R_{\mu \nu \rho }{}^{\sigma }+R_{\nu \rho \mu }{}^{\sigma }+R_{\rho \mu \mu }{}^{\sigma })X_{\sigma }=0}
이다. 따라서,
∇
μ
∇
ν
X
ρ
=
−
(
∇
ν
∇
ρ
X
μ
+
∇
ρ
∇
μ
X
ν
)
=
−
∇
ν
∇
ρ
X
μ
+
∇
ρ
∇
ν
X
μ
=
R
ρ
ν
μ
σ
X
σ
{\displaystyle \nabla _{\mu }\nabla _{\nu }X_{\rho }=-(\nabla _{\nu }\nabla _{\rho }X_{\mu }+\nabla _{\rho }\nabla _{\mu }X_{\nu })=-\nabla _{\nu }\nabla _{\rho }X_{\mu }+\nabla _{\rho }\nabla _{\nu }X_{\mu }=R_{\rho \nu \mu \sigma }X^{\sigma }}
이다.
특히,
X
{\displaystyle X}
의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 는 다음과 같이 리치 곡률 텐서 에 비례한다.[ 3] :443, (C.3.9)
∇
2
X
μ
=
−
R
μ
ν
X
ν
{\displaystyle \nabla ^{2}X_{\mu }=-R_{\mu \nu }X^{\nu }}
특히, 아인슈타인 방정식 의 진공해의 경우
R
μ
ν
=
0
{\displaystyle R_{\mu \nu }=0}
이며,
X
μ
{\displaystyle X_{\mu }}
의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 는 0이다. 물리학적으로, 이는
X
μ
{\displaystyle X_{\mu }}
가 진공 맥스웰 방정식 을 만족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X
μ
{\displaystyle X_{\mu }}
는 로렌츠 게이지 조건
∇
⋅
X
=
0
{\displaystyle \nabla \cdot X=0}
역시 자동적으로 만족시킨다. 이 사실을 통해 아인슈타인-맥스웰 계의 일부 해를 구할 수 있다.[ 4]
일반화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의 킬링 벡터장
X
{\displaystyle X}
와 측지선
γ
:
R
→
M
{\displaystyle \gamma \colon \mathbb {R} \to M}
γ
:
t
↦
γ
(
t
)
{\displaystyle \gamma \colon t\mapsto \gamma (t)}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
d
d
t
g
(
X
|
γ
(
t
)
,
γ
˙
(
t
)
)
=
0
∀
t
∈
R
{\displaystyle {\frac {\mathrm {d} }{\mathrm {d} t}}g(X|_{\gamma (t)},{\dot {\gamma }}(t))=0\qquad \forall t\in \mathbb {R} }
즉, 킬링 벡터장
X
{\displaystyle X}
가 주어졌을 때, 속력 과 킬링 벡터장의 내적
g
(
X
,
γ
˙
)
{\displaystyle g(X,{\dot {\gamma }})}
는 측지선 을 따라 변하지 않는 물리량이다.
유도:
벡터장
Y
{\displaystyle Y}
가
Y
|
γ
(
t
)
=
γ
˙
(
t
)
∈
T
γ
(
t
)
M
∀
t
∈
R
{\displaystyle Y|_{\gamma (t)}={\dot {\gamma }}(t)\in \mathrm {T} _{\gamma (t)}M\qquad \forall t\in \mathbb {R} }
인 임의의 벡터장이라고 하자. (만약
γ
{\displaystyle \gamma }
가 단사 함수 가 아니라면, 이는 조각별로 정의하면 된다.)
측지선은 측지선 방정식
(
Y
μ
∇
μ
Y
ν
)
|
γ
(
t
)
=
0
∀
t
∈
R
{\displaystyle (Y^{\mu }\nabla _{\mu }Y^{\nu })|_{\gamma (t)}=0\qquad \forall t\in \mathbb {R} }
을 만족시키므로, 킬링 벡터장의 정의에 의하여
d
d
t
g
(
X
|
γ
(
t
)
,
γ
˙
(
t
)
)
=
Y
μ
∇
μ
(
X
ν
Y
ν
)
|
γ
(
t
)
=
Y
μ
(
(
∇
μ
X
ν
)
Y
ν
+
X
ν
∇
μ
Y
ν
)
|
γ
(
t
)
=
0
{\displaystyle {\frac {\mathrm {d} }{\mathrm {d} t}}g(X|_{\gamma (t)},{\dot {\gamma }}(t))=\left.Y^{\mu }\nabla _{\mu }(X_{\nu }Y^{\nu })\right|_{\gamma (t)}=\left.Y^{\mu }\left((\nabla _{\mu }X_{\nu })Y^{\nu }+X_{\nu }\nabla _{\mu }Y^{\nu }\right)\right|_{\gamma (t)}=0}
이다.
마찬가지로, 일반 상대성 이론 에서는 뇌터 정리 에 따라 각 킬링 벡터장에 대응하는 보존 법칙 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에너지-운동량 텐서
T
μ
ν
=
(
R
μ
ν
−
R
g
μ
ν
/
2
)
/
(
8
π
G
)
{\displaystyle T_{\mu \nu }=(R_{\mu \nu }-Rg_{\mu \nu }/2)/(8\pi G)}
를 생각할 때,
∇
μ
T
μ
ν
=
0
{\displaystyle \nabla _{\mu }T^{\mu \nu }=0}
T
μ
ν
=
T
ν
μ
{\displaystyle T^{\mu \nu }=T^{\nu \mu }}
이므로, 임의의 벡터장
X
μ
{\displaystyle X^{\mu }}
에 대하여
∇
μ
(
T
μ
ν
X
ν
)
=
T
μ
ν
∇
μ
X
ν
=
1
2
T
μ
ν
(
∇
μ
X
ν
+
∇
ν
X
μ
)
{\displaystyle \nabla _{\mu }(T^{\mu \nu }X_{\nu })=T^{\mu \nu }\nabla _{\mu }X_{\nu }={\frac {1}{2}}T^{\mu \nu }\left(\nabla _{\mu }X_{\nu }+\nabla _{\nu }X_{\mu }\right)}
이다. 따라서, 만약
X
μ
{\displaystyle X^{\mu }}
가 킬링 벡터장이라면
T
μ
ν
X
ν
{\displaystyle T^{\mu \nu }X_{\nu }}
는 공변 보존류이다.
킬링 지평선의 경우, 대응하는 표면 중력 을 정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화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의 킬링 벡터장
X
{\displaystyle X}
가 주어졌을 때, 항상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κ
:
{
x
∈
M
:
g
(
X
,
X
)
|
x
=
0
}
→
R
{\displaystyle \kappa \colon \{x\in M\colon g(X,X)|_{x}=0\}\to \mathbb {R} }
가 존재하며, 이
κ
{\displaystyle \kappa }
를 킬링 지평선
{
x
∈
M
:
g
(
X
,
X
)
|
x
=
0
}
{\displaystyle \{x\in M\colon g(X,X)|_{x}=0\}}
의 표면 중력 이라고 한다.
∂
μ
(
g
(
X
,
X
)
)
=
−
2
κ
g
μ
ν
X
ν
{\displaystyle \partial _{\mu }\left(g(X,X)\right)=-2\kappa g_{\mu \nu }X^{\nu }}
이 등식은 다음과 같이 쓸 수도 있다.
X
μ
∇
μ
X
ν
=
κ
X
ν
{\displaystyle X^{\mu }\nabla _{\mu }X^{\nu }=\kappa X^{\nu }}
위 등식의 좌변은 일종의 "가속도"이므로,
κ
{\displaystyle \kappa }
를 일종의 "중력장"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일부 경우,
κ
{\displaystyle \kappa }
는 사실 킬링 지평선 위의 상수 함수 임을 보일 수 있다.[ 2] :§3.3
킬링 지평선이 (민코프스키 공간의
x
∂
t
+
t
∂
x
{\displaystyle x\partial _{t}+t\partial _{x}}
와 같이) 서로 교차하는 두 잎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우세 에너지 조건 이 성립할 경우
d
+
1
{\displaystyle d+1}
차원 로런츠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의 킬링 벡터장
X
{\displaystyle X}
가 주어졌다고 하자. 또한,
X
{\displaystyle X}
가
U
⊆
M
{\displaystyle U\subseteq M}
에서 시간꼴 벡터장이라고 하자 (즉,
g
(
X
,
X
)
|
x
<
0
∀
x
∈
U
{\displaystyle g(X,X)|_{x}<0\qquad \forall x\in U}
). 그렇다면, 다음과 같은 꼴의 국소 좌표계
(
t
,
x
i
)
{\displaystyle (t,x^{i})}
를 정의할 수 있다.
d
s
2
=
−
f
(
x
)
2
(
d
t
+
θ
i
(
x
)
d
x
i
)
2
+
h
i
j
(
x
)
d
x
i
d
x
j
{\displaystyle \mathrm {d} s^{2}=-f(x)^{2}(\mathrm {d} t+\theta _{i}(x)\mathrm {d} x^{i})^{2}+h_{ij}(x)\,\mathrm {d} x^{i}\,\mathrm {d} x^{j}}
여기서
h
i
j
{\displaystyle h_{ij}}
는 양의 정부호 이차 형식 이며,
i
,
j
∈
{
1
,
2
,
…
,
d
}
{\displaystyle i,j\in \{1,2,\dots ,d\}}
이며, 또한
f
{\displaystyle f}
와
θ
i
{\displaystyle \theta _{i}}
와
h
i
j
{\displaystyle h_{ij}}
는
(
x
1
,
…
,
x
d
)
{\displaystyle (x^{1},\dots ,x^{d})}
에만 의존하고,
t
{\displaystyle t}
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 경우,
h
i
j
{\displaystyle h_{ij}}
를 궤도 공간 계량 (軌道空間計量, 영어 : orbit-space metric )이라고 한다.
킬링 벡터장의 개념을, 접다발 대신 다른 벡터 다발 의 단면 에 대하여 일반화할 수 있다.
유사하게 킬링 텐서 및 킬링 스피너 장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킬링 2-텐서장
T
{\displaystyle T}
는 다음을 만족한다.
L
X
T
=
0
{\displaystyle {\mathcal {L}}_{X}T=0}
∇
(
μ
T
ν
ρ
)
=
0
{\displaystyle \nabla _{(\mu }T_{\nu \rho )}=0}
켈러 다양체 는 리만 구조 와 더불어 복소 구조 를 갖춘다. 따라서, 켈러 다양체의 대칭은 복소 구조를 보존시키는 특수한 킬링 벡터장에 의하여 주어진다. 이를 정칙 킬링 벡터장 (正則Killing vector場, 영어 : holomorphic Killing vector field )라고 한다.[ 5] :239–244 [ 6] :266–270 켈러 다양체의 접다발
T
M
C
{\displaystyle TM^{\mathbb {C} }}
은 정칙적 부분
T
+
M
{\displaystyle T^{+}M}
과 반정칙적 부분
T
−
M
{\displaystyle T^{-}M}
으로 나뉜다. 정칙 킬링 벡터장은
T
+
M
{\displaystyle T^{+}M}
의 단면이다.
X
i
{\displaystyle X^{i}}
가 켈러 다양체
(
M
,
g
i
ȷ
¯
)
{\displaystyle (M,g_{i{\bar {\jmath }}})}
위의 정칙 킬링 벡터장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킬링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i
X
k
g
k
ȷ
¯
+
∇
¯
ȷ
¯
X
¯
k
¯
g
k
¯
i
=
0
{\displaystyle \nabla _{i}X^{k}g_{k{\bar {\jmath }}}+{\bar {\nabla }}_{\bar {\jmath }}{\bar {X}}^{\bar {k}}g_{{\bar {k}}i}=0}
이에 따라,
X
{\displaystyle X}
는 국소적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X
i
=
−
i
g
i
ȷ
¯
∂
¯
ȷ
¯
D
(
z
,
z
¯
)
{\displaystyle X^{i}=-ig^{i{\bar {\jmath }}}{\bar {\partial }}_{\bar {\jmath }}D(z,{\bar {z}})}
X
¯
ı
¯
=
i
g
j
ı
¯
∂
j
D
(
z
,
z
¯
)
{\displaystyle {\bar {X}}^{\bar {\imath }}=ig^{j{\bar {\imath }}}\partial _{j}D(z,{\bar {z}})}
여기서
D
(
z
,
z
¯
)
{\displaystyle D(z,{\bar {z}})}
는 킬링 퍼텐셜 (영어 : Killing potential )이라고 불리는, 국소적으로 정의된 실수 함수다. 이는 운동량 사상 의 한 예로 볼 수 있다.
공변 상수 벡터장 (즉,
∇
μ
X
ν
=
0
{\displaystyle \nabla _{\mu }X^{\nu }=0}
인 벡터장
X
{\displaystyle X}
)은 정의에 따라 킬링 벡터장이다.
일반화 리만 다양체
(
M
,
g
)
{\displaystyle (M,g)}
의 킬링 벡터장
X
{\displaystyle X}
및 국소 좌표계
(
x
1
,
…
,
x
n
)
{\displaystyle (x^{1},\dots ,x^{n})}
이 주어졌으며, 계량 텐서
g
μ
ν
{\displaystyle g_{\mu \nu }}
의 성분이
x
1
{\displaystyle x^{1}}
에 의존하지 않는다고 하자.
∂
∂
x
1
g
μ
ν
=
0
∀
μ
,
ν
∈
{
1
,
…
,
n
}
{\displaystyle {\frac {\partial }{\partial x^{1}}}g_{\mu \nu }=0\qquad \forall \mu ,\nu \in \{1,\dots ,n\}}
그렇다면, 벡터장
∂
∂
x
1
{\displaystyle {\frac {\partial }{\partial x^{1}}}}
은 킬링 벡터장이다.
유도:
벡터장
X
μ
=
δ
1
μ
{\displaystyle X^{\mu }=\delta _{1}^{\mu }}
이 주어졌을 때,
X
μ
=
g
μ
ν
X
ν
=
g
μ
1
{\displaystyle X_{\mu }=g_{\mu \nu }X^{\nu }=g_{\mu 1}}
이다. 그렇다면,
∇
ν
X
μ
+
∇
μ
X
ν
=
∂
ν
X
μ
+
∂
μ
X
ν
−
2
Γ
μ
ν
ρ
X
ρ
=
∂
ν
g
μ
1
+
∂
μ
g
ν
1
−
(
∂
ν
g
1
μ
+
∂
μ
g
1
ν
−
∂
1
g
μ
ν
)
=
∂
1
g
μ
ν
{\displaystyle \nabla _{\nu }X_{\mu }+\nabla _{\mu }X_{\nu }=\partial _{\nu }X_{\mu }+\partial _{\mu }X_{\nu }-2\Gamma _{\mu \nu }^{\rho }X_{\rho }=\partial _{\nu }g_{\mu 1}+\partial _{\mu }g_{\nu 1}-(\partial _{\nu }g_{1\mu }+\partial _{\mu }g_{1\nu }-\partial _{1}g_{\mu \nu })=\partial _{1}g_{\mu \nu }}
이다.
D
{\displaystyle D}
차원 시공간의 슈바르츠실트 계량
d
s
2
=
−
(
1
−
(
r
0
/
r
)
D
−
3
)
d
t
2
+
(
1
−
(
r
0
/
r
)
D
−
3
)
−
1
d
r
2
+
r
2
d
Ω
D
−
2
2
{\displaystyle \mathrm {d} s^{2}=-\left(1-(r_{0}/r)^{D-3}\right)dt^{2}+\left(1-(r_{0}/r)^{D-3}\right)^{-1}\,\mathrm {d} r^{2}+r^{2}\,\mathrm {d} \Omega _{D-2}^{2}}
에서,
∂
/
∂
t
{\displaystyle \partial /\partial t}
는 킬링 벡터이며, 이는 시간 변화에 대한 대칭에 대응한다. 이에 대한 킬링 벡터는
g
t
t
=
−
1
+
(
r
0
/
r
)
D
−
3
=
0
{\displaystyle g_{tt}=-1+(r_{0}/r)^{D-3}=0}
이 되는 곳, 즉
r
=
r
0
{\displaystyle r=r_{0}}
이며, 이는 (일반) 사건 지평선 과 일치한다.
이 밖에도, 슈바르츠실트 계량은
S
O
(
D
−
1
)
{\displaystyle \mathrm {SO} (D-1)}
대칭에 대응하는 킬링 벡터들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3+1차원 커 계량
d
s
2
=
−
(
1
−
r
0
r
ρ
2
)
d
t
2
+
ρ
2
d
r
2
r
2
−
r
0
r
+
α
2
+
ρ
2
d
θ
2
+
(
r
2
+
α
2
+
r
0
r
α
2
ρ
2
sin
2
θ
)
sin
2
θ
d
ϕ
2
+
2
r
0
r
α
sin
2
θ
ρ
2
d
t
d
ϕ
{\displaystyle \mathrm {d} s^{2}=-\left(1-{\frac {r_{0}r}{\rho ^{2}}}\right)\mathrm {d} t^{2}+{\frac {\rho ^{2}\,\mathrm {d} r^{2}}{r^{2}-r_{0}r+\alpha ^{2}}}+\rho ^{2}\,\mathrm {d} \theta ^{2}+\left(r^{2}+\alpha ^{2}+{\frac {r_{0}r\alpha ^{2}}{\rho ^{2}}}\sin ^{2}\theta \right)\sin ^{2}\theta \,\mathrm {d} \phi ^{2}+{\frac {2r_{0}r\alpha \sin ^{2}\theta }{\rho ^{2}}}\,\mathrm {d} t\,\mathrm {d} \phi }
ρ
2
=
r
2
+
α
2
cos
2
θ
{\displaystyle \rho ^{2}=r^{2}+\alpha ^{2}\cos ^{2}\theta }
은 두 킬링 벡터
∂
∂
t
{\displaystyle {\frac {\partial }{\partial t}}}
∂
∂
ϕ
{\displaystyle {\frac {\partial }{\partial \phi }}}
를 가지며, 이는 각각 시간 변화에 대한 대칭과 블랙홀의 회전에 대한 대칭에 대응한다.
전자에 대응하는 킬링 지평선은
r
r
0
=
ρ
2
{\displaystyle rr_{0}=\rho ^{2}}
의 두 해에 위치한다. 이는 2차 방정식 이므로 두 해를 갖는데, 더 안쪽의 킬링 지평선은 사건 지평선 이며, 더 바깥쪽의 킬링 지평선은 작용권 의 경계이다.
2차원 민코프스키 공간
R
1
,
1
=
{
(
t
,
x
)
}
{\displaystyle \mathbb {R} ^{1,1}=\{(t,x)\}}
d
s
2
=
−
d
t
2
+
d
x
2
{\displaystyle \mathrm {d} s^{2}=-\mathrm {d} t^{2}+\mathrm {d} x^{2}}
에서, 킬링 벡터장
X
=
x
∂
t
+
t
∂
x
{\displaystyle X=x\partial _{t}+t\partial _{x}}
를 생각하자.[ 2] :(3.11) 이는
∇
i
X
j
=
(
0
1
−
1
0
)
{\displaystyle \nabla _{i}X_{j}={\begin{pmatrix}0&1\\-1&0\end{pmatrix}}}
이므로 킬링 벡터장을 이룬다. 이 경우, 킬링 지평선은
{
(
t
,
x
)
∈
R
2
:
x
=
±
t
}
{\displaystyle \{(t,x)\in \mathbb {R} ^{2}\colon x=\pm t\}}
인데, 이는
x
=
t
=
0
{\displaystyle x=t=0}
에서 매끄럽지 않다.
빌헬름 킬링 이 1892년에 도입하였다.[ 7] :167, §10
킬링은 킬링 벡터장의 조건에 대하여 특별한 이름을 붙이지 않았으나, 이후 1926년 저서에서 루서 팔러 아이전하트(영어 : Luther Pfahler Eisenhart , 1876~1965)가 이 조건을 "킬링 방정식"(영어 : equations of Killing )이라고 지칭하였다.[ 8] :234, (70.2)
↑ 권영헌; 윤달선 (2002). 《현대 기하학 입문》. 京文社. ISBN 978-89-7282535-7 .
↑ 가 나 다 라 Chruściel, Piotr T.; Galloway, Gregory J.; Pollack, Daniel (2010년 10월). “Mathematical general relativity: a sampler”. 《Bulletin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47 (4): 567–638. arXiv :1004.1016 . Bibcode :2010arXiv1004.1016C . doi :10.1090/S0273-0979-2010-01304-5 . ISSN 0273-0979 . MR 2721040 . Zbl 1205.83002 .
↑ 가 나 다 Wald, Robert M. (1984년 6월). 《General relativity》 (영어).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87033-5 . Zbl 0549.53001 .
↑ Wald, Robert M. (1974년 9월 15일). “Black hole in a uniform magnetic field”. 《Physical Review D》 (영어) 10 (6): 1680–1685. doi :10.1103/PhysRevD.10.1680 . ISSN 2470-0010 .
↑ Wess, Julius ; Bagger, Jonathan (1992). 《Supersymmetry and supergravity》 (영어). Princeton University Press. Bibcode :1992susu.book.....W . ISBN 0-691-02530-4 .
↑ Freedman, Daniel Z.; Van Proeyen, Antoine (2012년 4월). 《Supergravity》 (영어). Cambridge University Press. Bibcode :2012supe.book.....F . doi :10.1017/CBO9781139026833 . ISBN 9780521194013 .
↑ Killing, Wilhelm (1892). “Ueber die Grundlagen der Geometrie” . 《Journal für die reine und angewandte Mathematik》 (독일어) 109 : 121–186. doi :10.1515/crll.1892.109.121 . ISSN 0075-4102 . JFM 24.0496.02 .
↑ Eisenhart, Luther Pfahler (1926). 《Riemannian geometry》 (영어). Princeton University Press. JFM 52.072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