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수도권 전철 서해선에서 운행 중인 서부광역철도 소속 통근형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서해선 광역전철에서의 운행을 위해 도입된 한국철도공사서부광역철도 등 두 양사가 공동 관리한 통근형 전동차다. 1단계 개통을 위해 2017년 8월 17일부터 11월 3일까지 도입된 총 4량 7개 편성(28량)에 이어 2단계 개통을 위해 4량 10개 편성(40량)이 추가 도입됐고, 송산차량사업소2024년 10월에 완공되기 전까지, 서해선 광역전철의 전 열차를 시흥차량사업소에 임시로 수탁 관리하며, 시우역안산역 사이에 시흥기지 입·출고용 연결 선로가 별개로 설치되어 있다.[2] 현재 총 4량 17개 편성(68량)이 운행하고 있다.

한국철도공사 391000호대 전동차
시흥시청역으로 진입하는 39107편성
시흥시청역으로 진입하는 39107편성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통근형 전동차
제작사 현대로템, 다원시스
운영 회사 한국철도공사, 서해철도(주)(구 소사원시운영, 소사~원시 구간 운전취급)
제작 연도 2017년, 2021~2022년
생산량 17편성 68량
사용량 17편성 68량
도입단가 550억원
제원
양 수 4량
궤간 (mm) 1,435
성능
동력 방식 동력분산식
전기 방식 교류 25,000V 60Hz
제어 방식 1차분: VVVF-IGBT(도시바) 2레벨 1C4M제어
2차분: VVVF-IGBT(다원시스) 2레벨 1C4M제어
영업 최고 속도 ATS/ATP 구간 110(소사 ~ 원시) km/h
설계 최고 속도 120(소사 ~ 원시) km/h
보안 장치 ATP/ ATS[1] [수동운전]

기술적 사양 편집

제어기기 편집

초창기인 1차 도입분은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동해선 광역전철용)에서 사용된 우진산전, 도시바제 COVO52-A0형 주제어장치가 탑재되었고, 2차 도입분은 일본 히타치 제작소와 기술 제휴로 다원시스에서 국산화된 IGBT 인버터가 탑재되었다.

실내 설비 편집

초창기인 1차 도입분의 경우, 한국철도공사 381000호대 전동차와 실내 설비가 동일하므로, 2021년대곡-소사선 개통에 대비하기 위해 도입된 2차분의 경우, 2017년에 도입된 1차분 전동차와는 달리, 출입문 위에 LCD 모니터가 2개씩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3]

승무 설비 편집

기존 차량들의 전면부보다 운전실 창을 넓히고, 형태를 약간 바꾸어 시야를 개선하였으며, 1인 승무에 대응하도록 CCTV 모니터 및 이탈리아 안살도 STS사의 ATP·ATS 속도계가 장착되었다.

편성 편집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전동기가 탑재된 M'차,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로 구성되어 있다.

객차번호 설치된 전장품
3910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3911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912XX 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3919XX 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배속 편집

도입 역사 편집

1차 도입분 (39101~07, 2017년 7~10월) 편집

2018년 6월 16일 1단계 이남 구간 개통을 위해 도입되었다. 현대로템 창원공장에서 제작된 당시 7개 편성 모두 회색군청색을 두른 도색이 적용된 채 출고되었으나, 시흥기지 도착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초록색연두색인 현재의 도색으로 운행 중이다. 또한, 대곡-소사선 개통에 대비하여, KTSK텔레콤 등 이동통신 3사의 5G 이동통신 주파수 간섭 오류로 인해 잦은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기존의 독일 지멘스사의 RF-CBTC에서 모든 편성이 ATP·ATS 자동 전환 시스템으로 개량한 바 있다.

2차 도입분 (39108~17, 2021년 5월~2022년 3월) 편집

2023년 7월 1일 2단계 이북 구간 개통에 대비하여 도입된 중이다. 1차 도입분과는 달리 전두부 외형과 도색이 다른 모습이며, 싱글암이 채택되었다. 다원시스 정읍공장에서 제작되어, 일본 히타치 제작소와 기술 제휴로 다원시스에서 국산화된 IGBT 인버터가 탑재되었다.

운행 구간 편집

현황 편집

1세대분 편집

도입 당시에 독일 지멘스사의 RF-CBTC가 장착되었다가 ATP, ATS 자동 전환 시스템으로 변경되었다.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9101 편성 2017년 운행 중
39102 편성 운행 중
39103 편성 운행 중
39104 편성 운행 중
39105 편성 운행 중
39106 편성 운행 중
39107 편성 운행 중

2세대분 편집

해당 편성들은 알루미늄 차체가 적용되었으며, 처음부터 ATP, ATS 자동 전환 시스템이 탑재되었다.

차호 도입 시기 운행 중단 시기 비고
39108 편성 2021년 운행 중
39109 편성 운행 중
39110 편성 2022년 운행 중
39111 편성 운행 중
39112 편성 운행 중
39113 편성 운행 중
39114 편성 운행 중
39115 편성 운행 중
39116 편성 운행 중
39117 편성 운행 중

사진 편집

각주 편집

  1. 경의중앙선(대곡~일산) 공용 구간
  2. 다원시스, 572억 규모 대곡-소사 복선전철 전동차 공급낙찰출처: 아시아경제
  3. 과거 31901~31907, 32115~32121, 33101~33113편성에도 출입문 상단에 LCD 모니터가 2개씩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었지만, 시스템 노후화 문제로 철거 후 LED 백라이트가 탑재된 천장부착형 LCD 모니터로 교체한 바 있다.

같이 보기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