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1TV

한국방송공사에서 운영하는 제1TV 방송
(KBS1에서 넘어옴)

KBS 1TV(KBS 제1텔레비전, 한국방송 1, U-KBS STAR)는 대한민국 전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사인 KBS가 운영하는 공중파 텔레비전 방송 채널이다.

KBS 1TV
KBS1
KBS 제1텔레비전
U-KBS STAR
로고(2018년 9월 3일 ~ 현재)
로고(2018년 9월 3일 ~ 현재)
개국 1961년 12월 31일
네트워크 한국방송공사
소유주 한국방송공사
슬로건 한국인의 중심채널, 오늘을 담는 창, 국민안전 중심채널
모두의 지구 (2023년 3월 1일 ~ 현재)
국가 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방송 지역 대한민국 전 지역
본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3
이전 명칭 KBS TV (1961년 12월 31일 ~ 1980년 11월 30일)
자매 채널 KBS 2TV
디지털 채널 본사 15
가상 9-1
UHD 채널 본사 52
가상 9-1
IPTV 채널 KT 지니 TV
SK B tv
LG U+ TV
9
위성 채널 KT스카이라이프: 9
웹사이트 KBS

특징

편집
  • 뉴스 및 시사교양[1] 프로그램 방송을 담당하는 지상파 채널이며, 공익광고방송을 제외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100% 방송하지 않는 채널이다.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없는 채널이고,그 외에 일일연속극 및 대하드라마도 방송하는 편이며 고정 채널번호는 9번이다.
  • 1963년 1월 1일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개시하였다. 수신료 및 시청료까지 추가 되었는데 1963년 1월 1일부터 1969년 4월 30일까지 6년동안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했다. 1969년 5월 1일에는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하였다.[2] 아침 및 오전에 교육방송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 1995년에 수립된 "선진방송 5개년 계획"에 따라 1997년부터 평일 시간대 종일방송 도입을 추진하였으나 무산되었다. 2005년 12월부터 평일 낮 방송을 개시하여 종일방송을 정식으로 도입하였으며, 2012년 10월 8일부터 종일방송을 하루 24시간 체계로 편성하고 있다.
  • 다시 12년 만에 1981년 3월 7일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재개되었다. 1982년 1월 25일에는 광고가 잘 팔리지 않는다는 이유로 KBS 2TV의 광고시간을 확대하는 대신 광고방송 시간이 축소되었으며, 이후 오전 및 오후 시간대를 줄여 블록광고를 편성하는 등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점차 축소하다가 1985년 4월 30일까지 광고방송을 실시하였다.[3]
  • 1985년 5월 1일에 술 광고가 폐지되었으며, 평일 오후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10묶음 중 8개의 광고가 20시부터 22시 30분까지 송출되던 것을 2시간 30분으로 축소하였다. 1986년 7월 1일에는 블록광고인 5분간(20시 30분부터 20시 35분까지)의 광고가 폐지되었다. 한편 1986년 2월 9일에는 광고방송이 15편 송출되었고, 1988년 9월 17일에는 24편, 1988년 10월 2일에는 19편의 광고방송이 각각 송출되었다. 또한 서울올림픽 폐막식에서는 11편의 광고방송이 송출된 바 있다.[4]
  • 1990년 3월 2일에 평일 오후 블록광고가 폐지되었으며, 1990년부터 1994년까지 4년 동안 스포츠 프로그램과 실황 중계 프로그램 및 영화 프로그램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송출되었다. 1994년 7월 11일에는 스포츠 프로그램에 광고방송이 오전 5시 32분부터 오전 6시 27분까지 14편 송출된 바 있다.[5]
  • 1994년 7월 23일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폐지 결정이 내려졌으며, 같은 해 9월 30일에 마지막 광고방송이 방영되었다. 같은 해 10월 1일부터는 광고방송이 완전히 폐지되어 편성하지 않게 되었으며, 이후에는 광고 없이 공익광고방송만을 실시하고 있다.[6]
  • 뉴스 프로그램(1TV) 앵커자(2명) 기자. 아나운서의 남성과 여성의 앵커가 휴가, 출장, 파업 등으로 인해 다른 기자와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을 할 수 있다.
  • KBS의 프로그램(1TV) 진행자 각 1~2명의 아나운서의 남성과 여성의 앵커가 휴가, 출장, 파업 등으로 인해 다른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할 수 있다.
  • 뉴스 프로그램(1TV)의 장소는 KBS 1TV 제2 스튜디오로 진행한다.
  • 뉴스 프로그램(1TV)의 수화방송은 '한국 수어 통역 방송' 및 (1TV)의 수화 방송되는 프로그램인 《사랑의 가족》은 '수화 통역 방송'으로 표기된다.
  • 뉴스 프로그램(1TV)의 2020년 11월 2일부터 뉴스 프로그램 게시판이 기사 댓글과 동일한 서비스(라이브리)로 변경되었다. 댓글 작성을 위해서 댓글 시스템에 로그인을 해야 한다.
  • 편성표 (1TV)는 2018년 8월 5일 홈페이지 개편 이후 최근 1개월 조회만 가능하다.
  • 편성표 (1TV)는 2020년 9월 12일 자정 12시 이후 매주 1주일 마다 편성표를 게시하여 게재하고 있다.
  • 해당 TV 프로그램 (1TV)는 2018년 8월 5일 홈페이지 개편 이후 해당 프로그램이 종영되면 해당 프로그램의 시청자참여 게시판은 이용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 해당 TV 프로그램 (1TV)는 2018년 8월 5일 홈페이지 개편 이후 해당 프로그램이 과거 2016년 이전의 다시보기는 불가능하게 되어 다시보기는 과거에 없어졌다(검색해본 결과 "찾으시는 다시보기 영상이 없습니다." 나옴)
  • 2020년 9월 15일부터 KBS의 정책에 따라 일부 지역에 1TV 지역국으로 적용받아 편성된다.
  • 프리랜서 드라마 PD(타 채널 자회사 - 외주제작사 소속 연출자 포함)[7][8] 등 외부 드라마 PD와 외부 제작사(타 채널 자회사 소속 작가 포함) 소속 드라마 작가[9] 영입이 금지되어 있다.

개별 디자인

편집

기본

편집
  • 시청등급 화면은 2001년부터 도입되었다.
  • 2019년 1월 1일부터 곧이어(잠시후) 도입 추가되었다.
  • 2020년 ~ 현재 한글날을 맞아, 매년 한국방송 1TV로 표기하였다.

시각 표시

편집

티커 표시

편집

종료

편집
  • 이 프로그램은 여러분의 수신료로 만들었습니다[14]
  • 이 프로그램은 여러분의 소중핟 수신료로 제작되었습니다[15]
  • KBS뉴스는 여러분의 소중한 수신료로 제작됩니다

연혁

편집

태동기

편집

도약기

편집

변혁기

편집

밀레니엄기

편집

디지털 시대

편집

UHD 시대

편집

로고

편집
2018년 9월 3일 ~ 현재

 

로고송

편집
현재기준
  • 2001년 3월 3일 ~ 현재 : "정성을 다하는 국민의 방송 KBS 한국방송": 주로 KBS 1TV 프로그램, KBS 뉴스 9(1TV 메인뉴스), KBS 뉴스 (KBS 1TV) 등의 시작 전에 사용되는 로고송이다.
  • 2024년 10월 ~ 현재 : "항상 함께 국민의 방송 내 곁에 밝은 내일 밝은 세상을 원해 언제나 정다운 마음과 진심을 전해 KBS 한국방송"
전기준

2005년 12월 1일부터 DMB 방송국 U-KBS가 개국하였다.

프로그램

편집

드라마

편집
방송 시간 제목 등급 비고
평일 저녁 8시 30분 ~ 밤 9시 일일 드라마 (대운을 잡아라)  

영화

편집
방송 시간 제목 비고
평일 금 밤 11시 30분 ~ 무작위 독립영화관
주말 토 밤 11시 15분 ~ 12시 5분 인생이 영화
주말 토 밤 12시 15분 한국영화 클래식

음악

편집
방송 시간 제목 비고
평일 월 밤 10시 ~ 10시 55분 가요무대
주말 토 낮 12시 10분 ~ 오후 1시 국악한마당
휴일 일 낮 12시 10분 ~ 낮 1시 30분 전국노래자랑
휴일 일 저녁 6시 ~ 저녁 7시 열린음악회

시사교양

편집
방송 시간 제목 NEWS D 지역방송 여부 비고
평일 월 ~ 목 새벽 5시 10분 ~ 아침 6시 내고향 스페셜
평일 아침 7시 50분 ~ 8시 25분 인간극장 뉴스특보 결방 / (토) 편성
평일 아침 8시 25분 ~ 오전 9시 30분 아침마당 요일별 코너로 편성됨 일부 지역 자체방송
(수) 코너는 도전!꿈의 무대 참조 평일 (금)
평일 화 ~ 금 오후 1시 ~ 1시 50분 KBS 네트워크 특선 인사이드 경인
평일 금 새벽 5시 10분 ~ 아침 6시 평일 경기,인천
평일 수 오후 2시 10분 ~ 2시 50분 열린채널 시청자 참여 제작 프로그램
부산, 광주 제작
평일 오후 5시 30분 ~ 저녁 6시 동물의 왕국 (평일 지역 휴일 공휴일 전국) 제작 KBS미디어
주말 휴일, 토, 일 오후 5시 10분 ~ 저녁 6시 (주말 휴일 전국)
평일 저녁 6시 ~ 7시 6시 내고향 지역 네트워크 연결
다시보기의 내용은 1주일에 올려짐
평일 월 저녁 7시 40분 ~ 8시 30분 우리말 겨루기 4명의 도전하여 도전자 중
최후의 1인 도전자
평일 월 밤 11시 35분 ~ 12시 25분 우리집 금송아지
평일 화 새벽 1시 5분 ~ 1시 55분
생활의 발견
평일 수 밤 12시 55분 ~ 새벽 1시 45분
평일 화 저녁 7시 40분 ~ 8시 30분 이웃집 찰스 지역 방송(일부)
평일 화 밤 10시 ~ 10시 50분 시사기획 창
평일 수 저녁 7시 40분 ~ 8시 30분 일꾼의 탄생 2
평일 수 밤 10시 ~ 10시 50분 생로병사의 비밀
평일 목 저녁 7시 40분 ~ 8시 30분 한국인의 밥상
평일 목 밤 10시 ~ 10시 50분 다큐 인사이트
평일 금 저녁 7시 40분 ~ 8시 30분 스카우트 6 얼리어잡터 대구,경북만 방송
평일 금 밤 10시 ~ 10시 50분 추적 60분 O
평일 금 밤 12시 ~ 새벽 1시 40분 KBS 중계석
주말 토 아침 5시 10분 ~ 6시 트레킹노트 세상을 걷다 O 무
주말 토 아침 7시 50분 ~ 8시 30분 남북의 창
주말 토 아침 8시 30분 ~ 오전 9시 30분 시니어토크쇼 황금연못
주말 토 오전 9시 40분 ~ 10시 30분 걸어서 세계속으로
주말 토 오전 11시 10분 ~ 오후12시 사랑의 가족 수, 무 화면 해설 방송
주말 토 저녁 6시 ~ 6시 55분 동행
주말 토 저녁 7시 10분 ~ 8시 5분 동네 한 바퀴
주말 토 밤 9시 40분 ~ 10시 25분 특파원 보고 세계는 지금 O Live
주말 토 밤 10시 25분 ~ 11시 15분 다큐On
휴일 일 아침 7시 10분 ~ 7시 15분 여긴 어디?
휴일 일 아침 8시 ~ 오전 9시 일요진단 라이브 O Live
휴일 일 오전 10시 10분 ~ 11시 10분 TV비평 시청자데스크 O
휴일 일 오전 11시 10분 ~ 낮 12시 TV쇼 진품명품
휴일 일 저녁 7시 10분 ~ 8시 5분 이슈 픽 쌤과 함께 O
휴일 일 저녁 8시 5분 ~ 밤 9시 KBS 다큐 클래식
휴일 일 밤 9시 40분 ~ 10시 30분 여의도 라이브 O
휴일 일 밤 10시 30분 ~ 11시 10분 더 보다
매년 12월 하순 KBS 국악대상
매년 12월 31일 새해맞이 특별생방송 (새날마중) Live

스포츠

편집
방송 시간 제목 광고 비고
주말 토 새벽 1시 15분 ~ 2시 45분 KBS 스포츠 중계석
휴일 일 새벽 1시 10분 ~ 3시 5분 KBS 바둑왕전
평일 주말 휴일 K리그 2025 가상 Live
배구 일부
평일 주말 휴일 프로농구
매년 설날 추석 씨름
평일 국회
중계

어린이

편집
방송 시간 제목 비고
평일 목 오후 2시 30분 ~ 3시 방과 후 초능력

애니

편집
방송 시간 제목 비고
주말 토 오후 2시 ~ 2시 15분 부탁해요! 포코타 이장님
주말 토 오후 2시 15분 ~ 2시 30분 NEW 엉뚱발랄 콩순이와 친구들
주말 토 오후 2시 30분 ~ 2시 45분 지구의 주인은 고양이다
주말 토 오후 2시 45분 ~ 3시 또봇: 대도시의 영웅들 시즌 2
주말 토 오후 3시 ~ 3시 15분 버디랜드의 친구들

뉴스

편집
방송 시간 제목 NEWS D, 동시 자막, 수어, 다중 무 비고
평일, 주말 토 아침 6시 ~ 7시 50분 KBS 뉴스광장 자, 평일 지역 Live
평일 오전 9시 30분 ~ 10시 KBS 뉴스 930 자, , 평일 지역 Live
평일 낮 12시 ~ 오후 1시 KBS 뉴스 12 자, Live
평일 오후 2시 ~ 2시 10분 KBS 뉴스 2 자, Live
평일 오후 4시 ~ 5시 사사건건 Live
평일 오후 5시 ~ 5시 30분 KBS 뉴스 5 자, Live
평일 저녁 7시 ~ 7시 40분 KBS 뉴스 7 자, 평일 지역 Live
평일 밤 9시 ~ 10시 KBS 뉴스 9 자, 평일 지역 Live
주말, 휴일 토, 일 밤 9시 ~ 9시 40분 주말 지역
평일 밤 9시 45분 ~ 10시 KBS 스포츠 9 자, Live
주말, 휴일 토, 일 밤 9시 30분 ~ 9시 40분
평일 월 밤 10시 55분 ~ 11시 35분 KBS 뉴스라인 W 자, Live
평일 화 ~ 금 밤 10시 50분 ~ 11시 30분
주말 토 오전 9시 30분 ~ 9시 40분 KBS 뉴스 (주말) 자, Live
주말, 휴일 토, 일 낮 12시 ~ 12시 10분
주말, 휴일 토, 일 오후 5시 ~ 5시 10분
주말, 휴일 토, 일 저녁 7시 ~ 7시 10분
휴일 일 아침 7시 ~ 7시 10분
주말, 휴일 토, 일 밤 12시 5분 ~ 12시 15분 KBS 뉴스 (2400) 자, , , 주말 휴일 편성 Live
무작위 KBS 뉴스특보 자, , Live

방송 시간

편집
요일 및 시간 분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비고
● 정규방송, ○ 정파

시청률

편집
1992년 ~ 2011년 가구 시청률 (단위 : %)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7.3 7.4 9.7 11.7 12.2 12.9 12.1 10.7 10.8 9.9 9.2 9.4 9.5 8.8 8.1 7.8 7.5 6.4 6.4 6.3
2000년 ~ 2018년 6월 황금시간대 시청률[35] (단위 : %)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6월
15.87 15.33 14.27 14.03 13.58 12.24 12.62 15.08 14.34 11.38 11.93 12.57 12.52 11.92 11.68 11.12 11.24 9.36 8.41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1990년대 중후반까지 종합(綜合) 분야로 담당하는 채널
  2. 6년 동안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하였다.
  3. KBS 2TV의 광고방송 편성 시간이 25분에서 30분으로 변경되었으며, 일부 제품 광고가 있었다.
  4. KBS 1TV 채널에서 1986년에 15편, 1988년 9월에 24편, 1988년 10월에 19편, 그리고 서울올림픽 폐막식에는 11편의 광고가 송출되었으며, 총 69편의 광고가 방송된 적이 있다.
  5. 당시에는 제공 자막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6. 1994년 10월 1일 토요일에 방송된 KBS 뉴스 9에서는 이윤성 기자가 KBS의 새로운 출발을 알리며, 수신료 징수 제도가 변경되어 TV 수신료가 2,500원으로 책정되었음을 설명하였다. 또한 KBS 1TV 채널은 광고방송 폐지를 선언하였으며, 임병걸 기자는 저소득층 136만 가구와 난시청 지역 106만 가구 등 총 242만 가구를 수신료 면제 대상에 포함시켜 수신료 면제를 확대하였음을 보도하였다. 광고방송이 사라지면서 KBS의 재원 구조는 수신료와 광고의 비율을 30:70에서 50:50으로 조정하였다. 이후 프로그램은 광고 없이 곧바로 시작하고 종료되었으며, 수신료 징수는 계속 유지되고 있다.
  7. 배국남 대중문화전문기자 (2007년 12월 29일). “스타PD들의 탈방송사행 봇물! 왜?”. 마이데일리. 2022년 6월 26일에 확인함. 
  8. “방송가”. 한겨레신문. 1997년 4월 21일. 2022년 6월 26일에 확인함. 
  9. “방송가”. 한겨레신문. 1997년 4월 21일. 2022년 6월 26일에 확인함. 
  10. 1980년대 중후반까지 당시, 오후·저녁·밤 시간대 쓰이는 매번 XX:00 정시에 맞춰서 표시
  11. 한자에 쓰인 "月, 火, 水, 木, 金, 土, 日" 표시
  12. "월, 화, 수, 목, 금, 토, 일"의 한글을 도입하여, 현재까지 쓰인다.
  13. 프로그램 예고와 정파 방송은 제외된다.
  14. 2010년대
  15. 2020년대
  16. 1962년 1월 1일부터 1월 14일까지 방송 프로그램이 준비되지 않는 영화 프로그램을 보냈다.
  17. 100원
  18. 첫 번째
  19. 6년 동안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했다.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를 했고,아침 및 오전시간에는 교육방송을 했다.
  20. 라디오과 텔레비전(수중계)를 통해 현지 위성 생중계의 중계진 조경철 박사와 아나운서 함께 진행하였다.
  21.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 실시는 1981년 3월 7일로 결정이 내려졌다.
  22. KBS 1TV 및 KBS 2TV의 채널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를 했다.
  23. 2TV의 채널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시간 변경 및 1TV의 채널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2TV의 채널과 다르게 광고시간이 달라졌다.
  24. 위성방송 및 케이블TV를 허용하려고 KBS 1TV TV수신료를 전기료와 함께 청구 및 위탁징수를 한국전력공사와 통합. 1994년 10월 1일부터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를 하게 되었다.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은 편성하지 않게 되었다. 지역민방 TV방송을 1995년에 8개를 만들려고 했다.
  25. 1TV의 채널에서 KBS 뉴스 9를 진행을 한 사람은 이윤성기자가 KBS 새로운출발을 알려드릴려고 설명을 하면서 수신료는 2,500원이라고 했다. 수신료징수제도가 바뀌었고 1TV의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전면 폐지를 했기 때문에 공영성강화에 가일층 노력을 할 것을 약속드리며 좋은 방송이 되겠다고 했다.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이 없는 채널을 만들면서 공익광고방송만 그대로 나가게 되었다.
  26. 주 2회 (일요일, 월요일)는 21시간 방송하며 나머지 주 5회 (화요일 ~ 토요일)와 신정, 설날, 추석 등 연휴에는 24시간 종일방송이다.
  27. 7월 1일이 아닌 6월 30일로 1일 앞당겨 새 여자MC 방송일 변경
  28. 7월 3일이 아닌 7월 1일로 3일 앞당겨 새 여자MC 방송일 변경
  29. 아침마당 여자 MC 6번째 이후 마지막으로 4개월만에 진행 재개 및 2년 2개월만에 재진행 앵커로 복귀했으나, 아쉽게 첫진행 이후 2번 이상 재진행시 름 부르지 못함
  30. 가애란 아나운서 아님
  31. 이지연 1986년생 37기 아나운서 아님
  32. 2023년 한국시리즈 LG트윈스 우승 전해드린것 포함
  33. 2tv 방송시간 변경 후 현재 박주아 아나운서가 진행중이다.
  34. 1988년 하계 올림픽 당시에 사용.
  35. 그 많던 KBS·MBC 시청자는 어디로 갔을까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