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잡이돌잔치에서 쌀, 붓, 활, 돈, 실 등을 펼쳐놓고 아이가 집는 물건을 아이의 장래와 관련하여 미래를 점쳐보는 의식이다. 요즘은 마이크나 청진기 등 여러 가지 물건을 추가하기도 한다.

돌잡이

유래

편집

『국조보감(國朝寶鑑)』에 《정조(正祖) 15년 6월조에 원자(元子)의 돌날 온갖 장난감을 담은 소반을 집복헌(集福軒)에 차려놓고 대신(大臣)과 경재(卿栽)에게 들어와 보도록 명하였다. 여러 신하들이 다 축하의 말을 하고, 신하들로부터 서리, 하예(下隸), 군졸, 거리의 백성들에게까지 떡을 내렸고, 특별히 조관(朝官)과 사서인(士庶人)으로서 유배 이하에 해당되는 죄를 지은 사람의 죄명을 씻어주었다.》라는 궁중에서의 돌잔치 기록이 있다.

또한『정조실록(正祖實錄)』에도 기록되어 있고,『합벽사류(合壁事類)』『동경몽화록(東京夢華錄)』『애일노총초(愛日盧叢抄)』『사원(辭源)』에 수반(邈盤), 시수(試邈), 고주(孤周), 시주(試周) 등의 말이 나오는데 모두 돌을 뜻한 말로 그 풍속이 오래된 것임을 알 수 있다.[1]

돌잡이

편집

아기가 여러 가지 물건 가운데에서[2] 마음에 드는 물건을 골라잡게 하여 아기의 장래를 점치며, 잡은 물건에 따라 다음과 같이 해석하고 있다.

종류

편집

시대가치관 변화에 따라 돌잡이 품목이 달라지듯이 돌잡이 아이가 잡으면 좋겠다고 은근슬쩍 원하는 품목의 종류도 달라졌다. 오래 잘 먹고 잘 사는 게 최고의 복이었던 과거엔 당연히 최고 인기 물건은 이었지만 이 물건들의 상징은 요즘은 웬만한 사람들은 다 누릴 수 있는 것이 돼 버렸다. 그래서 아이가 잡을 확률을 낮추고자 상에서 구석진 곳으로 밀어내고 대신 마이크나 스포츠 용품 등 부모들이 원하는 끼 많은 미래를 상징하는 물건들을 가까운 데에 놓기도 한다. 많은 자손을 상징하는 대추도 과거엔 인기 아이템이었지만 지금은 자식 많다는 게 그다지 좋은 것도 아닌지라 마찬가지로 구석으로 밀리거나 아예 돌잡이 상에서 추방되기도 한다는 듯.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