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학 에서 리 군 위의 입자 (영어 : particle on a Lie group )는 리 군 의 구조를 가진 공간 속에서 움직이는 입자를 나타내는 물리학 모형이다.[ 1] :§2 고전적으로 그 해(리 군 의 측지선 )는 간단하게 표현될 수 있으며, 대칭으로 인하여 쉽게 양자화될 수 있다.
콤팩트 연결 리 군
G
{\displaystyle G}
가 주어졌다고 하자.
G
{\displaystyle G}
의 리 대수
l
i
e
(
G
)
{\displaystyle {\mathfrak {lie}}(G)}
위의 양의 정부호 2차 대칭 불변 다항식
g
(
t
,
t
′
)
=
g
a
b
t
a
t
′
b
(
t
,
t
′
∈
l
i
e
(
G
)
)
{\displaystyle g(t,t')=g_{ab}t^{a}{t'}^{b}\qquad (t,t'\in {\mathfrak {lie}}(G))}
은
G
{\displaystyle G}
위의 리만 계량 을 정의하며, 이는
G
{\displaystyle G}
의 왼쪽 · 오른쪽 작용 에 대하여 불변이다. 즉, 군의 준동형
G
×
G
→
Isom
(
G
,
g
)
{\displaystyle G\times G\to \operatorname {Isom} (G,g)}
이 존재한다 (
Isom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Isom} (-)}
은 전단사 등거리 변환 의 군).
이 경우, 라그랑지언
L
(
g
,
g
˙
)
=
−
1
2
tr
(
g
−
1
g
˙
)
2
{\displaystyle L(g,{\dot {g}})=-{\frac {1}{2}}\operatorname {tr} \left(g^{-1}{\dot {g}}\right)^{2}}
을 정의할 수 있다. (편의상, 입자의 질량 을 리만 계량 속에 흡수하였다.) 그 변분은
δ
tr
(
g
−
1
g
˙
)
2
=
−
2
tr
(
g
−
1
δ
g
d
d
t
(
g
−
1
g
˙
)
)
{\displaystyle \delta \operatorname {tr} \left(g^{-1}{\dot {g}}\right)^{2}=-2\operatorname {tr} \left(g^{-1}\delta g{\frac {\mathrm {d} }{\mathrm {d} t}}(g^{-1}{\dot {g}})\right)}
이다.
유도 :
우선,
0
=
δ
1
=
δ
(
g
−
1
g
)
=
δ
(
g
−
1
)
g
+
g
−
1
δ
g
{\displaystyle 0=\delta 1=\delta (g^{-1}g)=\delta (g^{-1})g+g^{-1}\delta g}
이므로,
δ
(
g
−
1
)
=
−
g
−
1
δ
g
g
−
1
{\displaystyle \delta (g^{-1})=-g^{-1}\delta gg^{-1}}
이며,
d
d
t
g
−
1
=
−
g
−
1
g
˙
g
−
1
{\displaystyle {\frac {\mathrm {d} }{\mathrm {d} t}}g^{-1}=-g^{-1}{\dot {g}}g^{-1}}
이다. 따라서, 대각합 의 순환성 및 부분 적분 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
tr
(
g
−
1
g
˙
)
2
=
2
tr
(
g
−
1
g
˙
δ
(
g
−
1
g
˙
)
)
=
2
tr
(
g
−
1
g
˙
δ
(
g
−
1
)
g
˙
+
g
−
1
g
˙
g
−
1
δ
g
˙
)
=
−
2
tr
(
g
−
1
g
˙
g
−
1
δ
g
g
−
1
g
˙
)
−
2
tr
(
δ
g
d
d
t
(
g
−
1
g
˙
g
−
1
)
)
+
2
d
d
t
tr
(
g
−
1
g
˙
g
−
1
δ
g
)
=
2
tr
(
δ
g
g
−
1
g
˙
d
d
t
g
−
1
)
−
2
tr
(
δ
g
d
d
t
(
g
−
1
g
˙
g
−
1
)
)
+
2
d
d
t
tr
(
g
−
1
g
˙
g
−
1
δ
g
)
=
−
2
tr
(
δ
g
d
d
t
(
g
−
1
g
˙
)
g
−
1
)
)
+
2
d
d
t
tr
(
g
−
1
g
˙
g
−
1
δ
g
)
=
−
2
tr
(
g
−
1
δ
g
d
d
t
(
g
−
1
g
˙
)
)
)
+
2
d
d
t
tr
(
g
−
1
g
˙
g
−
1
δ
g
)
{\displaystyle {\begin{aligned}\delta \operatorname {tr} (g^{-1}{\dot {g}})^{2}&=2\operatorname {tr} \left(g^{-1}{\dot {g}}\delta (g^{-1}{\dot {g}})\right)\\&=2\operatorname {tr} \left(g^{-1}{\dot {g}}\delta (g^{-1}){\dot {g}}+g^{-1}{\dot {g}}g^{-1}\delta {\dot {g}}\right)\\&=-2\operatorname {tr} \left(g^{-1}{\dot {g}}g^{-1}\delta gg^{-1}{\dot {g}}\right)-2\operatorname {tr} \left(\delta g{\frac {\mathrm {d} }{\mathrm {d} t}}(g^{-1}{\dot {g}}g^{-1})\right)+2{\frac {\mathrm {d} }{\mathrm {d} t}}\operatorname {tr} (g^{-1}{\dot {g}}g^{-1}\delta g)\\&=2\operatorname {tr} \left(\delta gg^{-1}{\dot {g}}{\frac {\mathrm {d} }{\mathrm {d} t}}g^{-1}\right)-2\operatorname {tr} \left(\delta g{\frac {\mathrm {d} }{\mathrm {d} t}}(g^{-1}{\dot {g}}g^{-1})\right)+2{\frac {\mathrm {d} }{\mathrm {d} t}}\operatorname {tr} (g^{-1}{\dot {g}}g^{-1}\delta g)\\&=-2\operatorname {tr} \left(\delta g{\frac {\mathrm {d} }{\mathrm {d} t}}(g^{-1}{\dot {g}})g^{-1})\right)+2{\frac {\mathrm {d} }{\mathrm {d} t}}\operatorname {tr} (g^{-1}{\dot {g}}g^{-1}\delta g)\\&=-2\operatorname {tr} \left(g^{-1}\delta g{\frac {\mathrm {d} }{\mathrm {d} t}}(g^{-1}{\dot {g}}))\right)+2{\frac {\mathrm {d} }{\mathrm {d} t}}\operatorname {tr} (g^{-1}{\dot {g}}g^{-1}\delta g)\end{aligned}}}
이다. 여기서 둘째 항은 완전 적분이므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을 구할 때 무시할 수 있다.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 (측지선 방정식 )은
d
d
t
(
g
−
1
g
˙
)
=
0
{\displaystyle {\frac {\mathrm {d} }{\mathrm {d} t}}\left(g^{-1}{\dot {g}}\right)=0}
이다. 그 해는 항상 다음과 같은 꼴로 놓을 수 있다.
g
(
t
)
=
g
L
exp
(
t
λ
)
g
R
−
1
{\displaystyle g(t)=g_{\mathrm {L} }\exp(t\lambda )g_{\mathrm {R} }^{-1}}
여기서
g
L
,
g
R
∈
G
{\displaystyle g_{\mathrm {L} },g_{\mathrm {R} }\in G}
는 상수이다. 특히,
g
(
0
)
=
g
L
g
R
−
1
{\displaystyle g(0)=g_{\mathrm {L} }g_{\mathrm {R} }^{-1}}
는 초기 조건 이다.
h
⊆
l
i
e
(
G
)
{\displaystyle {\mathfrak {h}}\subseteq {\mathfrak {lie}}(G)}
는
G
{\displaystyle G}
의 리 대수 의 카르탕 부분 대수 이다.
λ
∈
h
{\displaystyle \lambda \in {\mathfrak {h}}}
는 카르탕 부분 대수의 임의의 원소이다.
이에 따라,
(
g
L
,
g
R
,
λ
)
{\displaystyle (g_{\mathrm {L} },g_{\mathrm {R} },\lambda )}
를 위상 공간 의 좌표계로 여길 수 있다. 그러나 위상 공간은
2
dim
G
{\displaystyle 2\dim G}
차원이므로 (측지선은 초기 위치와 초기 속력으로 완전히 결정되므로),
2
dim
G
+
rank
G
{\displaystyle 2\dim G+\operatorname {rank} G}
개의 성분을 갖는
(
g
L
,
g
R
,
λ
)
{\displaystyle (g_{\mathrm {L} },g_{\mathrm {R} },\lambda )}
좌표계는
rank
G
{\displaystyle \operatorname {rank} G}
차원의 게이지 변환 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이 게이지 군은
G
{\displaystyle G}
의 극대 원환면
exp
(
h
)
≤
G
{\displaystyle \exp({\mathfrak {h}})\leq G}
이며, 이에 따라 좌표는 다음과 같이 변환한다.
g
L
↦
g
L
h
{\displaystyle g_{\mathrm {L} }\mapsto g_{\mathrm {L} }h}
g
R
↦
exp
(
t
α
)
h
{\displaystyle g_{\mathrm {R} }\mapsto \exp(t\alpha )h}
λ
↦
λ
{\displaystyle \lambda \mapsto \lambda }
h
∈
exp
(
h
)
≤
G
{\displaystyle h\in \exp({\mathfrak {h}})\leq G}
게이지 변환을 도입하면, 계의
G
×
G
{\displaystyle G\times G}
대칭이
(
h
L
,
h
R
)
⋅
(
g
L
,
g
R
,
λ
)
=
(
h
L
g
L
,
g
R
h
R
−
1
,
λ
)
{\displaystyle (h_{\mathrm {L} },h_{\mathrm {R} })\cdot (g_{\mathrm {L} },g_{\mathrm {R} },\lambda )=(h_{\mathrm {L} }g_{\mathrm {L} },g_{\mathrm {R} }h_{\mathrm {R} }^{-1},\lambda )}
와 같이 분해된다.
위상 공간 은 리 군 의 공변접다발
T
∗
G
{\displaystyle \mathrm {T} ^{*}G}
이며, 그 위에는 표준적인 심플렉틱 형식 이 존재한다. 이 위의 심플렉틱 형식은
(
g
L
,
g
R
,
λ
)
{\displaystyle (g_{\mathrm {L} },g_{\mathrm {R} },\lambda )}
좌표계에서 다음과 같은 꼴로 두 성분으로 분해된다.
ω
(
λ
,
g
L
,
g
R
)
=
ω
L
(
λ
,
g
L
)
+
ω
R
(
λ
,
g
R
)
{\displaystyle \omega (\lambda ,g_{\mathrm {L} },g_{\mathrm {R} })=\omega _{\mathrm {L} }(\lambda ,g_{\mathrm {L} })+\omega _{\mathrm {R} }(\lambda ,g_{\mathrm {R} })}
콤팩트 연결 리 군
G
{\displaystyle G}
위의 입자의 힐베르트 공간 은
G
{\displaystyle G}
위의 복소수 2차 르베그 공간
L
2
(
G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2}(G;\mathbb {C} )}
이다. 이 경우 사용한 측도 는 하르 측도 이다. (콤팩트 리 군의 경우 왼쪽 하르 측도 와 오른쪽 하르 측도 가 일치한다.) 이 위에는
G
×
G
{\displaystyle G\times G}
의 왼쪽 군 작용 이 다음과 같이 존재한다.
G
×
G
×
L
2
(
G
;
C
)
→
L
2
(
G
;
C
)
{\displaystyle G\times G\times \operatorname {L} ^{2}(G;\mathbb {C} )\to \operatorname {L} ^{2}(G;\mathbb {C} )}
(
(
g
L
,
g
R
)
⋅
ϕ
)
(
x
)
=
ϕ
(
g
L
−
1
x
g
R
)
{\displaystyle ((g_{\mathrm {L} },g_{\mathrm {R} })\cdot \phi )(x)=\phi (g_{\mathrm {L} }^{-1}xg_{\mathrm {R} })}
이에 따라서,
L
2
(
G
;
C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2}(G;\mathbb {C} )}
는
G
×
G
{\displaystyle G\times G}
의 표현 들로 분해된다. 구체적으로, 이는 다음과 같다.
L
2
(
G
;
C
)
=
⨁
^
R
∈
IrRep
(
G
)
V
R
⊗
V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2}(G;\mathbb {C} )={\widehat {\bigoplus }}_{R\in \operatorname {IrRep} (G)}V_{R}\otimes V_{\bar {R}}}
(
g
L
,
g
R
)
⋅
(
v
⊗
v
¯
)
=
(
g
L
⋅
v
)
⊗
(
g
R
⋅
v
)
(
v
∈
V
R
,
v
¯
∈
V
R
¯
)
{\displaystyle (g_{\mathrm {L} },g_{\mathrm {R} })\cdot (v\otimes {\bar {v}})=(g_{\mathrm {L} }\cdot v)\otimes (g_{\mathrm {R} }\cdot v)\qquad (v\in V_{R},\;{\bar {v}}\in V_{\bar {R}})}
여기서
IrRep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IrRep} (R)}
는
G
{\displaystyle G}
의 모든 복소수 기약 표현 들의 동형류 들의 가산 집합 이다.
⨁
^
{\displaystyle \textstyle {\widehat {\bigoplus }}}
는 가산 무한 개의 유한 차원 내적 공간 들의 직합 으로 구성되는 분해 가능 힐베르트 공간 이다.
V
R
{\displaystyle V_{R}}
는 기약 표현
R
:
G
→
U
(
V
R
)
{\displaystyle R\colon G\to \operatorname {U} (V_{R})}
의 표현 공간인 유한 차원 복소수 벡터 공간 이다.
R
¯
{\displaystyle {\bar {R}}}
는 기약 표현
R
{\displaystyle R}
의 켤레 표현이다.
G
×
G
{\displaystyle G\times G}
의 무한소 작용을 나타내는 연산자
⟨
g
|
J
L
(
t
a
)
|
ϕ
⟩
=
d
d
ϵ
|
ϵ
=
0
ϕ
(
exp
(
−
ϵ
t
a
)
g
)
⟩
{\displaystyle \langle g|J_{\mathrm {L} }(t^{a})|\phi \rangle =\left.{\frac {\mathrm {d} }{\mathrm {d} \epsilon }}\right|_{\epsilon =0}\phi (\exp(-\epsilon t^{a})g)\rangle }
⟨
g
|
J
R
(
t
a
)
|
ϕ
⟩
=
d
d
ϵ
|
ϵ
=
0
ϕ
(
g
exp
(
ϵ
t
a
)
)
⟩
{\displaystyle \langle g|J_{\mathrm {R} }(t^{a})|\phi \rangle =\left.{\frac {\mathrm {d} }{\mathrm {d} \epsilon }}\right|_{\epsilon =0}\phi (g\exp(\epsilon t^{a}))\rangle }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1
2
H
=
Δ
g
=
g
a
b
J
(
t
a
)
(
J
b
)
=
g
a
b
J
~
a
J
~
b
{\displaystyle {\frac {1}{2}}H=\Delta _{g}=g_{ab}J(t^{a})(J^{b})=g_{ab}{\tilde {J}}^{a}{\tilde {J}}^{b}}
는
G
{\displaystyle G}
위의 (양의 고윳값)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 이다.
이 해밀토니언은 기약 표현에 대한 분해에 대하여 대각형이다. 구체적으로,
V
R
⊗
V
R
¯
{\displaystyle V_{R}\otimes V_{\bar {R}}}
위에서, 해밀토니언의 고윳값
E
R
{\displaystyle E_{R}}
은
g
a
b
R
(
t
a
)
R
(
t
b
)
=
2
E
R
1
V
R
g
a
b
t
a
t
b
{\displaystyle g_{ab}R(t^{a})R(t^{b})=2E_{R}1_{V_{R}}g_{ab}t^{a}t^{b}}
로 주어진다.
양자 모형과 고전 모형 사이의 관계는 파인먼-카츠 공식 으로 주어진다. 즉, 해밀토니언
H
{\displaystyle H}
의 핵(즉,
G
{\displaystyle G}
위의 열핵 )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1
vol
G
∑
R
∈
IrRep
(
G
)
(
dim
V
R
)
exp
(
−
β
E
R
)
tr
V
R
(
g
0
g
1
−
1
)
=
K
(
g
0
,
g
1
;
β
)
=
∫
g
∈
W
(
g
0
,
g
1
)
exp
(
−
S
[
g
]
)
D
g
{\displaystyle {\frac {1}{\operatorname {vol} G}}\sum _{R\in \operatorname {IrRep} (G)}(\dim V_{R})\exp(-\beta E_{R})\operatorname {tr} _{V_{R}}(g_{0}g_{1}^{-1})=K(g_{0},g_{1};\beta )=\int _{g\in \operatorname {W} (g_{0},g_{1})}\exp(-S[g])\;\mathrm {D} g}
여기서
W
(
g
0
,
g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W} (g_{0},g_{1})}
은
g
(
0
)
=
g
0
{\displaystyle g(0)=g_{0}}
,
g
β
=
g
β
{\displaystyle g_{\beta }=g_{\beta }}
인 연속 함수
g
:
[
0
,
β
]
→
G
{\displaystyle g\colon [0,\beta ]\to G}
로 구성된 위너 공간 이다.
D
g
{\displaystyle \mathrm {D} g}
는 이 위너 공간 위의 확률 측도 이다.
S
[
g
]
=
1
2
∫
0
β
⟨
g
−
1
g
˙
,
g
−
1
g
˙
⟩
d
t
{\displaystyle \textstyle S[g]={\frac {1}{2}}\int _{0}^{\beta }\langle g^{-1}{\dot {g}},g^{-1}{\dot {g}}\rangle \,\mathrm {d} t}
는 고전 모형의 작용 이다.
tr
R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tr} _{R}(-)}
는 표현
R
{\displaystyle R}
의 지표 이다.
특히,
β
→
0
{\displaystyle \beta \to 0}
극한에서 이는 디랙 델타 가 된다.
G
=
U
(
1
)
{\displaystyle G=\operatorname {U} (1)}
인 경우(원군 )를 생각하자. 이 경우 고전적으로 모든 상수 속도 곡선이 측지선 이다. 양자 모형에서, 힐베르트 공간 은
H
=
L
2
(
U
(
1
)
;
C
)
{\displaystyle {\mathcal {H}}=\operatorname {L} ^{2}(\operatorname {U} (1);\mathbb {C} )}
이다.
U
(
1
)
=
R
/
(
2
π
Z
)
{\displaystyle \operatorname {U} (1)=\mathbb {R} /(2\pi \mathbb {Z} )}
로 좌표
θ
{\displaystyle \theta }
를 주었을 때, 이는 정규 직교 기저
|
n
⟩
=
exp
(
i
n
θ
)
(
n
∈
Z
)
{\displaystyle |n\rangle =\exp(\mathrm {i} n\theta )\qquad (n\in \mathbb {Z} )}
를 갖는다.
원군 의 기약 표현 은 (아벨 군 이므로) 모두 1차원이며,
R
n
:
U
(
1
)
→
GL
(
1
;
C
)
=
C
×
{\displaystyle R_{n}\colon \operatorname {U} (1)\to \operatorname {GL} (1;\mathbb {C} )=\mathbb {C} ^{\times }}
R
n
:
θ
↦
exp
(
i
θ
)
{\displaystyle R_{n}\colon \theta \mapsto \exp(\mathrm {i} \theta )}
이다. 즉, 그 기약 표현들의 집합은 정수의 집합과 표준적으로 일대일 대응된다.
IrRep
(
U
(
1
)
)
≅
Z
{\displaystyle \operatorname {IrRep} (\operatorname {U} (1))\cong \mathbb {Z} }
힐베르트 공간의 분해
H
=
⨁
^
n
∈
Z
C
⊗
C
=
∑
n
∈
Z
C
|
n
⟩
{\displaystyle H={\widehat {\bigoplus }}_{n\in \mathbb {Z} }\mathbb {C} \otimes \mathbb {C} =\sum _{n\in \mathbb {Z} }\mathbb {C} |n\rangle }
는
H
{\displaystyle H}
의 정규 직교 기저
|
n
⟩
{\displaystyle |n\rangle }
에 대한 분해이다.
해밀토니언
H
=
−
d
2
d
θ
2
{\displaystyle H=-{\frac {\mathrm {d} ^{2}}{\mathrm {d} \theta ^{2}}}}
에 대하여, 각 정규 직교 기저의 고윳값 은
H
|
n
⟩
=
n
2
|
n
⟩
{\displaystyle H|n\rangle =n^{2}|n\rangle }
이다. 그 위의 열핵 은
K
(
θ
0
,
θ
1
;
β
)
=
1
2
π
∑
n
∈
Z
exp
(
−
β
n
2
)
exp
(
i
n
(
θ
1
−
θ
0
)
)
=
∫
θ
:
[
0
,
β
]
→
U
(
1
)
θ
(
0
)
=
θ
0
,
θ
(
β
)
=
θ
1
exp
(
−
1
2
∫
0
β
g
˙
2
)
D
g
{\displaystyle K(\theta _{0},\theta _{1};\beta )={\frac {1}{2\pi }}\sum _{n\in \mathbb {Z} }\exp(-\beta n^{2})\exp(\mathrm {i} n(\theta _{1}-\theta _{0}))=\int _{{\scriptstyle \theta \colon [0,\beta ]\to \operatorname {U} (1)} \atop {\scriptstyle \theta (0)=\theta _{0},\;\theta (\beta )=\theta _{1}}}\exp \left(-{\frac {1}{2}}\int _{0}^{\beta }{\dot {g}}^{2}\right)\,\mathrm {D} g}
이며, 사실
1
2
π
∑
n
∈
Z
exp
(
−
n
2
β
)
exp
(
i
n
θ
)
=
1
4
π
β
∑
n
∈
Z
exp
(
θ
−
2
n
π
)
2
4
β
{\displaystyle {\frac {1}{2\pi }}\sum _{n\in \mathbb {Z} }\exp(-n^{2}\beta )\exp(\mathrm {i} n\theta )={\frac {1}{\sqrt {4\pi \beta }}}\sum _{n\in \mathbb {Z} }\exp {\frac {(\theta -2n\pi )^{2}}{4\beta }}}
이다.
G
=
SU
(
2
)
≅
S
3
{\displaystyle G=\operatorname {SU} (2)\cong \mathbb {S} ^{3}}
인 경우(3차원 초구 )를 생각하자. 이 경우, 측지선 은 대원 이다. 양자 모형에서, 힐베르트 공간 은
H
=
L
2
(
SU
(
2
)
;
C
)
{\displaystyle {\mathcal {H}}=\operatorname {L} ^{2}(\operatorname {SU} (2);\mathbb {C} )}
이다.
SU
(
2
)
{\displaystyle \operatorname {SU} (2)}
의 기약 표현은 스핀
j
∈
{
0
,
1
/
2
,
1
,
3
/
2
,
2
,
,
⋯
}
=
IrRep
(
SU
(
2
)
)
{\displaystyle j\in \{0,1/2,1,3/2,2,,\dotsb \}=\operatorname {IrRep} (\operatorname {SU} (2))}
에 의하여 결정된다. 힐베르트 공간의 분해는
H
=
⨁
^
j
C
2
j
+
1
⊗
C
2
j
+
1
{\displaystyle {\mathcal {H}}={\widehat {\bigoplus }}_{j}\mathbb {C} ^{2j+1}\otimes \mathbb {C} ^{2j+1}}
이다.
2
j
+
1
{\displaystyle 2j+1}
차원 기약 표현에서, 해밀토니언 연산자 의 고윳값 은 (적절한 비례 상수에 대하여)
E
j
=
j
(
j
+
1
)
{\displaystyle E_{j}=j(j+1)}
이다.
↑ Gawędzki, Krzysztof (1999년 4월 21일). “Conformal field theory: a case study” (영어). arXiv :hep-th/99041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