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군 위의 입자

물리학에서 리 군 위의 입자(영어: particle on a Lie group)는 리 군의 구조를 가진 공간 속에서 움직이는 입자를 나타내는 물리학 모형이다.[1]:§2 고전적으로 그 해(리 군측지선)는 간단하게 표현될 수 있으며, 대칭으로 인하여 쉽게 양자화될 수 있다.

정의

편집

콤팩트 연결 리 군  가 주어졌다고 하자.  리 대수   위의 양의 정부호 2차 대칭 불변 다항식

 

  위의 리만 계량을 정의하며, 이는  의 왼쪽 · 오른쪽 작용에 대하여 불변이다. 즉, 군의 준동형

 

이 존재한다 ( 전단사 등거리 변환의 군).

이 경우, 라그랑지언

 

을 정의할 수 있다. (편의상, 입자의 질량리만 계량 속에 흡수하였다.) 그 변분은

 

이다.

유도:

우선,

 

이므로,

 

이며,

 

이다. 따라서, 대각합의 순환성 및 부분 적분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이다. 여기서 둘째 항은 완전 적분이므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구할 때 무시할 수 있다.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측지선 방정식)은

 

이다. 그 해는 항상 다음과 같은 꼴로 놓을 수 있다.

 

여기서

  •  는 상수이다. 특히,  초기 조건이다.
  •   리 대수카르탕 부분 대수이다.
  •  는 카르탕 부분 대수의 임의의 원소이다.

이에 따라,  위상 공간의 좌표계로 여길 수 있다. 그러나 위상 공간은  차원이므로 (측지선은 초기 위치와 초기 속력으로 완전히 결정되므로),  개의 성분을 갖는   좌표계는  차원의 게이지 변환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이 게이지 군은  극대 원환면  이며, 이에 따라 좌표는 다음과 같이 변환한다.

 
 
 
 

게이지 변환을 도입하면, 계의   대칭이

 

와 같이 분해된다.

해밀턴 역학

편집

위상 공간리 군공변접다발  이며, 그 위에는 표준적인 심플렉틱 형식이 존재한다. 이 위의 심플렉틱 형식은   좌표계에서 다음과 같은 꼴로 두 성분으로 분해된다.

 

양자화

편집

콤팩트 연결 리 군   위의 입자의 힐베르트 공간  위의 복소수 2차 르베그 공간

 

이다. 이 경우 사용한 측도하르 측도이다. (콤팩트 리 군의 경우 왼쪽 하르 측도오른쪽 하르 측도가 일치한다.) 이 위에는  왼쪽 군 작용이 다음과 같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서,   표현들로 분해된다. 구체적으로, 이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해밀토니언

편집

 의 무한소 작용을 나타내는 연산자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위의 (양의 고윳값) 라플라스-벨트라미 연산자이다.

이 해밀토니언은 기약 표현에 대한 분해에 대하여 대각형이다. 구체적으로,   위에서, 해밀토니언의 고윳값  

 

로 주어진다.

양자 모형과 고전 모형 사이의 관계

편집

양자 모형과 고전 모형 사이의 관계는 파인먼-카츠 공식으로 주어진다. 즉, 해밀토니언  의 핵(즉,   위의 열핵)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

  •   ,  연속 함수  로 구성된 위너 공간이다.
  •  는 이 위너 공간 위의 확률 측도이다.
  •  는 고전 모형의 작용이다.
  •  는 표현  지표이다.

특히,   극한에서 이는 디랙 델타가 된다.

원군

편집

 인 경우(원군)를 생각하자. 이 경우 고전적으로 모든 상수 속도 곡선이 측지선이다. 양자 모형에서, 힐베르트 공간

 

이다.  로 좌표  를 주었을 때, 이는 정규 직교 기저

 

를 갖는다.

원군기약 표현은 (아벨 군이므로) 모두 1차원이며,

 
 

이다. 즉, 그 기약 표현들의 집합은 정수의 집합과 표준적으로 일대일 대응된다.

 

힐베르트 공간의 분해

 

 정규 직교 기저  에 대한 분해이다.

해밀토니언

 

에 대하여, 각 정규 직교 기저의 고윳값

 

이다. 그 위의 열핵

 

이며, 사실

 

이다.

3차원 초구

편집

 인 경우(3차원 초구)를 생각하자. 이 경우, 측지선대원이다. 양자 모형에서, 힐베르트 공간

 

이다.  의 기약 표현은 스핀  에 의하여 결정된다. 힐베르트 공간의 분해는

 

이다.  차원 기약 표현에서, 해밀토니언 연산자고윳값은 (적절한 비례 상수에 대하여)

 

이다.

각주

편집
  1. Gawędzki, Krzysztof (1999년 4월 21일). “Conformal field theory: a case study” (영어). arXiv:hep-th/9904145.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