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언어 목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다음은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의 언어 목록이다. 현재까지 총 60개의 언어가 등장했다.

참가 언어 목록

편집
순서 언어 첫 등장한 연도 국가
1 네덜란드어 1956   네덜란드
2 독일어 1956   스위스
3 프랑스어 1956   벨기에
4 이탈리아어 1956   이탈리아
5 스페인어 1957   독일
6 영어 1957   영국
7 덴마크어 1957   덴마크
8 스웨덴어 1958   스웨덴
9 룩셈부르크어 1960   룩셈부르크
10 노르웨이어 1960   노르웨이
11 사미어 1960   노르웨이
12 핀란드어 1961   핀란드
13 세르비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1] 1961   유고슬라비아
14 크로아티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1] 1963   유고슬라비아
15 포르투갈어 1964   포르투갈
16 보스니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1] 1964   유고슬라비아
17 슬로베니아어[2] 1966   유고슬라비아
18 빈 독일어 1971   오스트리아[3]
19 몰타어 1971   몰타
20 아일랜드어 1972   아일랜드
21 히브리어 1973   이스라엘
22 그리스어 1974   그리스
23 튀르키예어 1975   튀르키예
24 아랍어 1980   모로코
25 아이슬란드어 1986   아이슬란드
26 로만슈어[4] 1989   스위스
27 나폴리어 1991   이탈리아
28 아이티 크레올어 1992   프랑스
29 코르시카어 1993   프랑스
30 에스토니아어 1994   에스토니아
31 루마니아어 1994   루마니아
32 슬로바키아어 1994   슬로바키아
33 리투아니아어 1994   리투아니아
34 헝가리어 1994   헝가리
35 러시아어 1994   러시아
36 폴란드어 1994   폴란드
37 고대 그리스어 1995   그리스
38 포어아를베르크어 1996   오스트리아[3]
39 브르타뉴어 1996   프랑스
40 마케도니아어 1998   북마케도니아
41 사모기티아어 1999   리투아니아
42 남바이에른어 2003   오스트리아
43 인공 언어 2003   벨기에
44 라트비아어 2004   라트비아
45 카탈루냐어 2004   안도라
46 우크라이나어 2004   우크라이나
47 버로어 2004   에스토니아
48 몬테네그로어[5] 2005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49 알바니아어 2006   알바니아
50 타히티어 2006   모나코
51 불가리아어 2007   불가리아
52 체코어 2007   체코
53 아르메니아어 2007   아르메니아
54 롬어 2009   체코
55 스와힐리어 2011   노르웨이
56 우드무르트어 2012   러시아
57 아제르바이잔어 2012   불가리아
58 조지아어 2012   조지아
59 폰토스 그리스어 2016   그리스
60 크림 타타르어 2016   우크라이나
61 벨라루스어 2017   벨라루스
  • 1970년대 중반까지 언어 등장이 많은 이유는 당시 규정상 자국의 언어로만 출전해야 하였기 때문이다. 규정이 깨진 이후, 지역언어와 타국가의 언어(영어가 대체적으로 많이 쓰임)등이 쓰이기 시작했다.
  • 1994년 이후 언어 등장이 다시 많아진 이유는 동구권의 붕괴로 많은 국가가 참가하였기 때문이다.
  • 2003년 벨기에의 곡이 처음 인공언어로 쓰인 이후, 2006년2008년에 인공언어로 쓰인 곡이 참가했다.

자국 언어를 사용하지 않은 국가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유고슬라비아가 분열되기 전에는 3개의 언어가 세르보크로아트어로 쓰였다. 크로아티아어라는 언어가 등장한 시기는 1970년대이고, 보스니아어세르비아어라는 언어가 등장한 시기는 1990년대 중반이다. 하지만 곡마다 쓰임새가 조금씩 달라 다른 언어로 분류했다.
  2. (세르보크로아트어) 슬로베니아어세르보크로아트어와 다르다.
  3. 오스트리아는 독일어의 방언으로 된 곡을 각각 두 개씩 참가시켰는데, 2003년에는 남 바바리아어로 된 곡을, 2012년에는 오스트로바이에른어로 된 곡을 참가시켰다.
  4. 로만슈어스위스 인구중 사용 비율이 1%밖에 되지 않지만 스위스에서 공용어로 쓰이는 언어이다.
  5. 유고슬라비아의 1983년, 1984년곡인 DžuliCiao amore는 현대 몬테네그로어와 비슷하지만, 1990년대 중반까지 이 언어가 인정되지 않아, 세르보크로아트어로 분류된다.
  6. en:Love Unlimited (Sofi Marinova song). 소피 마리노바의 곡 "Love Unlimited"에서 아제르바이잔어 구절인 "Mən səni sevirəm"이 가사에 나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