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지역 구분

한국의 지역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전통적 구분

편집

한국의 지방 구분은 한반도의 역사적 지역에 관한 것이다.

시도 단위 이상

편집

한반도 군사 분계선에 의해 남한북한으로 나뉜다. 해방 후 한국 전쟁 이전에는 북위 38도를 기준으로 나누었다.

1896년13도제가 실시된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특별시, 광역시가 설치되면서 몇몇 대도시가 도와 별개의 행정구역이 되었다. 이들 도시와 원래의 도를 묶어서 부르는 용어들은 다음과 같다.

산업지대

편집

시군 경계에 들어선 신도시

편집

대도시권

편집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의 시행령은 대한민국 지역에 5개의 대도시권을 설정하고 있다.

시도 이내 방위 지명

편집

서울특별시

편집

경기도

편집

경기도는 한강(북한강)을 기준으로 남부와 북부로 나뉜다.

그 외의 지역

편집
  • 경기중부
  • 경기동부
  • 경기 북서부(고양, 파주를 포함하고 김포시와 미수복 개성시, 장단군을 포함할 수 있는 지역)

강원특별자치도

편집

충청북도

편집
  • 남부3군(=충북남부)
  • 중부4군
  • 동부

전라북도

편집
  • 북부
  • 동남부
  • 동북부
  • 서남부
  • 서북부

전라남도

편집
  • 동부
  • 서부
  • 남부
  • 중부
  • 서남부
  • 서북부

경상북도

편집
  • 동부
  • 서부
  • 남부
  • 북부
  • 중부
  • 동남부
  • 서남부

경상남도

편집
  • 동부
  • 서부
  • 남부
  • 중부
  • 서북부

부산광역시

편집
  • 서부산
  • 북부산
  • 동부산

시군 단위 지명

편집

시군 이하 지명

편집

시군이하 방위 지명

편집
  • 구미 강서
  • 구미 강북
  • 공주 강북
  • 공주 강남
  • 세종 강북
  • 세종 강남

정치 관련

편집

지역행복생활권

편집

이웃한 2~4개의 시군이 주민들과 지자체의 합의로 구성하는 지역을 말한다. 2015년 9월 현재 63개가 있다.[1]

잘 쓰이지 않게 된 지명

편집

지명이 가리키는 영역과 동일한 행정구역이 출범하면서 잘 쓰이지 않게 된 지역명이다.

각주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