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서론 에서 연속 원순서 집합 (連續原順序集合, 영어 : continuous preordered set )은 모든 원소가 그 원소를 ‘제한적으로 근사’하는 원소들로도 충분히 잘 근사되는 원순서 집합 이다. 연속 완비 격자 는 흔히 연속 격자 (連續格子, 영어 : continuous lattice )로 불린다.
원순서 집합
(
P
,
≲
)
{\displaystyle (P,\lesssim )}
의 두 원소
a
,
b
∈
P
{\displaystyle a,b\in P}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임의의 상향 집합
D
⊆
P
{\displaystyle D\subseteq P}
에 대하여, 만약
b
≲
⋁
D
{\displaystyle b\lesssim \bigvee D}
라면,
a
≲
d
{\displaystyle a\lesssim d}
인
d
∈
D
{\displaystyle d\in D}
가 존재한다.
임의의 순서 아이디얼
I
⊆
P
{\displaystyle I\subseteq P}
에 대하여, 만약
b
≲
⋁
I
{\displaystyle b\lesssim \bigvee I}
라면,
a
∈
I
{\displaystyle a\in I}
이다.
이 경우,
a
{\displaystyle a}
가
b
{\displaystyle b}
를 근사한다 (영어 :
a
{\displaystyle a}
approximates
b
{\displaystyle b}
) 또는
a
{\displaystyle a}
가
b
{\displaystyle b}
보다 훨씬 아래 (영어 :
a
{\displaystyle a}
is way below
b
{\displaystyle b}
)라고 하며, 이를
a
≪
b
{\displaystyle a\ll b}
로 적는다.
근사 관계
≪
{\displaystyle \ll }
는 추이적 관계 이며,
P
{\displaystyle P}
가 부분 순서 집합 인 경우 반대칭 관계 이지만, 원순서 가 아닐 수 있다.
≪
{\displaystyle \ll }
가 원순서 인 것은
(
P
,
≲
)
{\displaystyle (P,\lesssim )}
의 오름 사슬 조건 과 동치 이다.[ 1] :52, Examples I-1.3(4)
원순서 집합
(
P
,
≲
)
{\displaystyle (P,\lesssim )}
의 임의의 원소
a
∈
L
{\displaystyle a\in L}
에 대하여,
⇑
a
=
{
b
∈
L
:
a
≪
b
}
{\displaystyle \mathop {\Uparrow } a=\{b\in L\colon a\ll b\}}
⇓
a
=
{
b
∈
L
:
b
≪
a
}
{\displaystyle \mathop {\Downarrow } a=\{b\in L\colon b\ll a\}}
라고 하자. 이는 각각
P
{\displaystyle P}
의 상집합 과 하집합 을 이룬다. 만약
P
{\displaystyle P}
가 이음 반격자 라면,
⇓
a
{\displaystyle \mathop {\Downarrow } a}
는 상향 집합 이다. 그러나
P
{\displaystyle P}
가 만남 반격자 이더라도
⇑
a
{\displaystyle \mathop {\Uparrow } a}
는 하향 집합 이 아닐 수 있다.
원순서 집합
(
P
,
≲
)
{\displaystyle (P,\lesssim )}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면, 연속 원순서 집합 이라고 한다.
임의의
a
∈
P
{\displaystyle a\in P}
에 대하여,
⇓
a
{\displaystyle \mathop {\Downarrow } a}
는 상향 집합 이며,
a
=
⋁
⇓
a
{\displaystyle a=\bigvee \mathop {\Downarrow } a}
이다.
연속 원순서 집합
(
P
,
≲
)
{\displaystyle (P,\lesssim )}
의 두 원소
a
,
b
∈
P
{\displaystyle a,b\in P}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a
≪
b
{\displaystyle a\ll b}
임의의 상향 집합
D
⊆
P
{\displaystyle D\subseteq P}
에 대하여, 만약
b
≲
⋁
D
{\displaystyle b\lesssim \bigvee D}
라면,
a
≪
d
{\displaystyle a\ll d}
인
d
∈
D
{\displaystyle d\in D}
가 존재한다.
이를 사용하여, 연속 원순서 집합
(
P
,
≲
)
{\displaystyle (P,\lesssim )}
의 근사 관계
≪
{\displaystyle \ll }
가 다음과 같은 보간 성질을 만족시킴을 보일 수 있다.
∀
a
,
b
∈
P
:
a
≪
b
⟹
(
∃
c
∈
P
:
a
≪
c
≪
b
)
{\displaystyle \forall a,b\in P\colon a\ll b\implies (\exists c\in P\colon a\ll c\ll b)}
위 명제에서,
D
=
⇓
b
{\displaystyle D=\mathop {\Downarrow } b}
를 취한다.
dcpo
(
P
,
≤
)
{\displaystyle (P,\leq )}
의 두 원소
a
,
b
∈
P
{\displaystyle a,b\in P}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1] :61, Proposition I-1.19(i)
a
≪
b
{\displaystyle a\ll b}
이며,
a
≠
b
{\displaystyle a\neq b}
임의의 상향 집합
D
⊆
P
{\displaystyle D\subseteq P}
에 대하여, 만약
b
≲
⋁
D
{\displaystyle b\lesssim \bigvee D}
라면,
a
≪
d
{\displaystyle a\ll d}
이며
a
≠
d
{\displaystyle a\neq d}
인
d
∈
D
{\displaystyle d\in D}
가 존재한다.
따라서, 만약
P
{\displaystyle P}
가 연속 dcpo 라면, 다음과 같은 더 강한 보간 성질이 성립한다.[ 1] :61, Proposition I-1.19(ii)
∀
a
,
b
∈
P
:
a
≪
b
∧
a
≠
b
⟹
(
∃
c
∈
P
:
a
≪
c
≪
b
∧
a
≠
c
)
{\displaystyle \forall a,b\in P\colon a\ll b\land a\neq b\implies (\exists c\in P\colon a\ll c\ll b\land a\neq c)}
dcpo
(
P
,
≤
)
{\displaystyle (P,\leq )}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1] :57, Theorem I-1.10
연속 원순서 집합이다.
순서 아이디얼 의 상한 함수
⋁
:
Ideal
(
P
)
→
P
{\displaystyle \bigvee \colon \operatorname {Ideal} (P)\to P}
는 (작은 얇은 범주 사이의 함자 로서) 왼쪽 수반 함자 를 갖는다. 여기서
Ideal
(
P
)
{\displaystyle \operatorname {Ideal} (P)}
는 순서 아이디얼 들의 부분 순서 집합 이다.
구체적으로, 연속 dcpo
(
P
,
≤
)
{\displaystyle (P,\leq )}
에 대하여,
⋁
:
Ideal
(
P
)
→
P
{\displaystyle \bigvee \colon \operatorname {Ideal} (P)\to P}
의 왼쪽 수반 함자 는
⇓
:
P
→
Ideal
(
P
)
{\displaystyle {\mathord {\Downarrow }}\colon P\to \operatorname {Ideal} (P)}
⇓
⊣
⋁
{\displaystyle {\mathord {\Downarrow }}\dashv {\mathord {\bigvee }}}
이다.
임의의 연속 dcpo
(
P
,
≤
)
{\displaystyle (P,\leq )}
가 주어졌다고 하자. 다음 두 명제를 보이면 족하다.
임의의
a
∈
P
{\displaystyle a\in P}
에 대하여,
a
≤
⋁
⇓
a
{\displaystyle a\leq \bigvee \mathop {\Downarrow } a}
임의의 순서 아이디얼
I
∈
Ideal
(
P
)
{\displaystyle I\in \operatorname {Ideal} (P)}
에 대하여,
⇓
⋁
I
⊆
I
{\displaystyle \mathop {\Downarrow } \bigvee I\subseteq I}
이 두 명제는 연속 원순서 집합의 정의에 따라 자명하다.
반대로,
(
P
,
≤
)
{\displaystyle (P,\leq )}
가 dcpo 이며,
f
:
P
→
Ideal
(
P
)
{\displaystyle f\colon P\to \operatorname {Ideal} (P)}
가
⋁
:
Ideal
(
P
)
→
P
{\displaystyle \bigvee \colon \operatorname {Ideal} (P)\to P}
의 왼쪽 수반 함자 이며,
a
∈
P
{\displaystyle a\in P}
라고 하자. 그렇다면,
f
(
a
)
{\displaystyle f(a)}
는
a
≤
⋁
f
(
a
)
{\displaystyle a\leq \bigvee f(a)}
인 최소의
P
{\displaystyle P}
의 순서 아이디얼 이다. 근사 순서
≪
{\displaystyle \ll }
의 정의에 따라,
f
(
a
)
=
⇓
a
{\displaystyle f(a)=\mathop {\Downarrow } a}
이다. 따라서,
P
{\displaystyle P}
는 연속 원순서 집합이다.
완비 격자
L
{\displaystyle L}
의 두 원소
a
,
b
∈
L
{\displaystyle a,b\in L}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a
≪
b
{\displaystyle a\ll b}
임의의 부분 집합
A
⊆
P
{\displaystyle A\subseteq P}
에 대하여, 만약
b
≤
⋁
A
{\displaystyle b\leq \bigvee A}
라면,
a
≤
⋁
F
{\displaystyle a\leq \bigvee F}
인 유한 부분 집합
F
⊆
A
{\displaystyle F\subseteq A}
가 존재한다.
완비 격자
L
{\displaystyle L}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다.
연속 원순서 집합이다.
순서 아이디얼 의 상한 함수
⋁
:
Ideal
(
L
)
→
L
{\displaystyle \bigvee \colon \operatorname {Ideal} (L)\to L}
은 임의의 부분 집합의 하한 을 보존한다. 여기서
Ideal
(
L
)
{\displaystyle \operatorname {Ideal} (L)}
은 순서 아이디얼 들의 완비 격자 이다.[ 1] :Theorem I-1.10
임의의 상향 집합 들의 집합
D
⊆
P
(
L
)
{\displaystyle {\mathcal {D}}\subseteq {\mathcal {P}}(L)}
에 대하여,
⋀
D
∈
D
⋁
D
=
⋁
f
∈
∏
D
⋀
D
∈
D
f
(
D
)
{\displaystyle \bigwedge _{D\in {\mathcal {D}}}\bigvee D=\bigvee _{f\in \prod {\mathcal {D}}}\bigwedge _{D\in {\mathcal {D}}}f(D)}
두 원소 격자
{
0
,
1
}
{\displaystyle \{0,1\}}
의 (유한 또는 무한 개) 직접곱 위의 스콧 연속 멱등 함수
r
:
{
0
,
1
}
κ
→
{
0
,
1
}
κ
{\displaystyle r\colon \{0,1\}^{\kappa }\to \{0,1\}^{\kappa }}
의 상
r
(
{
0
,
1
}
κ
)
{\displaystyle r(\{0,1\}^{\kappa })}
과 동형 이다.[ 2] :56, Theorem 44
연속 완비 격자
L
{\displaystyle L}
이 주어졌다고 하자.
D
⊆
P
(
L
)
{\displaystyle {\mathcal {D}}\subseteq {\mathcal {P}}(L)}
가 임의의
L
{\displaystyle L}
의 상향 집합 들의 집합이라고 하자.
⋀
D
∈
D
⋁
D
≥
⋁
f
∈
∏
D
⋀
D
∈
D
f
(
D
)
{\displaystyle \bigwedge _{D\in {\mathcal {D}}}\bigvee D\geq \bigvee _{f\in \prod {\mathcal {D}}}\bigwedge _{D\in {\mathcal {D}}}f(D)}
은 자명하다. 따라서, 임의의
a
≪
⋀
D
∈
D
⋁
D
{\displaystyle a\ll \bigwedge _{D\in {\mathcal {D}}}\bigvee D}
에 대하여,
a
≤
⋁
f
∈
∏
D
⋀
D
∈
D
f
(
D
)
{\displaystyle a\leq \bigvee _{f\in \prod {\mathcal {D}}}\bigwedge _{D\in {\mathcal {D}}}f(D)}
임을 보이면 족하다. 임의의
D
∈
D
{\displaystyle D\in {\mathcal {D}}}
에 대하여,
a
≪
⋁
D
{\displaystyle a\ll \bigvee D}
이므로,
a
≤
g
(
D
)
{\displaystyle a\leq g(D)}
인
g
(
D
)
∈
D
{\displaystyle g(D)\in D}
가 존재한다. 따라서,
a
≤
⋀
D
∈
D
g
(
D
)
≤
⋁
f
∈
∏
D
⋀
D
∈
D
f
(
D
)
{\displaystyle a\leq \bigwedge _{D\in {\mathcal {D}}}g(D)\leq \bigvee _{f\in \prod {\mathcal {D}}}\bigwedge _{D\in {\mathcal {D}}}f(D)}
이다.
반대로,
L
{\displaystyle L}
이 완비 격자 이며, 또한 임의의 상향 집합 들의 집합
D
⊆
P
(
L
)
{\displaystyle {\mathcal {D}}\subseteq {\mathcal {P}}(L)}
에 대하여,
⋀
D
∈
D
⋁
D
=
⋁
f
∈
∏
D
⋀
D
∈
D
f
(
D
)
{\displaystyle \bigwedge _{D\in {\mathcal {D}}}\bigvee D=\bigvee _{f\in \prod {\mathcal {D}}}\bigwedge _{D\in {\mathcal {D}}}f(D)}
라고 하자. 임의의
a
∈
L
{\displaystyle a\in L}
에 대하여, 자명하게
⋁
⇓
a
≤
a
{\displaystyle \bigvee \mathop {\Downarrow } a\leq a}
이다. 따라서
⋁
⇓
a
≥
a
{\displaystyle \bigvee \mathop {\Downarrow } a\geq a}
임을 보이면 족하다.
D
{\displaystyle {\mathcal {D}}}
를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부분 집합
D
⊆
L
{\displaystyle D\subseteq L}
들의 집합으로 취하자.
D
{\displaystyle D}
는 상향 집합 이다.
a
≤
⋁
D
{\displaystyle a\leq \bigvee D}
그렇다면,
D
{\displaystyle {\mathcal {D}}}
의 정의에 따라, 임의의
f
∈
∏
D
{\displaystyle f\in \prod {\mathcal {D}}}
에 대하여,
⋀
D
∈
D
f
(
D
)
≪
a
{\displaystyle \bigwedge _{D\in {\mathcal {D}}}f(D)\ll a}
이다. 따라서,
a
≤
⋀
D
∈
D
⋁
D
=
⋁
f
∈
∏
D
⋀
f
(
D
)
≤
⋁
⇓
a
{\displaystyle a\leq \bigwedge _{D\in {\mathcal {D}}}\bigvee D=\bigvee _{f\in \prod {\mathcal {D}}}\bigwedge f(D)\leq \bigvee \mathop {\Downarrow } a}
이다.
연속 완비 격자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모든 완비 헤이팅 대수 는 자명하게 분배 격자 이다. 반대로,
L
{\displaystyle L}
이 연속 완비 격자 이자, 분배 격자 라고 하자. 임의의 원소
a
∈
L
{\displaystyle a\in L}
및 부분 집합
S
⊆
L
{\displaystyle S\subseteq L}
에 대하여,
a
∧
⋁
S
=
⋁
s
∈
S
a
∧
s
{\displaystyle a\wedge \bigvee S=\bigvee _{s\in S}a\wedge s}
임을 보이면 족하다. 연속 완비 격자의 세 번째 조건에서,
D
=
{
{
a
}
,
{
⋁
S
′
:
S
′
⊆
S
,
|
S
′
|
<
ℵ
0
}
}
{\displaystyle {\mathcal {D}}=\left\{\{a\},\left\{\bigvee S'\colon S'\subseteq S,\;|S'|<\aleph _{0}\right\}\right\}}
을 취하자. (두 번째 집합이 상향 집합 임은 쉽게 보일 수 있다.) 그렇다면,
L
{\displaystyle L}
이 연속 완비 격자 이자 분배 격자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a
∧
⋁
S
=
a
∧
⋁
S
′
⊆
S
|
S
′
|
<
ℵ
0
⋁
S
′
=
⋁
S
′
⊆
S
|
S
′
|
<
ℵ
0
a
∧
⋁
S
′
=
⋁
S
′
⊆
S
|
S
′
|
<
ℵ
0
⋁
s
∈
S
′
a
∧
s
=
⋁
s
∈
S
a
∧
s
{\displaystyle a\wedge \bigvee S=a\wedge \bigvee _{S'\subseteq S}^{|S'|<\aleph _{0}}\bigvee S'=\bigvee _{S'\subseteq S}^{|S'|<\aleph _{0}}a\wedge \bigvee S'=\bigvee _{S'\subseteq S}^{|S'|<\aleph _{0}}\bigvee _{s\in S'}a\wedge s=\bigvee _{s\in S}a\wedge s}
모든 연속 완비 분배 격자는 국소 콤팩트 공간 의 열린집합 격자와 순서 동형이다.
유한 개의 연속 dcpo들의 직접곱은 연속 dcpo이며, 그 위의 근사 관계는 성분별 근사 관계와 동치 이다. 유한 또는 무한 개의 최소 원소 를 갖는 연속 dcpo
(
P
i
,
≤
)
i
∈
I
{\displaystyle (P_{i},\leq )_{i\in I}}
들의 직접곱
∏
i
∈
I
P
i
{\displaystyle \textstyle \prod _{i\in I}P_{i}}
는 연속 dcpo이며, 직접곱의 두 원소
a
,
b
∈
∏
i
∈
I
P
i
{\displaystyle \textstyle a,b\in \prod _{i\in I}P_{i}}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a
≪
b
{\displaystyle a\ll b}
임의의
i
∈
I
{\displaystyle i\in I}
에 대하여
a
i
≪
b
i
{\displaystyle a_{i}\ll b_{i}}
이며,
{
i
∈
I
:
a
i
≠
⊥
}
{\displaystyle \{i\in I\colon a_{i}\neq \bot \}}
는 유한 집합 이다.
연속 dcpo의 스콧 닫힌집합 은 연속 dcpo이며, 그 위의 근사 관계는 원래 근사 관계를 제한한 것이다.
연속 완비 격자와 스콧 연속 함수 의 범주 는 데카르트 닫힌 범주 를 이룬다.[ 2] :56, Theorem 45
모든 유한 원순서 집합 은 연속 원순서 집합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오름 사슬 조건 을 만족시키는 모든 원순서 집합 은 연속 원순서 집합이다.
실수 폐구간
[
0
,
1
]
⊆
R
{\displaystyle [0,1]\subseteq \mathbb {R} }
은 표준적인 순서에 의하여 완비 격자 를 이룬다. 또한, 임의의
x
,
y
∈
[
0
,
1
]
{\displaystyle x,y\in [0,1]}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x
≪
y
{\displaystyle x\ll y}
x
=
0
{\displaystyle x=0}
이거나,
x
<
y
{\displaystyle x<y}
따라서, 항상
⋁
⇓
x
=
⋁
(
[
0
,
x
)
∪
{
0
}
)
=
x
{\displaystyle \bigvee \mathop {\Downarrow } x=\bigvee ([0,x)\cup \{0\})=x}
이며,
[
0
,
1
]
{\displaystyle [0,1]}
은 연속 완비 격자를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전순서 완비 격자
L
{\displaystyle L}
의 임의의 두 원소
a
,
b
∈
L
{\displaystyle a,b\in L}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a
≪
b
{\displaystyle a\ll b}
다음 세 조건 가운데 정확히 하나가 성립한다.
a
=
b
=
⊥
{\displaystyle a=b=\bot }
a
<
b
{\displaystyle a<b}
a
=
b
>
⊥
{\displaystyle a=b>\bot }
이며,
a
=
b
{\displaystyle a=b}
는
L
{\displaystyle L}
의 어떤 도약
(
c
,
a
)
{\displaystyle (c,a)}
의 두 번째 성분이다.
따라서, 모든 전순서 완비 격자 는 연속 완비 격자이다.
임의의 집합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멱집합
(
P
(
X
)
,
⊆
)
{\displaystyle ({\mathcal {P}}(X),\subseteq )}
는 완비 격자 를 이룬다. 이 경우
A
≪
B
{\displaystyle A\ll B}
는
A
{\displaystyle A}
가
B
{\displaystyle B}
의 유한 부분 집합인 것과 동치 이다. 모든 집합은 그 유한 부분 집합들의 합집합이므로,
(
P
(
X
)
,
⊆
)
{\displaystyle ({\mathcal {P}}(X),\subseteq )}
는 연속 완비 격자를 이룬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의 열린집합 들은 포함 관계에 의하여 완비 헤이팅 대수
Open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Open} (X)}
를 이룬다. 임의의 두 열린집합
U
,
V
∈
Open
(
X
)
{\displaystyle U,V\in \operatorname {Open} (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U
≪
V
{\displaystyle U\ll V}
임의의 열린
V
{\displaystyle V}
-덮개 는 유한 부분
U
{\displaystyle U}
-덮개를 갖는다.
U
⊆
V
{\displaystyle U\subseteq V}
이며,
U
{\displaystyle U}
를 원소로 갖는
X
{\displaystyle X}
위의 임의의 극대 필터 는
V
{\displaystyle V}
속의 점으로 수렴한다.
Open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Open} (X)}
가 완비 격자 이므로 첫째 조건과 둘째 조건은 서로 동치 이다. 이제,
U
≪
V
{\displaystyle U\ll V}
이며,
F
{\displaystyle {\mathcal {F}}}
가
X
{\displaystyle X}
위의 극대 필터 이며,
U
∈
F
{\displaystyle U\in {\mathcal {F}}}
라고 하자. 귀류법 을 사용하여, 임의의
x
∈
V
{\displaystyle x\in V}
가
F
{\displaystyle {\mathcal {F}}}
의 극한 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즉,
W
x
∉
F
{\displaystyle W_{x}\not \in {\mathcal {F}}}
인
x
{\displaystyle x}
의 근방
W
x
{\displaystyle W_{x}}
가 존재한다.
F
{\displaystyle {\mathcal {F}}}
가 극대 필터 이므로,
W
x
∩
F
x
=
∅
{\displaystyle W_{x}\cap F_{x}=\varnothing }
인
F
x
∈
F
{\displaystyle F_{x}\in {\mathcal {F}}}
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
W
x
:
x
∈
V
}
{\displaystyle \{W_{x}\colon x\in V\}}
는
V
{\displaystyle V}
-덮개 이므로, 유한 부분
U
{\displaystyle U}
-덮개
{
W
x
:
x
∈
S
}
{\displaystyle \{W_{x}\colon x\in S\}}
을 갖는다. 따라서,
∅
=
⋃
x
∈
S
W
x
∩
⋂
x
∈
S
F
x
∈
F
{\displaystyle \varnothing =\bigcup _{x\in S}W_{x}\cap \bigcap _{x\in S}F_{x}\in {\mathcal {F}}}
이며, 이는 모순이다.
이제,
U
⊆
V
{\displaystyle U\subseteq V}
이며,
U
{\displaystyle U}
를 원소로 갖는
X
{\displaystyle X}
위의 임의의 극대 필터 는
V
{\displaystyle V}
속의 점으로 수렴한다고 하자.
D
⊆
Open
(
X
)
{\displaystyle {\mathcal {D}}\subseteq \operatorname {Open} (X)}
가 열린집합 들의 상향 집합 이며,
V
⊆
⋃
D
{\displaystyle V\subseteq \bigcup {\mathcal {D}}}
라고 하자. 귀류법 을 사용하여, 임의의
D
∈
D
{\displaystyle D\in {\mathcal {D}}}
에 대하여,
U
⊈
D
{\displaystyle U\not \subseteq D}
라고 하자. 그렇다면,
{
U
∖
D
:
D
∈
D
}
{\displaystyle \{U\setminus D\colon D\in {\mathcal {D}}\}}
는 하향 집합 을 이룬다. 이를 포함하는 최소의 필터
F
0
=
↑
{
U
∖
D
:
D
∈
D
}
{\displaystyle {\mathcal {F}}_{0}=\mathop {\uparrow } \{U\setminus D\colon D\in {\mathcal {D}}\}}
를 생각하자.
F
0
⊆
F
{\displaystyle {\mathcal {F}}_{0}\subseteq {\mathcal {F}}}
인
X
{\displaystyle X}
위의 극대 필터
F
{\displaystyle {\mathcal {F}}}
를 취하자.
D
0
∈
D
{\displaystyle D_{0}\in {\mathcal {D}}}
를 고정하자. 그렇다면, 임의의
F
∈
F
{\displaystyle F\in {\mathcal {F}}}
에 대하여,
F
∩
U
⊇
F
∩
U
∖
D
0
≠
∅
{\displaystyle F\cap U\supseteq F\cap U\setminus D_{0}\neq \varnothing }
이다. 따라서
U
∈
F
{\displaystyle U\in {\mathcal {F}}}
이며,
F
{\displaystyle {\mathcal {F}}}
는 어떤
x
∈
V
{\displaystyle x\in V}
로 수렴한다.
x
∈
D
{\displaystyle x\in D}
인
D
∈
D
{\displaystyle D\in {\mathcal {D}}}
를 취하자. 그렇다면,
D
∈
F
{\displaystyle D\in {\mathcal {F}}}
이므로,
∅
=
D
∩
U
∖
D
∈
F
{\displaystyle \varnothing =D\cap U\setminus D\in {\mathcal {F}}}
이다. 이는 모순이다.
만약
X
{\displaystyle X}
가 국소 콤팩트 공간 (즉, 모든 점이 콤팩트 국소 기저 를 갖는 위상 공간 )이라면, 추가로 다음 조건이 동치 이다.
U
⊆
C
⊆
V
{\displaystyle U\subseteq C\subseteq V}
인 콤팩트 집합
C
{\displaystyle C}
가 존재한다.
따라서, 임의의 국소 콤팩트 공간
X
{\displaystyle X}
의 열린집합 격자
Open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Open} (X)}
는 연속 완비 격자를 이룬다. 보다 일반적으로,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X
{\displaystyle X}
를 핵콤팩트 공간 (영어 : core-compact space )이라고 한다.
Open
(
X
)
{\displaystyle \operatorname {Open} (X)}
는 연속 완비 격자이다.
X
{\displaystyle X}
의 차분화 는 국소 콤팩트 공간 이다.
위상 공간 의 범주
Top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 }
에서, 임의의 위상 공간
Y
{\displaystyle Y}
에 대하여, 지수 대상
Y
X
{\displaystyle Y^{X}}
가 존재한다.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국소 콤팩트 공간 (모든 점이 콤팩트 국소 기저 를 갖는 공간) ⇒ 핵콤팩트 공간 ⇒ 쇼케 공간 ⇒ 베르 공간
다음과 같은 부분 순서 집합
{
⊥
,
⊤
,
a
1
,
a
2
,
a
3
,
…
,
b
}
{\displaystyle \{\bot ,\top ,a_{1},a_{2},a_{3},\dotsc ,b\}}
을 생각하자.
⊥
<
a
1
<
a
2
<
a
3
<
⋯
<
⊤
{\displaystyle \bot <a_{1}<a_{2}<a_{3}<\dotsb <\top }
⊥
<
b
<
⊤
{\displaystyle \bot <b<\top }
이는 완비 격자 를 이룬다.
{
⊥
,
a
1
,
a
2
,
a
3
,
…
}
{\displaystyle \{\bot ,a_{1},a_{2},a_{3},\dotsc \}}
가 상향 집합 이므로,
b
≪̸
b
{\displaystyle b\not \ll b}
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
⇓
b
=
⋁
{
⊥
}
=
⊥
≠
b
{\displaystyle \bigvee \mathop {\Downarrow } b=\bigvee \{\bot \}=\bot \neq b}
이며, 이 완비 격자는 연속 완비 격자가 아니다.
모든 원자 없는 완비 불 대수 는 연속 완비 격자가 아니다. 원자 없는 완비 불 대수
B
{\displaystyle B}
의 두 원소
a
,
b
∈
B
{\displaystyle a,b\in B}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a
≪
b
{\displaystyle a\ll b}
a
=
⊥
{\displaystyle a=\bot }
환
R
{\displaystyle R}
의 아이디얼 들은 포함 관계에 의하여 완비 격자
Ideal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Ideal} (R)}
를 이룬다. 임의의 두 아이디얼
I
,
J
∈
Ideal
(
R
)
{\displaystyle I,J\in \operatorname {Ideal} (R)}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I
≪
J
{\displaystyle I\ll J}
I
⊆
K
⊆
J
{\displaystyle I\subseteq K\subseteq J}
인 유한 생성 아이디얼
K
⊆
R
{\displaystyle K\subseteq R}
가 존재한다.
모든 아이디얼은 그 유한 생성 부분 아이디얼들의 합집합이므로,
Ideal
(
R
)
{\displaystyle \operatorname {Ideal} (R)}
는 연속 완비 격자를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