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위의
n
{\displaystyle n}
개의 점들의 짜임새 공간
Conf
n
X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n}X}
은 집합으로서
X
{\displaystyle X}
속의,
n
{\displaystyle n}
개 이하의 원소들을 갖는 부분 집합 들의 집합이다.
이는 다음과 같은 몫공간 으로 정의할 수 있다.
Conf
n
X
=
X
n
/
Sym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n}X=X^{n}/\operatorname {Sym} (n)}
여기서
Sym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n)}
은
n
{\displaystyle n}
개의 원소 위의 대칭군 이며, 몫공간 은
Sym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Sym} (n)}
의
X
n
{\displaystyle X^{n}}
위의 표준적인 작용 (각 성분들의 순열 )에 대한 몫공간이다. 만약
X
{\displaystyle X}
가 다양체 라면, 그 위의 짜임새 공간은 오비폴드 를 이룬다.
짜임새 공간 속에서, 좌표가 중복되지 않는 부분 공간
C
o
n
f
n
o
n
s
i
n
g
n
X
=
{
(
x
1
,
…
,
x
n
)
∈
X
n
:
∀
i
≠
j
:
x
i
≠
x
j
}
/
Sym
(
n
)
⊆
Conf
n
X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_{nonsing}} ^{n}X=\{(x_{1},\dots ,x_{n})\in X^{n}\colon \forall i\neq j\colon x_{i}\neq x_{j}\}/\operatorname {Sym} (n)\subseteq \operatorname {Conf} ^{n}X}
을 비특이 짜임새 공간 (영어 : nonsingular configuration space )이라고 한다. 만약
X
{\displaystyle X}
가 다양체라면 비특이 짜임새 공간 역시 다양체이다. (이름과 달리, 짜임새 공간 자체가 특이점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평면이나 구 위의 짜임새 공간은 특이점을 갖지 않는다.)
점을 가진 공간
(
X
,
∙
)
{\displaystyle (X,\bullet )}
의 거듭 곱공간 에 대하여, 표준적인 포함 사상들의 열
X
0
≅
{
∙
}
⊆
X
≅
X
×
{
∙
}
⊆
X
2
≅
X
2
×
{
∙
}
⊆
X
3
≅
X
3
×
{
∙
}
⊆
⋯
{\displaystyle X^{0}\cong \{\bullet \}\subseteq X\cong X\times \{\bullet \}\subseteq X^{2}\cong X^{2}\times \{\bullet \}\subseteq X^{3}\cong X^{3}\times \{\bullet \}\subseteq \cdots }
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짜임새 공간들의 포함 사상
Conf
0
X
↪
Conf
1
X
↪
Conf
2
X
↪
Conf
3
X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0}X\hookrightarrow \operatorname {Conf} ^{1}X\hookrightarrow \operatorname {Conf} ^{2}X\hookrightarrow \operatorname {Conf} ^{3}X\hookrightarrow \cdots }
이 존재한다. 이들의 귀납적 극한 을 무한 짜임새 공간 (영어 : infinite configuration space )
Conf
∞
X
=
lim
→
n
→
∞
Conf
n
X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infty }X=\varinjlim _{n\to \infty }\operatorname {Conf} ^{n}X}
이라고 한다.
Conf
0
X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0}X}
는 항상 한원소 공간 이다.
Conf
1
X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1}X}
는
X
{\displaystyle X}
와 같다.
3차원 단체
△
3
{\displaystyle \triangle ^{3}}
. 이는 닫힌구간
[
0
,
1
]
{\displaystyle [0,1]}
위의 3차 짜임새 공간
Conf
3
[
0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3}[0,1]}
이다.
전순서 집합
(
L
,
≤
)
{\displaystyle (L,\leq )}
위에 순서 위상 을 주자. 그렇다면,
L
{\displaystyle L}
위의
n
{\displaystyle n}
차 짜임새 공간
Conf
n
L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n}L}
은 곱공간
L
n
{\displaystyle L^{n}}
의 부분 공간
{
(
a
1
,
a
2
,
…
,
a
n
)
∈
L
n
:
a
1
≤
a
2
≤
⋯
≤
a
n
}
⊆
L
n
{\displaystyle \{(a_{1},a_{2},\dots ,a_{n})\in L^{n}\colon a_{1}\leq a_{2}\leq \cdots \leq a_{n}\}\subseteq L^{n}}
으로 여길 수 있다.
예를 들어, 닫힌구간
[
0
,
1
]
{\displaystyle [0,1]}
위의
n
{\displaystyle n}
차 짜임새 공간은
n
{\displaystyle n}
차원 단체
△
n
=
{
(
t
1
,
t
2
,
…
,
t
n
)
∈
[
0
,
1
]
n
:
t
1
≤
t
2
≤
⋯
≤
t
n
}
{\displaystyle \triangle ^{n}=\{(t_{1},t_{2},\dots ,t_{n})\in [0,1]^{n}\colon t_{1}\leq t_{2}\leq \cdots \leq t_{n}\}}
이며, 반직선
R
≥
0
{\displaystyle \mathbb {R} _{\geq 0}}
위의
n
+
1
{\displaystyle n+1}
차 짜임새 공간은
n
{\displaystyle n}
차원 단체 위의 무한 뿔
Conf
n
+
1
R
≥
0
≅
△
n
×
R
≥
0
△
n
×
{
0
}
=
{
(
t
r
1
,
t
r
2
,
…
,
t
r
n
,
t
)
:
(
r
1
,
…
,
r
n
)
∈
△
n
,
t
∈
R
+
}
⊔
{
(
0
,
0
,
…
,
0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n+1}\mathbb {R} _{\geq 0}\cong {\frac {\triangle ^{n}\times \mathbb {R} _{\geq 0}}{\triangle ^{n}\times \{0\}}}=\{(tr_{1},tr_{2},\dots ,tr_{n},t)\colon (r_{1},\dots ,r_{n})\in \triangle ^{n},t\in \mathbb {R} ^{+}\}\sqcup \{(0,0,\dots ,0)\}}
이다.
유클리드 평면
R
2
{\displaystyle \mathbb {R} ^{2}}
위의
n
{\displaystyle n}
개 입자의 짜임새 공간
Conf
n
R
2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n}\mathbb {R} ^{2}}
를 생각해 보자.
유클리드 평면 을 복소평면
C
{\displaystyle \mathbb {C} }
로 생각하자. 대수학의 기본 정리 에 따라, 복소수 계수
n
{\displaystyle n}
차 다항식
p
(
z
)
=
c
0
+
c
1
z
+
c
2
z
2
+
⋯
+
z
n
{\displaystyle p(z)=c_{0}+c_{1}z+c_{2}z^{2}+\cdots +z^{n}}
은
n
{\displaystyle n}
개의 (중복될 수 있는) 근을 갖는다. 반대로,
n
{\displaystyle n}
개의 복소수들의 중복집합
(
z
1
,
z
2
,
…
,
z
n
)
{\displaystyle (z_{1},z_{2},\dots ,z_{n})}
이 주어진다면, 이들을 근으로 하는 다항식
p
(
z
)
=
(
z
−
z
1
)
(
z
−
z
2
)
⋯
(
z
−
z
n
)
{\displaystyle p(z)=(z-z_{1})(z-z_{2})\cdots (z-z_{n})}
을 재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Conf
n
C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n}\mathbb {C} }
는
n
{\displaystyle n}
차 복소수 일계수 다항식 들의 모듈라이 공간
C
n
{\displaystyle \mathbb {C} ^{n}}
과 위상 동형 이다. 특히 이는 매끄러운 다양체 로 나타낼 수 있다.
Conf
n
R
2
≅
R
2
n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n}\mathbb {R} ^{2}\cong \mathbb {R} ^{2n}}
짜임새 공간과 달리, 평면 위의 비특이 짜임새 공간
C
o
n
f
n
o
n
s
i
n
g
n
R
2
⊆
R
2
n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_{nonsing}} ^{n}\mathbb {R} ^{2}\subseteq \mathbb {R} ^{2n}}
은
n
≥
2
{\displaystyle n\geq 2}
일 경우 축약 가능 공간 이 아니며, 그 기본군 을 꼬임군
π
1
(
C
o
n
f
n
o
n
s
i
n
g
n
R
2
)
=
Braid
(
n
)
{\displaystyle \pi _{1}(\operatorname {Conf_{nonsing}} ^{n}\mathbb {R} ^{2})=\operatorname {Braid} (n)}
이라고 한다.
구
S
2
{\displaystyle \mathbb {S} ^{2}}
위의
n
{\displaystyle n}
개의 입자의 짜임새 공간
Conf
n
S
2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n}\mathbb {S} ^{2}}
를 생각하자. 구 를 리만 구
C
P
1
=
C
⊔
{
∞
^
}
{\displaystyle \mathbb {CP} ^{1}=\mathbb {C} \sqcup \{{\widehat {\infty }}\}}
로 여길 수 있다.
복소수 사영 공간 속의 임의의 점
[
c
0
:
c
1
:
⋯
:
c
n
]
∈
C
P
n
{\displaystyle [c_{0}:c_{1}:\cdots :c_{n}]\in \mathbb {CP} ^{n}}
에 대하여, 다항식
p
(
z
)
=
c
0
+
c
1
z
+
⋯
+
c
n
z
n
{\displaystyle p(z)=c_{0}+c_{1}z+\cdots +c_{n}z^{n}}
을 정의하자.
만약
c
n
≠
0
{\displaystyle c_{n}\neq 0}
이라면 이는
n
{\displaystyle n}
개의 (유한한) 근들을 가진다.
만약
c
n
=
0
{\displaystyle c_{n}=0}
이지만
c
n
−
1
≠
0
{\displaystyle c_{n-1}\neq 0}
이라면 이는
n
−
1
{\displaystyle n-1}
개의 유한한 근들을 가진다. 이 경우,
∞
^
∈
C
P
1
{\displaystyle {\widehat {\infty }}\in \mathbb {CP} ^{1}}
를 무한한 "근"으로 정의하여,
n
{\displaystyle n}
개의 (유한하거나 무한한) 근들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k
∈
{
0
,
1
,
2
,
3
,
…
,
n
}
{\displaystyle k\in \{0,1,2,3,\dots ,n\}}
에 대하여
0
=
c
k
+
1
=
c
k
+
2
=
⋯
{\displaystyle 0=c_{k+1}=c_{k+2}=\cdots }
이지만
c
k
≠
0
{\displaystyle c_{k}\neq 0}
이라면, 이는
k
{\displaystyle k}
개의 유한한 근들과
n
−
k
{\displaystyle n-k}
개의 무한한 근들을 가진다.
반대로,
a
1
/
b
1
,
…
,
a
n
/
b
n
∈
C
⊔
{
∞
}
=
C
P
1
{\displaystyle a_{1}/b_{1},\dots ,a_{n}/b_{n}\in \mathbb {C} \sqcup \{\infty \}=\mathbb {CP} ^{1}}
이 주어졌을 때
p
(
z
)
=
(
b
1
z
−
a
1
)
(
b
2
z
−
a
2
)
⋯
(
b
n
z
−
a
n
)
{\displaystyle p(z)=(b_{1}z-a_{1})(b_{2}z-a_{2})\cdots (b_{n}z-a_{n})}
은 이들을 (유한하거나 무한한) 근으로 하는 다항식을 이룬다. 따라서, 초구 위의 짜임새 공간은 복소수 사영 공간
Conf
n
S
2
≅
C
P
n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n}\mathbb {S} ^{2}\cong \mathbb {CP} ^{n}}
이다.
돌트-톰 정리에 따라, 초구 위의 무한 짜임새 공간은 무한 순환군 의 에일렌베르크-매클레인 공간 을 이룬다.
Conf
∞
S
n
≃
K
(
Z
,
n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infty }\mathbb {S} ^{n}\simeq K(\mathbb {Z} ,n)}
특히,
K
(
Z
,
2
)
{\displaystyle K(\mathbb {Z} ,2)}
는 무한 차원 복소수 사영 공간 이다.
C
P
∞
≅
Conf
∞
S
2
≃
K
(
Z
,
2
)
{\displaystyle \mathbb {CP} ^{\infty }\cong \operatorname {Conf} ^{\infty }\mathbb {S} ^{2}\simeq K(\mathbb {Z} ,2)}
원 위의
n
{\displaystyle n}
차 짜임새 공간
Conf
n
(
S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n}(\mathbb {S} ^{1})}
은
(
n
−
1
)
{\displaystyle (n-1)}
차원 단체 의 기둥에서, 윗면과 아랫면을 뒤틀림을 가해 붙이는 오비폴드 이다.[ 1] 즉, 단체
△
n
−
1
=
{
(
t
1
,
…
,
t
n
)
∈
[
0
,
1
]
n
:
∑
i
=
1
n
t
i
=
1
}
{\displaystyle \triangle ^{n-1}=\left\{(t_{1},\dots ,t_{n})\in [0,1]^{n}\colon \sum _{i=1}^{n}t_{i}=1\right\}}
의 자기 동형
σ
:
△
n
−
1
→
△
n
−
1
{\displaystyle \sigma \colon \triangle ^{n-1}\to \triangle ^{n-1}}
σ
:
(
t
1
,
…
,
t
n
)
↦
(
t
2
,
t
3
,
…
,
t
n
,
t
1
)
{\displaystyle \sigma \colon (t_{1},\dotsc ,t_{n})\mapsto (t_{2},t_{3},\dotsc ,t_{n},t_{1})}
을 생각하면,
Conf
n
(
S
1
)
=
△
n
−
1
×
[
0
,
1
]
△
n
−
1
×
{
0
}
∼
σ
△
n
−
1
×
{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n}(\mathbb {S} ^{1})={\frac {\triangle ^{n-1}\times [0,1]}{\triangle ^{n-1}\times \{0\}\sim _{\sigma }\triangle ^{n-1}\times \{1\}}}}
이다.
증명:
원
S
1
=
R
/
Z
{\displaystyle \mathbb {S} ^{1}=\mathbb {R} /\mathbb {Z} }
에 임의의 방향 을 주자. 이제,
n
{\displaystyle n}
개의 점 가운데 임의의 한 점
x
0
∈
S
1
{\displaystyle x_{0}\in \mathbb {S} ^{1}}
을 고르고, 나머지 점들을 반시계 방향으로
x
0
,
x
1
,
…
,
x
n
=
x
0
∈
S
1
{\displaystyle x_{0},x_{1},\dotsc ,x_{n}=x_{0}\in \mathbb {S} ^{1}}
이라고 부르자. 이제, 서로 이웃하는 점 사이의 거리
t
i
=
x
i
−
t
i
−
1
∈
[
0
,
1
]
{\displaystyle t_{i}=x_{i}-t_{i-1}\in [0,1]}
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
i
=
1
n
t
i
=
1
{\displaystyle \sum _{i=1}^{n}t_{i}=1}
이므로, 이들은
(
n
−
1
)
{\displaystyle (n-1)}
차원 단체 의 좌표를 이룬다.
그렇다면,
S
1
{\displaystyle \mathbb {S} ^{1}}
위의
n
{\displaystyle n}
개의 점들의 배열은
n
−
1
{\displaystyle n-1}
차원 단체의 한 점
t
∈
△
n
−
1
{\displaystyle t\in \triangle ^{n-1}}
및
x
0
∈
S
1
{\displaystyle x_{0}\in \mathbb {S} ^{1}}
의 위치로 나타내어지므로,
△
n
−
1
×
S
1
{\displaystyle \triangle ^{n-1}\times \mathbb {S} ^{1}}
의 특정한
몫공간 이다. 여기서 취하는 몫은
x
0
{\displaystyle x_{0}}
의 선택을 바꾸는 것에 대한 것이며, 이는 점들의 번호를 순환적으로 1만큼 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원
S
1
{\displaystyle \mathbb {S} ^{1}}
위의 2차 짜임새 공간
Conf
2
(
S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2}(\mathbb {S} ^{1})}
은 뫼비우스 띠 이다. 구체적으로, 뫼비우스 띠 의 (유일한) 경계는 두 점이 일치하는 부분 공간이다.
마찬가지로, 원 위의 3차 짜임새 공간
Conf
3
(
S
1
)
{\displaystyle \operatorname {Conf} ^{3}(\mathbb {S} ^{1})}
은 정삼각형 기둥에서, 윗면과 아랫면을 60도 뒤틀어 붙여 얻는 오비폴드 이다. 이는 (원과 동형인) 하나의 1차원 경계 및 (뫼비우스 띠 와 동형인) 하나의 2차원 경계를 갖는데, 이는 각각 3개의 점이 일치하는 부분 공간과 2개의 점이 일치하는 부분 공간에 해당한다.
Fadell, Edward R.; Husseini, Sufian Y. (2001). 《Geometry and topology of configuration spaces》.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영어). Springer. doi :10.1007/978-3-642-56446-8 . ISBN 978-3-540-66669-1 . ISSN 1439-7382 . Zbl 0962.55001 .
Hansen, Vagn Lundsgaard (1989). 《Braids and coverings: selected topics》. London Mathematical Society Student Texts (영어) 18 .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 :10.1017/CBO9780511613098 . ISBN 978-052138479-7 . MR 1247697 . Zbl 0692.57001 .
Anders Björner, Fred Cohen, Corrado De Concini, Claudio Procesi, Mario Salvetti, 편집. (2012). 《Configuration Spaces: Geometry, Combinatorics and Topology》. CRM Series (영어) 14 . Springer. doi :10.1007/978-88-7642-431-1 . Zbl 1253.00010 .
Westerland, Craig (2011년 11월). “Configuration spaces in topology and geometry” (PDF) . 《Gazette of the Australian Mathematical Society》 (영어) 38 (5): 279–283. Zbl 1257.55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