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지역
안산선과 서해선의 전철역
초지역(Choji station, 草芝驛)은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초지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4호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서해선의 환승역이다. 개업 당시 역명은 공단역(工團驛)이었으나, 반월국가산업단지와 멀리 떨어져 있다는 문제가 계속 거론되어, 2012년 6월 30일 초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1] 부기역명은 신안산대(新安山大)로 역 인근에 신안산대학교가 있다. 추후 신안산선이 개통되면 4개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초지
(신안산대) | |
---|---|
4호선 역명판 | |
![]() 4호선, 수인·분당선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코레일 수도권서부본부 안산관리역 |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620 |
역 구조 | 고가역 |
개업일 | 1994년 1월 10일 |
역 번호 | 452 / K254 |
종별 | 무배치간이역 (안산역 관리)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산선) | |
진접 기점 77.4km | |
|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선) | |
청량리 기점 78.7 km | |
|
초지
| |
---|---|
![]() 서해선 광역전철 역명판(시우역 역명 개칭 전) | |
![]() 서해선 광역전철 승강장 | |
개괄 | |
관할 기관 | 코레일 수도권광역본부 안산관리역 서해철도 (위탁 관리) |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중앙대로 635 |
역 구조 | 지하역 |
개업일 | 2018년 6월 16일 |
역 번호 | S26 |
승강장수 | 2면 2선(상대식) |
거리표 | |
● 수도권 전철 서해선 (서해선) | |
소사 기점 19.7 km | |
|
연혁편집
역 구조편집
역사는 4호선, 수인·분당선이 지상 2층, 서해선 광역전철이 지하 3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출구는 4호선,수인·분당선측 1개, 서해선 광역전철측 4개 모두 5개가 있다. 4호선,수인·분당선 대합실이 지상 1층, 승강장이 지상 2층에, 서해선 광역전철 대합실이 지하 1~2층, 승강장이 지하 3층에 있다.
4호선, 수인·분당선 승강장편집
↑ 고잔 |
1 | | 2 |
안산 ↓ |
1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수원 · 서현 · 야탑 · 선정릉 · 왕십리 방면 |
---|---|---|
● 수도권 전철 4호선 | 중앙 · 금정 · 명동 · 창동 · 당고개 방면 | |
2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신길온천 · 소래포구 · 인천논현 · 인천 방면 |
● 수도권 전철 4호선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방면 |
서해선 광역전철 승강장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으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선부 |
1 | | 2 |
시우 ↓ |
1 |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시흥시청 · 소사 방면 |
---|---|---|
2 | 원시 방면 |
역 주변편집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4호선 | 승차 | 3,807 | 4,189 | 4,396 | 4,069 | 3,139 | 2,958 | 3,233 | 3,426 | 3,596 | 3,663 | [6]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4호선 | 승차 | 3,937 | 4,358 | 4,571 | 4,985 | 5,206 | 5,031 | 4,464 | 4,440 | 3,955 | 3,826 | 3,080 | 3,550 | 4,142 | [6] |
하차 | 3,755 | 4,147 | 4,349 | 4,778 | 5,065 | 4,936 | 4,385 | 4,364 | 3,824 | 3,726 | 2,964 | 3,488 | 4,097 | ||
서해선 | 승하차 | 미 개 통 | 12,217 | 14,462 | 11,345 | [7] |
인접한 역편집
안산선 | ||
---|---|---|
451 고잔 당고개 방면 |
● 수도권 전철 4호선 완행 |
453 안산 오이도 방면 |
450 중앙 당고개 방면 |
● 수도권 전철 4호선 급행 |
453 안산 오이도 방면 |
수인선 | ||
K253 고잔 왕십리 방면 |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완행 |
K255 안산 인천 방면 |
서해선 광역전철 | ||
S25 선부 일산 방면 |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S27 시우 원시 방면 |
사진편집
각주편집
- ↑ 이복한 (2012년 5월 7일). “안산선 '공단역'→'초지역'으로 변경”. 연합뉴스.
- ↑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2-228호, 2012년 5월 11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615호, 2013년 10월 21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8-207호, 2018년 4월 6일.
- ↑ 교통정책과 철도팀 (2018년 2월 1일). “소사-원시 복선전철 올해 6월 개통”. 《미디어시흥》. 2018년 4월 6일에 확인함.
- ↑ 가 나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2023년 3월 13일에 확인함.
- ↑ > 알림마당 > 자료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