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묘(七廟)는 제정 중국 시기, 천자의 6대조와 태조(太祖) 또는 시조(始祖)[1]가 모셔진 종묘와 봉안된 위패를 말한다. 정중앙을 제외한 왼쪽과 오른쪽에 따라 삼소(三昭)와 삼목(三穆)으로 구분한다. 칠묘 자체는 주나라 때부터 시작되었다.

원칙은 자신의 황고 ~ 열조부(烈祖父, 6대조)와 태조를 모시는 것이나, 나머지 한 자리는 삼촌, 형(兄), 황후를 배향하는 경우가 많았다.

전임 황제들이 형제 사이인 경우, 두 존령을 한 묘에 같이 모신다. 그리고 후임 황제가 선대 황제보다 항렬이 높으면 선황 시기 철거한 조상의 묘역을 복구하여 다시 종묘에 배향한다.

상세

편집

제후의 경우 5묘로 제한되며[2] 대부(大夫)의 경우 일소일목과 중앙 총 3묘로 제한된다.

봉안되는 조상의 경우 가까운 조상까진 황제추존하며 황제로 추존하지 않더라도 부군(府君)으로 높여 부른다. 황제의 부친은 황고, 황제의 조부는 황조, 황제의 증조부는 황증조, 황제의 고조부는 황고조, 황제의 현조부 이상은 전부 황조로 부른다.

역대 왕조의 칠묘 배향 목록

편집

후한

편집
후한 사묘
현 군주 태조 6세조 (열조) 5세조 (현조)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전임 철거 불천위
세조 광무제 공석 미배치(경제) 미배치(장사정왕) 용릉절부군 울림부군 거록부군 남돈군 - - -
조위 칠묘
현 군주 시조 6세조 (열조) 5세조 (현조)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전임 철거 불천위
세조 문제 공석 - - 미배치(조절) 고왕 태왕 태조 무제 - - -
열조 명제 공석 - 처사군 고제 태제 태조 무제 세조 문제 - - -
소릉여공 ~ 폐제 공석 처사군 고제 태제 태조 무제 세조 문제 열조 명제 - - -
원제 공석 - 처사군 고제 태제 태조 무제 세조 문제 - - -
서진 칠묘
현 군주 태조 7세 6세 5세 4세 3세 2세 1세 기타(전임) 철거
무제 공석 정서장군 예장부군 영천부군 경조부군 고조 선제 세종 경제 태조 문제 - -
혜제 공석 예장부군 영천부군 경조부군 고조 선제 세종 경제 태조 문제 세조 무제 - 정서장군
회제 공석 영천부군 경조부군 고조 선제 세종 경제 태조 문제 세조 무제 혜제 - 예장부군
민제 공석 영천부군 경조부군 고조 선제 세종 경제 태조 문제 세조 무제 혜제
회제
- -
원제 공석 예장부군(복위) 영천부군 경조부군 고조 선제 세종 경제 태조 문제 세조 무제 혜제, 회제
민제
-
명제 공석 영천부군 경조부군 고조 선제 세종 경제 태조 문제 세조 무제 혜제
회제
민제
원제
예장부군
성제 공석 경조부군 고조 선제 세종 경제 태조 문제 세조 무제 혜제
회제
민제 원제
명제
영천부군
강제 공석 경조부군 고조 선제 세종 경제 태조 문제 세조 무제 혜제
회제
민제 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
목제 공석 경조부군 고조 선제 세종 경제 태조 문제 세조 무제 혜제
회제
민제 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
애제 공석 고조 선제 세종 경제 태조 문제 세조 무제 혜제
민제
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목제 경조부군
간문제 공석 영천부군(복위) 경조부군(복위) 고조 선제 세종 경제 태조 문제 세조 무제 혜제, 민제 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
효무제 공석 경조부군 고조 선제 세종 경제 태조 문제 세조 무제 혜제, 민제 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간문제
영천부군
안제 공석 고조 선제 세종 경제 태조 문제 세조 무제 혜제, 민제 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간문제
효무제
경조부군
공제 공석 고조 선제 세종 경제 태조 문제 세조 무제 혜제, 민제 원제 명제 무도황후
성제, 강제
간문제
효무제
안제
-
환초 칠묘
현 군주 태조 6세조 (열조) 5세조 (현조)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전임 철거 불천위
무도제 선무제 - 미배치(환범) 미배치(환해, 桓楷) 미배치(환호) 미배치(만녕간남) 선무제 - - -
송왕 오묘
현 군주 왕고조 왕증조 왕조 왕고(王考) 왕비
유유(송왕) 개봉부군 무원부군 동안부군 처사부군
유송 칠묘
현 군주 시조 6세조 5세조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전임/황비 철거 불천위
무제 공석 우북평부군 상국연부군 개봉부군 무원부군 동안부군 효목제 무경황후 - -
소제 ~ 문제 공석 상국연부군 개봉부군 무원부군 동안부군 효목제 고조 무제 - 우북평부군 -
효무제 공석 개봉부군 무원부군 동안부군 효목제 고조 무제 태조 문제 - 상국연부군 -
전폐제 공석 무원부군 동안부군 효목제 고조 무제 태조 문제 세조 효무제 - 개봉부군 -
명제 공석 개봉부군(복위) 무원부군 동안부군 효목제 고조 무제 태조 문제 세조 효무제 - -
후폐제 ~ 순제 공석 무원부군 동안부군 효목제 고조 무제 태조 문제 세조 효무제(황백)
태종 명제(황고)
- 개봉부군 -
남제 칠묘
현 군주 시조 6세조 5세조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황비 철거 불천위
태조 고제 공석 광릉부군 태중부군 회음부군 즉구부군 태상부군 선제 고소황후 - -
세조 무제 공석 태중부군 회음부군 즉구부군 태상부군 선제 태조 고제 - 광릉부군
고소황후
-
소소업 ~ 소소문 공석 즉구부군 태상부군 선제 태조 고제 세조 무제 세종 문제 - 태중부군
회음부군
-
고종 명제 공석 태중부군(복위) 회음부군(복위) 즉구부군 태상부군 선제 태조 고제(황백)
경황(황고)
- 세조 무제
세종 문제
-
소보권 ~ 소보융 공석 회음부군 즉구부군 태상부군 선제 태조 고제(황백조)
경황(황조)
고종 명제 - 태중부군 -
양왕 오묘(五廟)
현 군주 1세 2세 3세 4세 5세
소연(양왕) 제음부군
(황고조)
중종사사부군
(황증조)
특진부군
(황조)
소순지
(황고)
치휘
(양왕비)
소량 칠묘
현 군주 시조 6세조 5세조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전임 황비 철거
소연(황제) 공석 태중부군 회음부군 제음부군 중종사사부군 특진부군 태조 문제 - 덕황후 -
간문제 공석 회음부군 제음부군 중종사사부군 특진부군 태조 문제 고조 무제 - -
[3]
덕황후
태중부군
원제 공석 회음부군 제음부군 중종사사부군 특진부군 태조 문제 고조 무제 태종 간문제 - -
소방지 공석 제음부군 중종사사부군 특진부군 태조 문제 고조 무제 태종 간문제(황백)
세조 원제(황고)
- - 제음부군
진 칠묘
현 군주 시조 6세조 5세조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전임 황비 철거 불천위
고조 무제 공석 보병부군 정원부군 회안부군 안성부군 의흥효공 태조 경제 - - - -
세조 문제 공석 정원부군 회안부군 안성부군 의흥효공 태조 경제 고조 무제 - - 보병부군 -
진백종 공석 회안부군 안성부군 의흥효공 태조 경제 고조 무제 세조 문제 - - 정원부군 -
고종 선제 공석 정원부군(복위) 회안부군 안성부군 의흥효공 태조 경제 고조 무제 - - - -
진숙보 공석 회안부군 안성부군 의흥효공 태조 경제 고조 무제 고종 선제 - - 정원부군 -

후한(육조)

편집
후한 칠묘
현 군주 시조 7세조 6세조 5세조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철거 불천위
후경 사도부군 진징부군 - - - - 대승상 원제 - -
제왕(齊王) 사묘(四廟)
현 군주 왕고조 왕증조 왕조 왕고(王考)
고양(제왕) 진주사군
(고조)
태위무정공
(증조)
태사문목공
(조)
상국헌무왕
(고)
북제 칠묘
현 군주 태조 6세조 5세조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전임 철거 불천위
문선제 태위무정공 사공공 이부상서 진주사군 태위무정공(태조) 문목제 태조 신무제 세종 문양제 - 태조 신무제
세종 문양제
폐제 태위무정공 이부상서 진주사군 태위무정공(태조) 문목제 태조 신무제 문선제 - 사공공 태조 신무제
세종 문양제
효소제 태위무정공 사공공(복위) 이부상서 진주사군 태위무정공(태조) 문목제 태조 신무제 현조 문선제 - 태조 신무제
세종 문양제
무성제 태위무정공 사공공 이부상서 진주사군 태위무정공(태조) 문목제 태조 신무제 현조 문선제
숙종 효소제
- 태조 신무제
세종 문양제
후주 ~ 유주 태위무정공 이부상서 진주사군 태위무정공(태조) 문목제 태조 신무제 세조 무성제 현조 문선제
숙종 효소제
사공공 태조 신무제
세종 문양제
수 사묘
현 군주 시조 6세조 5세조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전임 황비 철거 불천위
문제 공석 미배치(양현) 미배치(양원수) 태원부군 강왕 헌왕 태조 무원제 - - - 태조 문제
양제 공석 - (철거) 강왕 헌왕 태조 무원제 고조 문제 - - 태원부군 태조 문제
공제 공석 - - 헌왕 태조 무원제 고조 문제 세조 양제 - - 강왕 태조 문제
수 칠묘
현 군주 시조 6세조(열조) 5세조(현조) 황고조 황증조 황조 황고 전임 황비 철거 불천위
고조 공석 미배치(이흠) 미배치(이중이) 선간공 의왕 태조 경제 세조 원제 - - - -
태종 공석 홍농부군 선간공 의왕 태조 경제 세조 원제 고조 - - - -
고종 공석 헌조 선제 의조 광제 태조 경제 세조 원제 고조 태종 - - 홍농부군[4] -
중종 공석 의조 광제 태조 경제 세조 원제 고조 태종 고종 - - 헌조 선제 -

각주

편집
  1. 칠묘의 태조 또는 시조는 다른 여섯 존령(尊靈)을 조율하는 역할을 맡는다.
  2. 소 2, 4 목 3, 5.
  3. 더이상 황비는 배치하지 않음.
  4. 사유: 현 황제의 태조부(太祖父, 7대조)가 되었기에 칠묘 배향 범위를 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