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육군(大韓民國 陸軍, 영어: Republic of Korea Army, ROK Army, ROKA)은 대한민국의 지상군 전력으로, 대한민국 국군(大韓民國 國軍)의 3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예산도 가장 많다.
대한민국 육군 | |||||
---|---|---|---|---|---|
Republic of Korea Army (ROKA) 大韓民國陸軍 | |||||
| |||||
활동 기간 | 1946년 1월 15일 ~ 현재 | ||||
국가 | 대한민국 | ||||
소속 | 대한민국 국군 | ||||
종류 | 육군 | ||||
규모 | 36만 5천명 (2022년)[1] | ||||
명령 체계 | 대한민국 대통령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육군본부 | ||||
본부 | 대한민국 국방부 (참모본부) | ||||
별칭 | ROK Army, ROKA (R.O.K.A) | ||||
표어 | 열린국방 선진병영 | ||||
마스코트 | 호국이 | ||||
참전 |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이라크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걸프전쟁 | ||||
전신 | 대한제국 육군(명목상)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광복군(명목상) 조선국방경비대(사실상)[2] | ||||
웹사이트 | 대한민국 육군 | ||||
지휘관 | |||||
육군참모총장 | 박안수 | ||||
표장 | |||||
라운델 (육군 항공) | |||||
과거 라운델 |
2023년 7월 기준 대한민국 육군은 13개 보병 상비사단, 3개 기계화보병사단, 1개 신속대응사단, 12개 향토방위 목적 보병사단, 5개 동원목적 보병사단 이렇게 총 34개 사단 전력과 6개 군단 전력을 갖추고 있다.
역사
편집초기
편집일제강점기 시대의 독립군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의 한국 광복군이 기원이나, 한편으로는 대한민국 육군의 시작을 남조선국방경비대와 미군정이 설립한 군사영어학교에서 찾기도 한다. 국방부는 1948년 12월 15일, 660명의 남조선국방경비대를 토대로, 8명의 중령(만주군 출신 백선엽, 양국진, 김백일, 신학진, 박동균, 일본군 출신 유재흥, 기타 이용무, 최덕신)을 대령으로 특진발령하였다.[3]
한국 전쟁
편집한국전쟁 초기 대한민국 육군은 동부전선의 8사단, 6사단이 선전을 했으나, 서부전선의 경우 고전을 치렀다. 옹진반도를 방어하던 육본직할 17연대(백인엽 지휘)는 개전 직후 철수했으며, 청단-개성-문산을 방어하던 1사단(백선엽 지휘)은 동년 동월 27일까지 효과적으로 방어를 하였으나, 우측의 7사단이 괴멸하여, 서울이 점령됨에 따라 한강 이남으로 철수했다. 이 과정에서 1사단도 전투력의 60%이상을 상실하였으나 건제를 유지하였다. 의정부-포천축선을 방어하던 7사단의 경우 의정부지구 1연대의 선전에도 불구하고 포천축선의 9연대가 괴멸되고 이에 축차투입된 수경사 3연대, 2사단, 5사단도 붕괴되었다.
이에 중국 국부군 2성 장군 출신의 김홍일 장군이 시흥지구 전투사령부를 조직하여 혼성 사단을 조직 한강선을 7일간 방어함으로써 미군이 전개할 시간을 얻었다. 50년 7월 5일과 7월 24일에 단행된 사단 재편성을 거쳐 해체되지 않고 유지되는 사단은 1사단, 6사단, 8사단 이상 3개 사단이며 3사단은 예하 22, 23연대의 건제가 그대로 유지되고 있었고 7월 24일부 다시 사단이 구성되었다. 상기 4개사단 (1, 3, 6, 8 사단)을 제외한 나머지 사단 (2, 5, 7사단)은 사라졌다가 후에 재창설되었다. 수도경비사령부의 경우 7월 5일부 수도사단으로 개칭되었다. 초기 창군 과정에서 장교들이 고속 승진을 거듭한 끝에 장군이라고 해도 김홍일, 김석원, 이응준 장군을 제외한 나머지 장성들이 20대 후반 ~ 30대 중반이었던 관계로 지휘 경험과 대규모 군대 운영 및 행정 경험이 부족하여 전쟁 기간 내내 지휘력, 전투력 부족 문제로 시달렸다. 그나마 위의 3 장군도 50년 9월 이후는 전쟁 일선에서 물러났다.
사단급 제대가 다시 10개로 늘어난 후에도 군단 편성이 늦어진 점이나 편성된 군단도 다른 나라 "군단" 급 부대에 비하면 보병사단 3개를 모아둔 것에 불과할 뿐, 군단으로서 전투력을 가지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실제로 제1, 2군단은 모두 해체되었고, 현재의 제2군단은 1952년에 지리산 공비 토벌전을 위해 임시 편성인 기동 부대 성향의 백야전사령부를 모태로 새로 창설한 것이다. 대체적으로 한국군은 투지는 강했으나, 훈련의 양과 질, 장교의 지휘 능력, 보유 장비 등에서 부족함이 많았다. 백선엽 장군은 회고록에서 "1개 보병사단 전체를 105mm 1개 포병대대가 지원하고, 연대는 4.2인치 박격포 중대가 지원하는" 상황이었다고 술회했다. 당시 미군 보병사단은 1개 155mm 대대와 3개 105mm 대대로 사단 포병을 구성하고 있었다. 2013년 기준으로 한국군의 1개 사단을 지원하는 포병전력은 155mm 자주포 내지는 견인포로 1개 연대 정도다. 물론 편제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으며 105mm포는 향토사단 등에서만 사용할뿐 현역 사단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1951년 이후 미국이나 대한민국 모두 한국군의 군사력 증강을 위하여 노력을 기울였다. 미국도 NATO의 창설과 냉전 분위기 등으로 인해 한국에서 병력을 철수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백선엽 장군의 회고록에 따르면 1951년까지 미국과 이승만 대통령은 증강에는 동의했지만, 그 방식에서 의견이 첨예하게 대립했다. 이승만 대통령은 기존 10개 사단 외에 10개 사단 추가 증설을 위한 지원을 요구했고, 미국은 기존 사단들도 전투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데 무슨 10개 사단 증설이냐면서 기존 사단들의 전투력 배양이 먼저라고 맞받아쳤다. 즉, 양이냐, 질이냐에서 이승만 대통령은 전자를, 미국은 후자를 주장한 것이다.
이 와중에 현리 전투에서 제3군단이 패배하여 수십Km를 후퇴했고, 이웃한 미군 사단들이 급히 수습에 나서야 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이 전투에서 한국군이 보여준 무기력한 모습은 결국 미국 8 군 사령부와 유엔군 사령부의 중대 결단을 낳게 했다. 당시 육군 본부는 최전방에 전방 지휘소를 두고 국군 군단에 대해 어느 정도의 작전지휘를 하고 있었다. 1950년 7월 협정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미국에 한국군의 전체 지휘권을 넘겨주었지만, 미군은 융통성을 발휘해 육본의 독자 지휘를 어느 정도 인정해주고 있었다. 그러나 이 사건으로 전방지휘소 뿐만 아니라 제3군단마저 폐지하고 모든 한국군 사단을 미군 군단에 배속시키게 된다. 군단급 이상 상급 부대가 모두 폐지된 것은 한국군에게는 치욕이었으나, 이승만 대통령도 미군의 주장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결국 전쟁 중 한국군의 1차 증강은 미군의 주장에 따라 기존 사단들의 전투력 배양과 장교에 대한 교육 과정 강화를 우선 사업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휴전 후 병력증강과 M4 셔먼, M47 패튼 전차 도입 등 장비증강이 진행되었고, 1954년까지 제1, 2군 사령부와 군수기지사령부·군관구사령부, 10개 예비사단이 창설되었다.
베트남 전쟁 참전
편집1963년부터 미국은 베트남 전쟁에 파견, 지원할 군사적 협력을 세계 각국에 요청하였고 대한민국 역시 미국의 파월 지원 요청에 응하여 비둘기부대를 비롯한 건설공병대대 파견을 시작으로 1972년까지 약 32만명의 국군을 파병하게 된다. 32만명 파견 중 전사 5천명, 부상 1만 9천명의 사상자가 나오기도 했다.
국군 발전사상 베트남 전쟁 파병은 특기할 만한 일이다. 1964년 9월 11일 1300명으로 구성된 제101 이동외과 병원과 10명으로 구성된 태권도 교관단의 파견, 1965년 3월 16일 육군 건설공병부대인 비둘기 부대(1개 공병대대, 해병 공병중대, 경비대대, 수송중대)가 파견된 이후 계속 증파되어 10월 9일에는 제 2해병사단인 청룡부대를, 10월 22일엔 수도 기계화 보병사단인 맹호부대를, 1966년 4월 그리고 8월 30일에 9사단 백마부대가 파병됨으로써 무려 약 5만명(군단 규모)을 헤아리게 되었다.
국군의 베트남 파병에 대해서는 그 때마다 남베트남 정부의 요청과 대한민국 국회의 승인이 있었으나 그 심의과정에서는 야당인사인 윤보선, 장준하 등의 반대를 시작으로, 파병 찬·반 양론이 엇갈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월남전에 파월(월남에 파병)한 국군은 극복할 수 있는 문제점을 극복했을 뿐만 아니라 다대한 전공과 업적을 쌓았으며, 베트남 땅에 국군에 대한 많은 신화를 남겨 놓게 되었다. 베트남 파병의 대가로 미국으로부터 받은 자금과 회수한 무기로 군사무기 개량과 경부고속도로 건설, 경제 개발 사업 자금 등으로 활용되었다. 베트남전이 서서히 막을 내리던 1973년 3월 파월 국군은 완전히 베트남 땅에서 철수하였다.
21세기
편집2014년 10월 1일, 이라크 전쟁에서의 군수 문제 발생 사례를 토대로 병기, 병참, 수송 병과를 묶어 군수 병과로 창설하였다. 새로운 병과를 위한 교육과정인 통합군수관리과정을 신설 및 운용할 계획에 있다.[4]
이후 국방개혁이 진행 중이다. 자세한 내용은 야전군 통합과 현대화 항목을 참고.
야전군 통합
편집국방개혁 2020에 따라 2000년 12월에 집행될 예정이었던 제1야전군과 3야전군의 지상작전사령부로의 통합 계획이 2014년 3월 6일에 발표된 국방개혁 기본계획 2014~2030으로 재추진되고 있다. 그리고 군단 중심의 작전 수행체계를 구축하기로 예정이다.[5][6]
현재의 군단 8개는 2020년까지 7개로, 2030년까지는 6개로 줄일 계획이다[7]. 다만 이 외 수도방위사령부는 기능 사령부 중 하나로 그대로 존치할 계획이다.
현대화
편집- 분대당 대전차 화기 1정씩 배치
- 사제 장비 착용 허용, 개인전자제품 소지 허용
- 야간 야시장비, 스코프, 도트사이트, 광학장비, 고글, 방탄복, 피복, 보병장비, 개인장비, 장구류, 군장 등 개선
- 저격수, 정찰 저격수 양성 (저격수 학교 창설)
- 155mm 자주포 증강 (105mm 곡사포, 155mm 곡사포 전부 퇴역)
- 방독면 등 화학 제독장비 최신 장비로 교체
- 공병 장비 확충, 노후화된 공병 장비 교체
- 트럭·지프 등 각종 차량의 80%가 수명연한(12년) 넘음, 최신 차량으로 교체
- 전 부대 차량화, 기계화
- 무인 항공기 증강
- 레이다 시설 확충, 노후화된 레이다 교체
사업
편집율곡 사업
편집1970년대에는 M16A1 소총을 국내 라이선스 생산과 수류탄과 방독면의 국산화에 성공하였다. 또 1984년에는 현재 기계화 전력의 대부분을 이루고있는 K-200 장갑차를 차체생산하고 1987년에는 3세대 전차인 K1 전차를 도입하였다.
장비 개발
편집현재 국방과학연구소(ADD)는 K2 전차(K2 흑표, Black Panther)를 개발했다.2014년 실전배치된다.K-21 전투장갑차는 2012년경 전력화하였고 대형 공격헬기와 고정익 항공기를 증강중이다.병들의 개인화기 및 개인장비도 개선시키는 중이다. 전투력 향상을 위해 개인장비, 장구류, 군장이 늘어나고 저격소총, 옵션장비, 사격장, 1인당 교탄증가가 되었다. 소대장이 항공근접지원을 직접 유도할 수 있고 병사들은 무인 정찰기를 수시로 띄울 수 있다.
조직
편집참모총장
편집대장 계급의 현직 군인중에서 국방부 장관의 선임에 따라 임명되며, 현재 육군참모총장은 2023년에 취임한 박안수 대장이다.
편성
편집현재 육군본부 및 7개 기능 사령부와 2개 작전사령부 (지상작전사령부, 제2작전사령부) 체제로 유지되고 있다. 주한 미군과의 연합합동작전을 위한 한미연합사령부와 지상구성군사령부가 있다.
2019년 3월 29일 현재 육군본부, 지상작전사령부, 제2작전사령부, 수도방위사령부, 특수전사령부, 항공작전사령부, 미사일사령부, 군수사령부, 교육사령부, 인사사령부, 동원전력사령부로 구성되어 있다.
계급
편집계급 | 전투복(포제 정장) | 전투복(포제 견장) | 정복 | |
---|---|---|---|---|
장성 (將星) | 원수 (元帥)[8] | |||
대장 (大將) | ||||
중장 (中將) | ||||
소장 (少將) | ||||
준장 (准將) | ||||
영관 (領官) | 대령 (大領) | |||
중령 (中領) | ||||
소령 (少領) | ||||
위관 (尉官) | 대위 (大尉) | |||
중위 (中尉) | ||||
소위 (少尉) | ||||
준사관 (准士官) | 준위 (准尉) | |||
부사관 (副士官) | 원사 (元士) | |||
상사 (上士) | ||||
중사 (中士) | ||||
하사 (下士) | ||||
병 (兵) | 병장 (兵長) | 견장 없음 | ||
상등병 (上等兵) | ||||
일등병 (一等兵) | ||||
이등병 (二等兵) |
장비
편집
보병 화기편집권총(보조무기)편집
소총(주무기)편집(퇴역 및 개발취소 화기)
(현용 화기) 기관단총편집
기관총편집
유탄발사기편집산탄총편집
저격총편집
대전차무기편집
|
차량 및 화기편집육상차량편집장갑차편집
전차편집
곡사포 및 자주포편집
다연장 로켓편집
박격포편집
미사일편집
건설차량편집
작전차량편집
|
기타 장비편집대전차장비편집
통신기기편집
대화생방장비편집
야간장비편집
|
항공기편집회전익 항공기편집
무인항공기편집
|
교육 및 훈련
편집후반기
편집과거에 보병은 충청남도 논산시 논산훈련소에서 4주 훈련을 받은 후, 보병학교에서 3주간 보병 후반기 교육을 받았지만 현재 보병 후반기 교육은 폐지되었다. 의무적으로 복무하는 병들은 보직에 따라서 후반기 교육을 타 지역에 위치한 행정학교에서 받게된다.
부대별 운영비용
편집병과
편집전투
편집- 보병
- 기갑
- 1950년 10월 미국 육군에서 인수받은 M-36 잭슨 6대로, 1950년 11월 10일 국방부 일반명령 제90호에 따라 경상남도 동래에서 육군종합학교 교수부에 전차과를 신설하고 병과 교육을 시작하였다. 1951년 10월 5일 국방부 일반명령 제143호에 따라 제51, 52전차중대를 모체로 병과가 창설되었다.[18] 현재 관련 병과학교는 1953년 5월 15일에 설립된 육군기계화학교.[19]
- 포병
- 1948년 10월 23일 창설.
- 방공
- 정보
- 공병
- 1948년 12월 15일 창설, 관련 병과학교는 공병학교로 1948년 11월 25일에 설립되었다.
- 정보통신
- 1946년 6월 15일 남조선 국방경비대 총사령부 예하에 통신과를 설치하였다. 설치한 날이 기념일로 지정되었으며, 병과는 1948년 12월 15일에 국군조직법에 따라 제정되고, 2005년 1월 1일 정보통신병과로 개정되었다. 현재 정보통신학교에서 교육을 담당한다.[20]
- 항공
기술
편집- 화생방
- 군수
- 병기
- 1946년 7월 1일 창설, 종합군수학교 예하 병기교육단에서 교육을 담당한다.
- 병참
- 1948년 12월 15일 창설, 1954년 7월 10일이 병참병과의 날로 제정되었다. 현재 종합군수학교 예하 병참교육단에서 담당한다.
- 수송
- 1951년 4월 16일 창설, 야전수송교육단과 종합군수학교 예하 수송교육단에서 교육을 담당한다.
행정
편집- 인사
- 1946년 7월 21일 창설. 1951년 7월 21일이 부관병과의 날로 제정되었다.
- 2014년 9월 13일. 부관병과가 인사행정병과로 변경되었다.
- 2019년 6월 25일. 인사행정병과가 인사병과로 변경되었다.
- 재정
- 1948년 12월 15일 창설, 육군종합행정학교에서 교육을 담당한다.
- 2012년 2월. 육군중앙경리단이 국군재정관리단으로 통합되었다.
- 경리병과가 재정병과로 변경되었다.
- 군사경찰
- 2020년 2월 헌병병과가 군사경찰병과로 변경되었다.
- 정훈
특수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2022 국방백서” (PDF). 2023년 2월 1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미군정 시기에 1개 연대 규모로 창설된 준군사조직으로 대한민국 육군과 공군의 실질적인 전신이다.
- ↑ “陸軍八中領昇進”. 동아일보. 1948년 12월 31일.[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이영선 (2014년 10월 1일). “육군군수병과 활동 본격 시작”. 국방일보. 2014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0월 3일에 확인함.
- ↑ 김민석 (2002년 2월 23일). “지상 작전사령부 창설 무기연기”. 동아일보. 2014년 3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김병륜 (2014년 3월 6일). “전장영역 확대된 미래 군단 중심의 작전수행체계 구축”. 국방일보. 2019년 8월 1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수도군단, 1군단, 2군단, 3군단, 5군단, 7군단
- ↑ 원수는 국가에 대한 공적이 현저한 대장 중에서 임명하며, 국방부장관의 추천에 의하여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 국회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행한다. (군인사법 제 17조의2), 현재까지 대한민국 국군에는 원수로 임명된 군인은 없다.
- ↑ 6.25 전쟁 중 제작되었으며 당시 어려운 상황으로 조악해서 대량 양산이 불가능했다.
- ↑ 6.25 전쟁 이전에도 보유를 하고 있었으며 본격적인 공여는 6.25 전쟁 중에 받은 경우가 많다. 이후 향토예비군 화기에서도 1990년대 퇴역된 것으로 추정되며 역수출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 M1 개런드와 비슷한 시기에 보유를 하고 있거나 전쟁 중에 받은 경우가 많다. 이후 대한민국에서는 2014년까지는 공식적으로 향토예비군에서 사용 이후 향토예비군 화기에서도 퇴역이지만 여전히 역수출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 1970년대 M1 개런드를 M14 소총처럼 자동화한 형태로 2정이 실제 제작되었으며 MX소총은 예비군용 총기로 생산될 예정이었으나 K1A 기관단총과 K2 소총이 개발되면서 취소되었다.
- ↑ 1960년대 후반 ~ 1970년대 미군이 사용하다가 비교적 멀쩡한 상태의 물량은 치장 보관되거나 여러 우방국들에게 원조 제공되었다. 그 나라들 중 하나가 대한민국으로, M16 소총이 들어오기 전 극소수의 M14 소총이 들어왔다고 한다. 그리고 실제로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남에 파병된 국군이 사용한 이미지가 있다. 자세한 이미지는 출처1, 출처2 참고. 이후 2000년대까지는 사용하다가 도입된 총기도 극소수라서 예비군이 사용하기에 너무 적은 숫자로 사실상 퇴역한 것으로 추정.
- ↑ 1967년 한국이 월남전에 참전하는 대가로 미국에 한국군 현대화를 요구하여 베트남 파견 병력에게 M16A1을 지급한 것이 그 시작으로 1970년대 면허생산을 했으며 현재도 후방의 부대에서는 여전히 사용 중인 현용화기이지만 상당수는 후방지역의 동원예비군 및 향토예비군 화기로 전환되었다. 2014년부터 대체를 시도하다가 이후 공식적으로 2017년부터 예비군 화기로 전량 M16A1 소총 혹은 K2 소총으로 대체되었다.
- ↑ K-2 소총은 M16A1 소총과 함께 전방지역의 동원예비군 및 향토예비군의 치장장비로 보유 중인 것으로 추정, 전방의 부대부터 K-2C1으로 교체 중.
- ↑ 공식적으로는 베넬리 M3 슈퍼 90 산탄총이 공군의 BAT(Bird Alert Team)에서 비행 도중 활주로 안으로 날아드는 각종 새를 공포탄으로 위협할 목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출처기사(국제뉴스)
- ↑ http://bemil.chosun.com/nbrd/bbs/view.html?b_bbs_id=10040&pn=1&num=65560 유용원의 군사세계 2012년 2월 1일 국방부 질의 자료
- ↑ 이석종 (2010년 10월 15일). “병과, 그것이 알고 싶다 - ⑨ 육군 기갑병과”. 국방일보.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풀어쓴 한국군 전차 발달사” (PDF). 대한민국 육군. 2011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이석종 (2010년 6월 15일). “병과,그것이 알고싶다<21>육군정보통신병과”. 국방일보.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2일에 확인함.
- ↑ 이석종 (2010년 2월 11일). “병과, 그것이 알고 싶다<16>육군군종병과”. 국방일보. 2016년 3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2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대한민국 육군 -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