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영화 흥행 기록
위키미디어 목록 항목
다음은 영화의 흥행 순위를 알 수 있는 대한민국에서 개봉된 영화의 총 입장 관객 순위이다. 영화 흥행 기준을 영화의 총 수입을 기준으로 삼는 것과 총 관객 수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있는데, 보통 미국은 그 기준이 총 수입이며, 대한민국은 총 관객 수를 그 기준으로 삼아 집계하고 있다.
목차
흥행 순위 목록편집
대한민국 내에서의 영화 흥행 기록이다. 표 작성의 출처 및 기준은 대한민국 영화진흥위원회 의 영화관입장권 통합전산망 집계를 그 기준으로 한다.[1][2] 영진위의 통합전산망 집계와 한국영화연감 공식 통계의 기록을 대조하고 차이가 있다면 둘 중에서 높은 관객 수를 우선적으로 기입하였다. 만약 기록이 없다면 기사 등을 참고한다. 전체 영화 중에서 대한민국 내에서의 흥행 순으로 기록한다. 만약 두 통계에서도 전국 집계 자료가 없다면 배급사 집계를 따랐다. 누적 관객 수가 700만명 이상인 영화만 골라 실었다. 배경색 으로 표시된 영화는 현재 영화관에서 상영중인 영화를 뜻한다.
순위 | 제목 | 감독 | 한국내 배급사 | 개봉일 | 관객수 | 기타 |
---|---|---|---|---|---|---|
1 | 《명량》 | 김한민 | CJ E&M | 2014-07-30 | 17,615,437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2 | 《극한직업》 | 이병헌 | CJ엔터테인먼트 | 2019-01-23 | 14,535,539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3 | 《신과함께: 죄와 벌》 | 김용화 | 롯데엔터테인먼트 | 2017-12-20 | 14,411,675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4 | 《국제시장》 | 윤제균 | CJ E&M | 2014-12-17 | 14,262,766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5 | 《베테랑》 | 류승완 | CJ E&M | 2015-08-05 | 13,414,200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6 | 《아바타》 | 제임스 캐머런 | 이십세기폭스코리아 | 2009-12-17 | 13,338,863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7 | 《괴물》 | 봉준호 | 쇼박스 | 2006-07-27 | 13,019,740 | 제작사 집계 및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3] |
8 | 《도둑들》 | 최동훈 | 쇼박스 | 2012-07-25 | 12,983,841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4][5] |
9 | 《7번방의 선물》 | 이환경 |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 2013-01-23 | 12,811,435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10 | 《암살》 | 최동훈 | 쇼박스 | 2015-07-22 | 12,706,663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11 | 《광해, 왕이 된 남자》 | 추창민 | CJ E&M | 2012-09-13 | 12,323,595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12 | 《왕의 남자》 | 이준익 | 시네마서비스 | 2005-12-29 | 12,302,831 | 배급사 집계 및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6] |
13 | 《신과함께: 인과 연》 | 김용화 | 롯데엔터테인먼트 | 2018-08-01 | 12,271,946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14 | 《택시운전사》 | 장훈 | 쇼박스 | 2017-08-02 | 12,189,195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15 | 《태극기 휘날리며》 | 강제규 | 쇼박스 | 2004-02-05 | 11,746,135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관객수 두번째 천만 돌파 영화 |
16 | 《부산행》 | 연상호 |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 2016-07-20 | 11,566,874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17 | 《해운대》 | 윤제균 | CJ엔터테인먼트 | 2009-07-22 | 11,453,338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18 | 《변호인》 | 양우석 | 넥스트엔터테인먼트월드 | 2013-12-18 | 11,374,892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19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 루소 형제 |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 2018-04-25 | 11,212,710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20 | 《실미도》 | 강우석 | 시네마서비스 | 2003-12-24 | 11,081,000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관객수 최초 천만 돌파 영화 |
21 |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 조스 휘던 |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 2015-04-23 | 10,494,840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22 | 《인터스텔라》 | 크리스토퍼 놀런 | 워너브라더스코리아 | 2014-11-06 | 10,309,432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23 | 《겨울왕국》 | 크리스 벅, 제니퍼 리 | 소니픽쳐스릴리징월트디즈니스튜디오스코리아 | 2014-01-16 | 10,296,101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24 | 《보헤미안 랩소디》 | 브라이언 싱어 | 이십세기폭스코리아 | 2018-10-31 | 9,935,811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25 | 《검사외전》 | 이일형 | 쇼박스 | 2016-02-03 | 9,707,581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26 | 《설국열차》 | 봉준호 | CJ E&M | 2013-08-01 | 9,350,351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27 | 《내부자들》 | 우민호 | 쇼박스 | 2015-11-19 | 9,156,032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확장판 확산 기준 |
28 | 《관상》 | 한재림 | 쇼박스 | 2013-09-11 | 9,135,806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29 | 《아이언맨 3》 | 셰인 블랙 | 소니픽쳐스릴리징월트디즈니스튜디오스코리아 | 2013-04-25 | 9,001,679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30 |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 루소 형제 | 월트디즈니컴퍼니코리아 | 2016-04-27 | 8,678,117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31 | 《해적: 바다로 간 산적》 | 이석훈 | 롯데엔터테인먼트 | 2014-08-06 | 8,666,208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32 | 《수상한 그녀》 | 황동혁 | CJ E&M | 2014-01-22 | 8,659,755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33 | 《과속스캔들》 | 강형철 | 롯데엔터테인먼트 | 2008-12-03 | 8,223,342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34 | 《친구》 | 곽경택 | 코리아픽쳐스 | 2001-03-31 | 8,181,377 | 배급사 집계 기준[7][8] |
35 | 《국가대표》 | 김용화 | 쇼박스 | 2009-07-29 | 8,035,181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36 | 《디워》 | 심형래 | 쇼박스 | 2007-08-01 | 7,855,474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37 | 《공조》 | 김성훈 | CJ E&M | 2017-01-18 | 7,817,654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38 | 《트랜스포머 3》 | 마이클 베이 | CJ E&M | 2011-06-29 | 7,785,189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39 | 《히말라야》 | 이석훈 | CJ E&M | 2015-12-16 | 7,759,761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40 | 《미션 임파서블: 고스트 프로토콜》 | 브래드 버드 | CJ E&M | 2011-12-15 | 7,508,976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41 | 《밀정》 | 김지운 | 워너브라더스코리아 | 2016-09-07 | 7,500,457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42 | 《최종병기 활》 | 김한민 | 롯데엔터테인먼트 | 2011-08-10 | 7,470,633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43 | 《트랜스포머》 | 마이클 베이 | CJ엔터테인먼트 | 2007-06-28 | 7,402,732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44 |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 | 마이클 베이 | CJ엔터테인먼트 | 2009-06-24 | 7,393,443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45 | 《써니》 | 강형철 | CJ E&M | 2011-05-04 | 7,363,139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46 | 《스파이더맨: 홈커밍》 | 존 왓츠 | 소니픽처스 코리아 | 2017-07-05 | 7,258,678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47 | 《1987》 | 장준환 | CJ E&M | 2017-12-27 | 7,232,026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48 | 《베를린》 | 류승완 | CJ E&M | 2013-01-30 | 7,166,532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49 | 《마스터》 | 조의석 | CJ E&M | 2016-12-21 | 7,150,586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50 | 《터널》 | 김성훈 | 쇼박스 | 2016-08-10 | 7,120,780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51 | 《어벤져스》 | 조스 휘던 | 한국소니픽쳐스릴리징브에나비스타영화 | 2012-04-26 | 7,075,607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52 | 《인천상륙작전》 | 이재한 | CJ E&M | 2016-07-27 | 7,050,475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시대별 주요 흥행 기록편집
- 시대별 주요 흥행 기록이다. (최초 100만 돌파 등의 주요 흥행작 기록)
- 영화진흥위원회 의 기록 불충분시 수도권 및 동남권 관람객 수를 전제로 전국 관람객 추정치를 기록하고 수치 뒤에 "+"를 붙인다.
년대 | 개봉일 | 제목 | 관객수 | 비고 |
---|---|---|---|---|
1960년대 | 1965-04-17[9] | 《007 위기일발》 | 538,598 | [10] |
1970년대 | 1974-04-26[11] | 《별들의 고향》 | 464,308 | [10] |
1977-09-27[13] | 《겨울여자》 | 635,693 | 제작사 집계.[10] 흔히 인용되는 수로 585,775명이 있다.[15] | |
1979-09-29[16] | 《취권》 | 980,000 | 서울 안에서 898,000명[17][18][19], 국도극장에서만 525,613명(전국극장연합회 집계)[20] | |
1980년대 | 1985-03-01[21] | 《깊고 푸른 밤》 | 602,778 | ‘최초 60만 돌파’로 보도됐다.[22][23], 다른 관객 수로 495,573명이 있다.[24][25][26] |
1985-06-06[27] | 《킬링필드》 | 1,000,000+ | [28] 925,994명이라는 기사도 있다.[29] | |
1986 | 《창공을 날아라》 | 1,000,000+ | [30] | |
1989 | 《나이아가라》 | 1,000,000+ | [31] | |
1990년대 | 1990-06-09 | 《장군의 아들》 | 2,000,000+ | 단성사 (서울)에서는 680,000[15][32][33][34] |
1993-04-10 | 《서편제》 | 2,900,000+ | 서울 기준 1,035,741[1], 한국 영화상 처음으로 서울 관객 100만 돌파. | |
1997-11-19 | 《타이타닉》 | 4,890,000 | 재상영관 포함 520만명. 배급사 집계[35] | |
1999-02-13 | 《쉬리》 | 6,210,000 | 서울 기준 2,448,399[1] | |
2000년대 | 2001-03-31 | 《친구》 | 8,180,000 | 서울 기준 2,678,846[1] |
2003-12-24 | 《실미도》 | 11,081,000 | [1] 대한민국 개봉 영화 사상 최초 1000만 돌파. | |
2004-02-05 | 《태극기 휘날리며》 | 11,746,135 | [1] | |
2005-12-29 | 《왕의 남자》 | 12,302,831 | 2006년 4월 20일 기준 배급사 집계[1][36] | |
2006-07-27 | 《괴물》 | 13,019,740 | 제작사 집계[1][3] | |
2009-07-22 | 《해운대》 | 11,453,338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
2009-12-17 | 《아바타》 | 13,302,637 | 외화 사상 최초 1000만 관객 돌파. | |
2010년대 | 2012-07-25 | 《도둑들》 | 12,983,341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4][5] |
2012-09-13 | 《광해 왕이 된 남자》 | 12,323,555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
2013-01-13 | 《7번방의 선물》 | 12,811,206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
2013-12-18 | 《변호인》 | 11,375,944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기준 | |
2014-01-16 | 《겨울왕국》 | 10,296,101 | 애니메이션 영화 사상 최초 1000만 관객 돌파. | |
2014-07-30 | 《명량》 | 17,614,679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한국영화 사상 10번째로 아바타 꺾고 역대관객수 1위차지 | |
2014-11-06 | 《인터스텔라》 | 10,273,536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
2014-12-17 | 《국제시장》 | 14,259,468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역대관객수 2위차지 | |
2015-04-23 |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 10,494,499 | 슈퍼히어로 영화 사상 최초 1000만 관객 돌파. | |
2015-07-22 | 《암살》 | 12,192,697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
2015-08-05 | 《베테랑》 | 10,812,112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
2016-07-20 | 《부산행》 | 11,564,345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
2017-08-02 | 《택시운전사》 | 12,186,765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
2017-12-20 | 《신과함께: 죄와 벌》 | 14,411,525 | 영화진흥위원회 발권통계 기준 |
한국 영화 흥행 갱신 기록편집
- 한국 영화 내에서의 흥행 갱신 기록을 의미한다.
개봉일 | 제목 | 관객수 | 비고 |
---|---|---|---|
1974-04-26[11][12] | 《별들의 고향》 | 464,308 | [10] |
1977-09-27[13][14] | 《겨울 여자》 | 635,693 | 제작사 집계.[10] 흔히 인용되는 수로 585,775명이 있다.[15] |
1985-03-01[21] | 《깊고 푸른 밤》 | 602,778 | ‘최초 60만 돌파’로 보도됐다.[22][23] 다른 관객 수로 495,573명이 있다.[25][26][24] |
1993-04-10 | 《서편제》 | 2,900,000 | 서울 기준 1,035,741[1] |
1999-02-13 | 《쉬리》 | 6,210,000 | 서울 기준 2,448,399[1] |
2001-03-31 | 《친구》 | 8,180,000 | 서울 기준 2,678,846[1] |
2003-12-24 | 《실미도》 | 11,081,000 | [1] |
2004-02-05 | 《태극기 휘날리며》 | 11,746,135 | [1] |
2005-12-29 | 《왕의 남자》 | 12,302,831 | 2006년 4월 20일 기준 배급사 집계[1][36] |
2006-07-27 | 《괴물》 | 13,019,740 | 제작사 집계[1][3] |
2012-07-25 | 《도둑들》 | 12,983,341 | 제작사 집계[5] |
2014-07-30 | 《명량》 | 17,614,679 | '12일 만에 1000만 돌파'로 보도됐다.[1] |
함께 보기편집
- 전 세계 영화 매출 순위: 영화 매출 순위 목록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영화 진흥위원회 역대 관객 순위 (2008년까지 집계)”. 2010년 2월 2일.
- ↑ “영화 진흥위원회 기간별 박스오피스”. 2010년 2월 2일.
- ↑ 가 나 다 “당당한 퇴장 ‘괴물’이 남긴 의미”. 세계일보. 2006년 11월 15일. 2007년 9월 3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2월 31일에 확인함.
- ↑ 가 나 배급사 집계 기준 13,020,393명
- ↑ 가 나 다 “‘韓최다관객’ 도둑들 대종상 작품상-주연상 후보 탈락”. 뉴스엔. 2012년 10월 17일.
- ↑ “왕의 남자 1,230만 112일간 최종스코어 역대 흥행 기록 수립”. 뉴스엔. 2006년 4월 19일.
- ↑ 배장수, 3월 개봉작, 흥행에 울고 수상에 웃고, 스포츠경향, 2009년 4월 2일
- ↑ 영화진흥위원회 공식통계 서울시 관객수는 2,678,846명, 전국 관객수는 집계되지 않았음
- ↑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신문. 1965년 4월 15일.
- ↑ 가 나 다 라 마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신문. 1978년 2월 16일.
- ↑ 가 나 “네이버디지털뉴스”. 동아 일보. 1974년 4월 24일.
- ↑ 가 나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신문. 1974년 4월 24일.
- ↑ 가 나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신문. 1977년 9월 24일.
- ↑ 가 나 “네이버디지털뉴스”. 동아일보. 1977년 9월 26일.
- ↑ 가 나 다 “邦畵史上 최대 흥행”. 경향신문. 1990년 11월 2일.
- ↑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신문. 1979년 9월 29일.
- ↑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신문. 1985년 11월 15일.
- ↑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신문. 1980년 10월 14일.
- ↑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신문. 1991년 7월 4일.
- ↑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신문. 1980년 2월 1일.
- ↑ 가 나 “네이버디지털 뉴스”. 경향 신문. 1985년 2월 27일.
- ↑ 가 나 “네이버디지털 뉴스”. 동아일보. 1985년 10월 14일.
- ↑ 가 나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신문. 1985년 12월 26일.
- ↑ 가 나 이승구. “1986년 한국영화계총관” (HWP). 영화진흥위원회. 2012년 1월 29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가 나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 신문. 1985년 8월 5일.
- ↑ 가 나 “네이버디지털뉴스”. 동아일보. 1985년 7월 30일.
- ↑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신문. 1985년 5월 30일.
- ↑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 신문. 1985년 7월 18일.
- ↑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신문. 1985년 11월 11일.
- ↑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신문. 1986년 5월 24일.
- ↑ “네이버디지털뉴스”. 경향신문. 1989년 2월 4일.
- ↑ “外畵(외화)능가한"한국적 액션"인기 적중”. 매일경제. 1990년 11월 4일.
- ↑ “「장군의 아들」관객 60萬(만)육박”. 동아일보. 1990년 10월 28일.
- ↑ 차우진 (2007년 10월 4일). “(FOCUS) <시네마 천국>│TV와 영화, 만나고 사랑하고 이야기하고”. 매거진t.
- ↑ “외화최고기록은 해리포터?타이타닉?”. 한국일보. 2002년 1월 23일.
- ↑ 가 나 “<왕의 남자> 흥행의 ‘왕’으로 등극”. 프로메테우스. 2006년 4월 20일. 2004년 10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0월 2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