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환역
성환역(Seonghwan station, 成歡驛)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환리에 있는 경부선의 철도역이다. 일부 무궁화호 열차와 모든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가 정차한다.
성환
(남서울대) | |
---|---|
역사 | |
역명판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천안관리역 |
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성환1로 237-5 |
좌표 | 북위 36° 54′ 56″ 동경 127° 7′ 40″ / 북위 36.91556° 동경 127.12778°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역 번호 | P166 (수도권 전철 1호선) |
등급 | 3급 |
승강장수 | 4면 6선 |
거리표 | |
경부선 | |
서울 기점 84.4 km[1] | |
| |
운행계통 | |
조선시대 교통로인 성환도(成歡道)의 중심역 명칭 성환역(成歡驛)과 동일한 명칭이다.
개요
편집부역명은 남서울대(南서울大)로, 인근에 남서울대학교가 위치한다. 전에는 완행열차였던 비둘기호·통일호만 정차하던 소규모 역이었으나, 지금은 무궁화호와 누리로가 정차하는 보통역이며, 2005년 1월 20일부터 수도권 전철이 연장 개통, 정차한다. 이 역의 북서쪽에서 분기하여 고가를 따라 북동쪽(학정리)으로 가는 단선 비전철화 철도가 있는데, 이는 군 전용선으로 여객영업과 무관하다.
역사
편집경부선이 최초 개통했을 때, 통감부 철도관리국은 성환역장을 임명할 때 보통역장보다 조금 더 높은 직위의 인사를 임명하고는 했는데, 이는 청일 전쟁 당시 일본군이 승전한 성환 전투의 격전지가 성환역 일대였기 때문이다.[2]
- 1905년 1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1992년 6월 10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1992년 12월 14일 : 군전용선 부설
- 2001년 6월 1일: 특정통일호 승차권 발매 중단, 장항선 전 통일호 열차 전산화
- 2003년 11월 6일 : 현재의 역사 신축
- 2005년 1월 20일 : 수도권 전철 운행 개시
- 2006년 9월 1일 : 부역명으로 '남서울대' 제정
- 2008년 12월 15일 : 장항선 (천안~신창간) 복선 전철화 개통으로 2009년 6월 1일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 개시
- 2010년 9월 1일 : 화물 취급 중지[3]
- 2017년(추정):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 2020년 3월 2일 : 호남선 누리로 운행 중지
열차 정보
편집이 역은 주중에 정차하는 무궁화호와 주말에 정차하는 무궁화호가 다르니 주의해야 한다.
주중
상행: 1426(광주발 용산행), 1512(여수엑스포발 용산행)
하행: 1311(서울발 대전행), 1313(서울발 대전행)
주말
상행: 1302(동대구발 서울행), 1316(대전발 서울행), 1426(광주발 용산행), 1512(여수엑스포발 용산행)
하행: 1401(용산발 목포행), 1421(용산발 광주행), 1301(서울발 동대구행)
역 구조
편집4면 6선의 승강장이다. 현재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는 2개이다.
승강장
편집↑평택 |
| 87 | 65 | | 43 | 21 | |
직산(1호선)↓/천안(경부선)↓ |
1·2 | 경부선 | ● 수도권 전철 1호선 | 두정 · 천안 · 아산 · 신창 방면 |
---|---|---|---|
3·4 | 무궁화호 | 대전 · 부산 · 목포 · 광주 · 여수엑스포 방면 | |
5·6 | 평택 · 수원 · 안양 · 영등포 · 용산 · 서울 방면 | ||
7·8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수원 · 구로 · 서울역 · 광운대 방면 |
부역명 입찰
편집2006년 6월에 부기역명 입찰에서 남서울대학교가 3년간 부기역명을 사용하는 조건으로 사용료를 3500만원을 지불하여 입찰하였다.[4]
승차량 변동
편집수도권 전철
편집노선 | 승차 인원 | 주 석 | |||||||||||||||||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경부선 | 3004 | 3430 | 3555 | 3893 | 4234 | 4512 | 4931 | 4918 | 5016 | 5732 | 5104 | 4938 | 4925 | 4841 | 4807 | 2807 | 3141 | 4332 | [5] |
일반열차
편집연도와 승하차 | 이용 인원[6] | |||||||
---|---|---|---|---|---|---|---|---|
KTX | 산천 | 새마을 | 무궁화 | 누리 | 청춘 | 총계 | ||
2013년 | 승차 | 미정차 | 37691 | 36718 | 미정차 | 74409 | ||
하차 | 34336 | 46333 | 80669 |
사진
편집승강장
편집-
2021년 11월
-
2024년 7월
-
스크린도어 (2024년 7월)
-
2024년 7월
-
2024년 7월
출구
편집-
계단 (2024년 7월)
주차장
편집-
주차장 (2024년 7월)
-
택시승강장 (2024년 7월)
출구 앞, 택시승강장과 주차장이 있다.
인접한 역
편집무궁화호 | ||
---|---|---|
평택 서울 방면 용산 방면 |
무궁화호 경부선 호남선·전라선 |
천안 부산 방면 광주·여수엑스포 방면 |
광역전철 (경부선) | ||
P165 평택 광운대 방면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완행 |
P167 직산 신창 방면 |
P165 평택 청량리 (지하) 방면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급행 A |
P168 두정 신창 방면 |
P165 평택 서울역 (지상) 방면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급행 B |
P168 두정 천안 방면 |
각주
편집- ↑ 연천 기점 152.3 km
- ↑ 이천열, 땅끝마을에서 한양까지 다시 걷는 옛길 (11) 천안 광덕~성환《서울신문》2007.12.3
- ↑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582호 화물취급역의 화물운송서비스 조정에 따른 철도거리표 개정 고시”. 2014년 3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전철역 이름을 잡아라" Archived 2014년 3월 3일 - 웨이백 머신《한국일보》2006.7.11
- ↑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2022년 1월 8일에 확인함.
- ↑ “보관된 사본”. 2014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4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