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주론 에서 생성 집합 (生成集合, 영어 : generating set , separating set )은 그 원소들의 쌍대곱 의 몫 대상 으로 모든 대상을 나타낼 수 있는, 범주 속의 대상 집합이다.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속의 대상들의 집합
G
{\displaystyle {\mathfrak {G}}}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생성 집합 이라고 한다.[ 1] :Definition 7.14
임의의 두 사상
f
,
g
:
X
→
Y
{\displaystyle f,g\colon X\to Y}
에 대하여, 만약
f
≠
g
{\displaystyle f\neq g}
라면,
f
∘
h
≠
g
∘
h
{\displaystyle f\circ h\neq g\circ h}
가 되는 대상
G
∈
G
{\displaystyle G\in {\mathfrak {G}}}
및 사상
h
:
G
→
X
{\displaystyle h\colon G\to X}
가 존재한다.
G
→
∃
h
X
⇉
f
g
Y
{\displaystyle G{\overset {\exists h}{\to }}X{\underset {g}{\overset {f}{\rightrightarrows }}}Y}
만약
C
{\displaystyle {\mathcal {C}}}
가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라면, 이는 다음 조건과 동치 이다.
다음과 같은 함자는 충실한 함자 이다.
∏
G
∈
G
hom
C
(
G
,
−
)
:
C
→
Set
{\displaystyle \prod _{G\in {\mathfrak {G}}}\hom _{\mathcal {C}}(G,-)\colon {\mathcal {C}}\to \operatorname {Set} }
∏
G
∈
G
hom
C
(
G
,
−
)
:
X
↦
∏
G
∈
G
hom
(
G
,
X
)
{\displaystyle \prod _{G\in {\mathfrak {G}}}\hom _{\mathcal {C}}(G,-)\colon X\mapsto \prod _{G\in {\mathfrak {G}}}\hom(G,X)}
∏
G
∈
G
hom
C
(
G
,
−
)
:
(
X
→
f
Y
)
↦
(
(
h
G
:
G
→
X
)
G
∈
G
↦
(
f
∘
h
G
:
G
→
Y
)
G
∈
G
)
{\displaystyle \prod _{G\in {\mathfrak {G}}}\hom _{\mathcal {C}}(G,-)\colon (X{\overset {f}{\to }}Y)\mapsto \left((h_{G}\colon G\to X)_{G\in {\mathfrak {G}}}\mapsto (f\circ h_{G}\colon G\to Y)_{G\in {\mathfrak {G}}}\right)}
만약
C
{\displaystyle {\mathcal {C}}}
가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이자 모든 집합 크기의 쌍대곱 을 가진다면, 이는 다음 조건과 동치 이다.
모든 대상
X
∈
G
{\displaystyle X\in {\mathcal {G}}}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사상이 전사 사상 이다.
π
=
∐
G
∈
G
,
h
∈
hom
C
(
G
,
X
)
h
{\displaystyle \pi =\coprod _{G\in {\mathfrak {G}},h\in \hom _{\mathcal {C}}(G,X)}h}
π
:
∐
G
∈
G
,
h
∈
hom
(
G
,
X
)
G
→
X
{\displaystyle \pi \colon \coprod _{G\in {\mathfrak {G}},h\in \hom(G,X)}G\to X}
다시 말해, 모든 대상은 생성 집합에 속하는 대상들의 쌍대곱 의 몫 대상 과 동형이다.
만약 생성 집합
G
=
{
G
}
{\displaystyle {\mathfrak {G}}=\{G\}}
가 한원소 집합 이라면,
G
{\displaystyle G}
를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생성 대상 (영어 : generating object , generator )이라고 한다.
위 개념을 모두 쌍대화하여 쌍대 생성 집합 (영어 : cogenerating set , coseparating set )과 쌍대 생성 대상 (영어 : cogenerating object , cogenerator , coseparator )을 정의할 수 있다. 범주
C
{\displaystyle {\mathcal {C}}}
속의 대상들의 집합
G
{\displaystyle {\mathfrak {G}}}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C
{\displaystyle {\mathcal {C}}}
의 쌍대 생성 집합 이라고 한다.[ 1] :Definition 7.16
임의의 두 사상
f
,
g
:
X
→
Y
{\displaystyle f,g\colon X\to Y}
에 대하여, 만약
f
≠
g
{\displaystyle f\neq g}
라면,
h
∘
f
≠
h
∘
g
{\displaystyle h\circ f\neq h\circ g}
가 되는 대상
G
∈
G
{\displaystyle G\in {\mathfrak {G}}}
및 사상
h
:
Y
→
G
{\displaystyle h\colon Y\to G}
가 존재한다.
X
⇉
f
g
Y
→
∃
h
G
{\displaystyle X{\underset {g}{\overset {f}{\rightrightarrows }}}Y{\overset {\exists h}{\to }}G}
만약
C
{\displaystyle {\mathcal {C}}}
가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라면, 이는 다음 조건과 동치 이다.
다음과 같은 함자는 충실한 함자 이다.
∏
G
∈
G
hom
C
(
−
,
G
)
:
C
op
→
Set
{\displaystyle \prod _{G\in {\mathfrak {G}}}\hom _{\mathcal {C}}(-,G)\colon {\mathcal {C}}^{\operatorname {op} }\to \operatorname {Set} }
∏
G
∈
G
hom
C
(
−
,
G
)
:
X
↦
∏
G
∈
G
hom
C
(
X
,
G
)
{\displaystyle \prod _{G\in {\mathfrak {G}}}\hom _{\mathcal {C}}(-,G)\colon X\mapsto \prod _{G\in {\mathfrak {G}}}\hom _{\mathcal {C}}(X,G)}
∏
G
∈
G
hom
C
(
−
,
G
)
:
(
X
→
f
Y
)
↦
(
(
h
G
:
Y
→
G
)
G
∈
G
↦
(
h
G
∘
f
:
X
→
G
)
G
∈
G
)
{\displaystyle \prod _{G\in {\mathfrak {G}}}\hom _{\mathcal {C}}(-,G)\colon (X{\overset {f}{\to }}Y)\mapsto \left((h_{G}\colon Y\to G)_{G\in {\mathfrak {G}}}\mapsto (h_{G}\circ f\colon X\to G)_{G\in {\mathfrak {G}}}\right)}
만약
C
{\displaystyle {\mathcal {C}}}
가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이자 모든 집합 크기의 곱 을 가진다면, 이는 다음 조건과 동치 이다.
모든 대상
X
∈
G
{\displaystyle X\in {\mathcal {G}}}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사상이 단사 사상 이다.
π
=
∏
G
∈
G
,
h
∈
hom
C
(
X
,
G
)
h
{\displaystyle \pi =\prod _{G\in {\mathfrak {G}},h\in \hom _{\mathcal {C}}(X,{\mathfrak {G}})}h}
π
:
X
→
∏
G
∈
G
,
h
∈
hom
(
X
,
G
)
G
{\displaystyle \pi \colon X\to \prod _{G\in {\mathfrak {G}},h\in \hom(X,G)}G}
다시 말해, 모든 대상은 쌍대 생성 집합에 속하는 대상들의 곱 의 부분 대상 과 동형이다.
대수 구조 다양체 의 범주
V
{\displaystyle {\mathcal {V}}}
는 항상 완비 범주 이자 쌍대 완비 범주 이다. 집합의 범주로 가는 망각 함자 및 그 오른쪽 수반 함자 인 자유 대상 함자
Forget
:
V
⇄
Set
:
Free
{\displaystyle \operatorname {Forget} \colon {\mathcal {V}}\rightleftarrows \operatorname {Set} \colon \operatorname {Free} }
를 생각하자. 이 경우, 한원소 집합 위의 자유 대상
Free
(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Free} (\{\bullet \})}
은 항상
V
{\displaystyle {\mathcal {V}}}
의 생성 대상을 이룬다. 한원소 집합 위의 자유 대상 의 쌍대곱 은 더 큰 집합 위의 자유 대상 이다. 즉, 모든 집합
S
{\displaystyle S}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
s
∈
S
Free
(
{
s
}
)
≅
Free
(
S
)
{\displaystyle \coprod _{s\in S}\operatorname {Free} (\{s\})\cong \operatorname {Free} (S)}
따라서,
Free
(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Free} (\{\bullet \})}
이 생성 대상이라는 것은
V
{\displaystyle {\mathcal {V}}}
에 속하는 모든 대수는 자유 대수 의 몫대수로 나타낼 수 있음을 뜻한다.
대수
A
{\displaystyle A}
를 이와 같이 자유 대수 의 몫대수로 나타내는 것을
A
{\displaystyle A}
의 표시 (영어 : presentation )라고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A
≅
⟨
S
|
(
t
1
=
t
2
)
(
t
1
,
t
2
)
∈∼
⟩
{\displaystyle A\cong \langle S|(t_{1}=t_{2})_{(t_{1},t_{2})\in \sim }\rangle }
여기서
S
{\displaystyle S}
는 집합 이다.
∼
{\displaystyle \sim }
은 전사 사상
Free
(
S
)
→
A
{\displaystyle \operatorname {Free} (S)\to A}
를 정의하는,
Free
(
S
)
{\displaystyle \operatorname {Free} (S)}
위의 합동 관계 이다. 즉,
S
{\displaystyle S}
의 원소와 대수 구조 다양체
V
{\displaystyle {\mathcal {V}}}
의 연산들로 적을 수 있는 두 항
t
1
,
t
2
∈
Free
(
S
)
{\displaystyle t_{1},t_{2}\in \operatorname {Free} (S)}
에 대한 등식
t
1
=
t
2
{\displaystyle t_{1}=t_{2}}
의 꼴로 적을 수 있다.
군의 표시 는 대수 구조의 표시의 특수한 경우다.
반면, 일반적으로 대수 구조 다양체 의 범주는 쌍대 생성 대상을 가지지 않을 수 있다.
집합
S
{\displaystyle S}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집합 과 함수의 범주
Set
{\displaystyle \operatorname {Set} }
의 생성 대상이다.
공집합 이 아니다.
집합
S
{\displaystyle S}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1] :Example 7.18(1)
집합 과 함수의 범주
Set
{\displaystyle \operatorname {Set} }
의 쌍대 생성 대상이다.
공집합 이나 한원소 집합 이 아니다.
위상 공간 과 연속 함수 의 범주
Top
{\displaystyle \operatorname {Top} }
는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 이며, 완비 범주 이며, 쌍대 완비 범주 이다. 이 범주에서 한원소 공간
{
∙
}
{\displaystyle \{\bullet \}}
은 생성 대상이다. 구체적으로, 한원소 공간들의 쌍대곱 은 이산 공간 이며, 임의의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X
{\displaystyle X}
위에 이산 위상 을 부여한 공간
Disc
(
Points
(
X
)
)
{\displaystyle \operatorname {Disc} (\operatorname {Points} (X))}
을 정의한다면, 수반 함자
Points
:
Top
⇄
Set
:
Disc
{\displaystyle \operatorname {Points} \colon \operatorname {Top} \rightleftarrows \operatorname {Set} \colon \operatorname {Disc} }
의 쌍대단위원
η
:
Disc
∘
Points
⇒
Id
Top
{\displaystyle \eta \colon \operatorname {Disc} \circ \operatorname {Points} \Rightarrow \operatorname {Id} _{\operatorname {Top} }}
은 연속 함수
η
X
:
Disc
(
Points
(
X
)
)
→
X
{\displaystyle \eta _{X}\colon \operatorname {Disc} (\operatorname {Points} (X))\to X}
를 정의하며, 이는 (전단사 함수 이므로) 전사 사상 이자 단사 사상 이다. 즉, 모든 위상 공간은 이산 공간 의 범주론적 몫 대상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1] :Example 7.18(4)
모든 환 은 1을 가지며, 모든 가군 은 1을 보존한다고 하자.
환
R
{\displaystyle R}
위의 왼쪽 가군 의 범주
R
Mod
{\displaystyle _{R}\operatorname {Mod} }
는 대수 구조 다양체 의 범주이므로, 한원소 집합 위의 자유 가군
R
R
{\displaystyle _{R}R}
는 그 생성 대상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R
R
{\displaystyle R_{R}}
는 오른쪽 가군 의 범주
Mod
R
{\displaystyle \operatorname {Mod} _{R}}
의 생성 대상을 이룬다.
환
R
{\displaystyle R}
위의 왼쪽 가군 의 범주
R
Mod
{\displaystyle _{R}\operatorname {Mod} }
는 또한 항상 쌍대 생성 대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환
R
{\displaystyle R}
의 모든 왼쪽 단순 가군 (=극대 왼쪽 아이디얼
R
M
{\displaystyle _{R}{\mathfrak {M}}}
에 대한
R
R
{\displaystyle _{R}R}
의 몫가군
R
/
M
{\displaystyle R/{\mathfrak {M}}}
)들의 (동형류의) 단사 껍질 들의 직합
⨁
R
M
E
(
R
R
/
M
)
{\displaystyle \bigoplus _{_{R}{\mathfrak {M}}}{}E(_{R}R/{\mathfrak {M}})}
을
R
Mod
{\displaystyle _{R}\operatorname {Mod} }
의 표준 쌍대 생성 가군 (영어 : canonical cogenerator )이라고 하며, 이는
R
Mod
{\displaystyle _{R}\operatorname {Mod} }
의 쌍대 생성 대상을 이룬다.[ 2] :508, Theorem 19.10 특히, 모든 왼쪽 단순 가군들의 집합은 쌍대 생성 집합을 이룬다.
일반적으로, 자유 가군
R
R
{\displaystyle _{R}R}
는 쌍대 생성 대상이 아닐 수 있다. 환
R
{\displaystyle R}
에 대하여,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 이다.[ 2] :514, Theorem (19.25)
모든 충실한
R
{\displaystyle R}
-왼쪽 가군 은
R
Mod
{\displaystyle _{R}\operatorname {Mod} }
의 쌍대 생성 대상이다.
R
R
{\displaystyle _{R}R}
는 단사 가군 이며 유한 쌍대 생성 가군 이다.
R
R
{\displaystyle _{R}R}
는 단사 가군 이며,
R
{\displaystyle R}
의 모든 왼쪽 단순 가군 은 왼쪽 아이디얼 과 동형이다. (즉, 왼쪽 카슈 환(영어 : left Kasch ring )이다.)
R
R
{\displaystyle _{R}R}
는
R
Mod
{\displaystyle _{R}\operatorname {Mod} }
의 쌍대 생성 대상이며,
R
{\displaystyle R}
의 모든 오른쪽 단순 가군 은 오른쪽 아이디얼 과 동형이다. (즉,
R
{\displaystyle R}
는 오른쪽 카슈 환이다.)
R
R
{\displaystyle _{R}R}
는
R
Mod
{\displaystyle _{R}\operatorname {Mod} }
의 쌍대 생성 대상이며, 오른쪽 단순 가군 의 동형류 의 수는 유한하다.
이 조건을 만족시키는 환을 왼쪽 유사 프로베니우스 환 (영어 : left pseudo-Frobenius ring )이라고 한다.
아벨 군 의 개념은 정수환
Z
{\displaystyle \mathbb {Z} }
위의 가군과 같다. 이 경우 단순 가군 은 소수 크기의 순환군
Z
/
p
{\displaystyle \mathbb {Z} /p}
이며, 그 단사 껍질 은 프뤼퍼 군
Z
(
p
∞
)
{\displaystyle \mathbb {Z} (p^{\infty })}
이다. 따라서 표준 쌍대 생성 가군은 모든 프뤼퍼 군들의 직합 인 나눗셈군
Q
/
Z
=
⨁
p
Z
(
p
∞
)
{\displaystyle \mathbb {Q} /\mathbb {Z} =\bigoplus _{p}\mathbb {Z} (p^{\infty })}
이다.[ 2] :509, Example (19.11)(1) 즉, 모든 아벨 군
G
{\displaystyle G}
는 직접곱
∏
|
G
|
(
Q
/
Z
)
{\displaystyle \prod _{|G|}(\mathbb {Q} /\mathbb {Z} )}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데데킨트 정역
D
{\displaystyle D}
에 대하여, 표준 쌍대 생성 가군은 분수체 의 몫가군
(
Frac
D
)
/
D
{\displaystyle (\operatorname {Frac} D)/D}
이다.[ 2] :509, Example (19.11)(1)
범주
Set
×
Set
{\displaystyle \operatorname {Set} \times \operatorname {Set} }
는 생성 대상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
(
{
∙
}
,
∅
)
,
(
∅
,
{
∙
}
)
}
{\displaystyle \left\{(\{\bullet \},\varnothing ),(\varnothing ,\{\bullet \})\right\}}
는
Set
×
Set
{\displaystyle \operatorname {Set} \times \operatorname {Set} }
생성 집합을 이룬다.[ 1] :Example 7.15(3)
다음 범주들은 쌍대 생성 집합을 갖지 않는다.[ 1] :Example 7.18(8)
군의 범주
Grp
{\displaystyle \operatorname {Grp} }
. (단순군 의 크기 는 상한을 갖지 않는다.)
환 의 범주
Ring
{\displaystyle \operatorname {Ring} }
. (단순환 , 특히 체 의 크기 는 상한을 갖지 않는다.)
하우스도르프 공간 의 범주
HausTop
{\displaystyle \operatorname {HausTo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