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론물리학추상대수학에서 융합 규칙(融合規則, 영어: fusion rule 퓨전룰[*])은 2차원 등각 장론에 대응되는 특별한 대수 구조이다.[1][2][3] 융합 규칙은 1차장 사이의 연산자 곱 전개에 어떤 1차장이 등장하는지를 기록하며, 그 계수는 모듈러 S변환과 페를린더 공식(영어: Verlinde formula)이라는 공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융합 규칙에는 항상 자연스럽게 융합환(融合環, 영어: fusion ring 퓨전링[*]) 또는 페를린더 대수(Verlinde代數, 영어: Verlinde algebra)라는 가환환이 대응된다.

정의 편집

유한 집합  대합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로 생성되는 자유 가환 모노이드

 

를 생각할 수 있다. 그 원소는  의 원소들로 구성된 중복집합으로 생각할 수 있다.

  위의 융합 규칙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함수

 

이다.

  • (규격화)  
  • (대합에 대한 대칭)  
  • (융합)  
  • (부호)  
  • (비퇴화성)  

성질 편집

항등원과 3점 계수 편집

임의의 융합 규칙  가 주어졌을 때, 어떤 원소  에 대하여

 
 

이게 된다. 이를 융합 규칙의 항등원(영어: identity element)이라고 하며, 보통 단순히  로 표기한다. (이는 2차원 등각 장론에서 항등 연산자에 해당한다.)

증명:

공리로부터,

 

이다.  이므로, 이는 어떤  인 경우  이며 다른 나머지  에 대하여  임을 의미한다. 그런데 공리에 의하여   가 존재하여야 하므로, 이는  일 수 밖에 없으며,  이다.  이므로  이다.

이는 다음과 같이 항등원을 이룬다.

 

증명:

공리로부터,

 

이다.

또한, 항상 다음이 성립한다.

 

증명:

공리로부터,

 

이다.  를 만족시키는 정수  는 0 및 1 밖에 없다. 이 경우  이므로

 

이며, 따라서

 

이다.

만약  이라면, 임의의  에 대하여

 

인데, 이는 공리에 의하여 불가능하다. 따라서 항상  이다.

사실, 융합 규칙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만 완전히 결정된다.

  • 항등원  
  • 3점 계수  

증명:

2점 이하의 계수는  로 완전히 결정된다. 또한,

 

이므로,  점의 계수는 3점 계수와  점 계수로 결정된다. 물론, 3점 계수  에서 만약   가운데 하나가  에 속한다면 그 값은 자명하다.

보통 3점 계수는

 

로 표기한다. 대칭에 의하여

 
 

가 된다. ( 크로네커 델타이다.) 즉, 융합 규칙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

 s

만약  를 행렬  로 표기한다면, 이는 다음과 같다.

 

즉, 이 조건은 융합 행렬들이 서로 교환 법칙을 따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1]:(2.131) 따라서, 복소수 계수에서 이들을 동시에 대각화하는 기저를 찾을 수 있다. 페를린더 공식에 따라서, 이 기저는 모듈러 변환의 S행렬에 의하여 주어진다.

고차 종수 융합 규칙 편집

융합 규칙  자연수  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수들을 재귀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들은 2차원 등각 장론에서, 종수  콤팩트 리만 곡면 위에 정의된 상관 함수에 대응된다. 그렇다면, 이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따른다.[2]:Remark 5.10

 

융합환 편집

융합 규칙  이 주어졌을 때,  로 생성되는 자유 아벨 군   위에 다음과 같은  -쌍선형 곱셈 연산을 줄 수 있다.

 

이는 항등원  을 갖는 가환환을 이루며, 융합환이라고 한다.

특히, 융합환  가환환으로서의 항등원은 0개의 원소의 곱이므로,

 

이다. 즉, 융합환의 항등원은 융합 규칙의 항등원과 같다. 물론 1개의 원소의 곱은

 

이므로 이 정의는 일관적이다. 이 정의가 결합 법칙을 따르는 이항 연산을 정의하는 것은 융합 규칙의 융합 공리에서 비롯된다.

융합환   위에는 항상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덧셈 군 준동형

 

이 존재한다.[2]:Proposition 5.3

 

따라서   -가군동형 사상

 
 

을 정의한다. 따라서, 모든 융합환은 고런스틴 환이다. 이 가군 동형에서, 대각합

 
 

에 대응되는  의 원소는 카시미르 원소

 

이다.

등각 장론의 융합환 편집

2차원 등각 장론 가운데 최소 모형이 주어졌다고 하자. 이 경우,  를 1차장의 집합으로 놓고,  항등 함수로 놓고,

 

로 놓자. (여기서  는 등각 장론의 3점 상관 함수의 계수이다.) 그렇다면, 이는 융합 규칙을 정의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비라소로 대수 대신 초대칭 비라소로 대수아핀 리 대수(베스-추미노-위튼 모형)에 대한, 유한 개의 1차장을 갖는 2차원 등각 장론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융합환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대합  이 자명하지 않을 수 있다.

페를린더 공식 편집

유한 개의 1차장을 갖는 2차원 등각 장론에서, 최고 무게 표현들의 지표가

 

라고 하자. 그렇다면, 원환면 위에서의 모듈러 불변성

 

에 의하여

 

가 되는 행렬

 

이 존재한다. (보다 일반적으로,   위에는  표현이 존재한다.)  는 항상 유니터리 행렬이며, 대칭 행렬이며 (※에르미트 행렬이 아니다),  이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페를린더 공식(영어: Verlinde formula)이 성립한다.[1]:143, (4.55)

 

여기서  는 성분별 복소켤레이다 (즉,  ).

편집

이징 모형 편집

임계 2차원 이징 모형에 해당하는 최소 모형  을 생각하자. 이 경우, 세 개의 일차장이 존재하며, 다음과 같다.

기호 설명 비라소로 대수 표현  
1 진공 (0,0)
  스핀 밀도 (1/16,1/16)
  에너지 밀도 (½,½)

이에 대응되는 융합 규칙은 다음과 같다.[1]:80, §2.11

 
 
 
 
 
 
 
 

이 경우, 페를린더 대수는 3차원이며, 다음과 같다.

 

즉, 곱셈이 다음과 같다.

· 1 σ ε
1 1 σ ε
σ σ 1+ε σ
ε ε σ 1

베스-추미노-위튼 모형 편집

다음이 주어졌다고 하자.

  • 복소수 단순 리 대수  
  •  카르탕 부분 대수  
    • 따라서, 근계  를 정의할 수 있다.
  • 근계   위의 순서. 이에 따라서 최고(最高) 근  을 고를 수 있다.
  • 양의 정수  

이제,  우세 무게   가운데  인 것들의 집합을  라고 하자. 이들은 아핀 리 대수  의 준위  의 표현들과 일대일로 대응한다.  에 대응하는  -표현을  라고 표기하자.

이제,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 콤팩트 연결 리만 곡면  
  •  유한 부분 집합  
  • 함수  

그렇다면,  의 표현

 

을 생각하자. 또한,  정칙 함수복소수 리 대수  는 이 표현 위에 표준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복소수 벡터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2]

 

여기서   의,  -작용에 대한 쌍대불변량의 공간, 즉  에 불변인,  의 가장 큰 몫 벡터 공간이다.

아핀 리 대수  의 표현을 갖는 2차원 등각 장론베스-추미노-위튼 모형을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소수 벡터 공간  는 각 점   에 해당하는 일차장을 삽입한 경우의 등각 블록이다.

두 유한 집합  ,   및 전단사 함수  가 주어졌을 때, 표준적인 벡터 공간 동형 사상

 

이 주어진다. 즉, 등각 블록의 차원은 선택한 점들의 수 및 대응되는 표현에만 의존하고, 점의 위치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 경우, 다음과 같은 융합 규칙을 생각하자.[2]:Example 5.2a

 

즉, 이는 리만 구 위의 등각 블록의 차원이다. 이는 베스-추미노-위튼 모형에 대응되는 융합 규칙이다.

역사 편집

 
에릭 페를린더 (2009년 사진)

에릭 페를린더(네덜란드어: Erik Verlinde, 1962〜)가 1988년에 2차원 등각 장론을 연구하기 위하여 도입하였다.[4]

참고 문헌 편집

  1. Blumenhagen, Ralph; Erik Plauschinn (2009). 《Introduction to conformal field theory with applications to string theory》 (영어). Berlin, Heidelberg: Springer-Verlag. Bibcode:2009LNP...779.....B. doi:10.1007/978-3-642-00450-6. ISBN 978-3-642-00449-0. MR 2848105. 
  2. Beauville, Arnaud (1996). 〈Conformal blocks, fusion rules and the Verlinde formula〉. Teicher, Mina. 《Proceedings of the Hirzebruch 65 Conference on Algebraic Geometry: May 2–7, 1993》. Israel Mathematics Conference Proceedings (영어) 9. אוניברסיטת בר-אילן‬. 75–96쪽. arXiv:alg-geom/9405001. Bibcode:1994alg.geom..5001B. 
  3. Fuchs, Jürgen (1994). “Fusion rules in conformal field theory”. 《Fortschrifte der Physik》 (영어) 42: 1–48. arXiv:hep-th/9306162. Bibcode:1994ForPh..42....1F. doi:10.1002/prop.2190420102. 
  4. Verlinde, Erik (1988). “Fusion rules and modular transformations in 2D conformal field theory”. 《Nuclear Physics B》 (영어) 300 (3): 360–376. doi:10.1016/0550-3213(88)90603-7.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