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원군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충렬왕 이후 조선시대까지 사용한 작호(爵號)이다. 조선시대에는 왕비의 아버지, 즉 왕의 장인인 국구(國舅)나 정일품 공신에게 주던 작위이다. 왕의 장인인 국구(國舅)는 후작(侯爵)에 해당되고, 정일품 공신은 백작(伯爵)에 해당되는 위격으로 작위 수여자의 본관을 따서 짓기도 한다.
조선의 부원군
편집국구
편집후에 작위가 추탈된 사람은 취소선으로 표기함
- 이공숙 - 추존왕 목조의 왕비 효공왕후의 아버지
- 최기열 - 추존왕 익조의 왕비 정숙왕후의 아버지
- 안변부원군 박광 - 추존왕 도조의 왕비 경순왕후의 아버지
- 영흥부원군 최한기 - 추존왕 환조의 왕비 의혜왕후의 아버지
- 안천부원군 한경 - 1대 태조의 정비 신의왕후의 아버지
- 상산부원군 강윤성 - 1대 태조의 계비 신덕왕후의 아버지
- 월성부원군 김천서 - 2대 정종의 정비 정안왕후의 아버지
- 여흥부원군 민제 - 3대 태종의 정비 원경왕후의 아버지
- 청천부원군 심온 - 4대 세종의 정비 소헌왕후의 아버지
- 화산부원군 권전 - 5대 문종의 정비 현덕왕후의 아버지
- 여량부원군 송현수 - 6대 단종의 정비 정순왕후의 아버지
- 파평부원군 윤번 - 7대 세조의 정비 정희왕후의 아버지
- 서원부원군 한확 - 추존왕 덕종의 정비 소혜왕후의 아버지
- 상당부원군 한명회 - 8대 예종의 정비 장순왕후의 아버지이자 9대 성종의 정비 공혜왕후의 아버지
- 청천부원군 한백륜 - 8대 예종의 계비 안순왕후의 아버지
함안부원군 윤기견- 9대 성종의 1계비 폐비 윤씨의 아버지- 영원부원군 윤호 - 9대 성종의 2계비 정현왕후의 아버지
거창부원군 신승선- 10대 연산군의 정비 폐비 신씨의 아버지- 익창부원군 신수근 - 11대 중종의 정비 단경왕후의 아버지
- 파원부원군 윤여필 - 11대 중종의 1계비 장경왕후의 아버지
- 파산부원군 윤지임 - 11대 중종의 2계비 문정왕후의 아버지
- 금성부원군 박용 - 12대 인종의 정비 인성왕후의 아버지
- 청릉부원군 심강 - 13대 명종의 정비 인순왕후의 아버지
- 반성부원군 박응순 - 14대 선조의 정비 의인왕후의 아버지
- 연흥부원군 김제남 - 14대 선조의 계비 인목왕후의 아버지
해령부원군 김희철- 14대 선조의 후궁 공빈 김씨의 아버지. 광해군의 외조부여서 추증되었다가 인조반정으로 인해 작위 추탈.문양부원군 류자신- 15대 광해군의 정비 폐비 류씨의 아버지- 능안부원군 구사맹 - 추존왕 원종의 추존왕비 인헌왕후의 아버지
- 서평부원군 한준겸 - 16대 인조의 정비 인열왕후의 아버지
- 한원부원군 조창원 - 16대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의 아버지
- 신풍부원군 장유 - 17대 효종의 정비 인선왕후의 아버지
- 청풍부원군 김우명 - 18대 현종의 정비 명성왕후의 아버지
- 광성부원군 김만기 - 19대 숙종의 정비 인경왕후의 아버지
- 여양부원군 민유중 - 19대 숙종의 1계비 인현왕후의 아버지
옥산부원군 장형- 19대 숙종의 후궁 희빈 장씨의 아버지. 장씨가 왕비가 되면서 부원군이 되었으나, 장씨가 빈으로 강등되면서 작호 추탈- 경은부원군 김주신 - 19대 숙종의 2계비 인원왕후의 아버지
- 청은부원군 심호 - 20대 경종의 정비 단의왕후의 아버지
- 함원부원군 어유구 - 20대 경종의 계비 선의왕후의 아버지
- 달성부원군 서종제 - 21대 영조의 정비 정성왕후의 아버지
- 오흥부원군 김한구 - 21대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의 아버지
- 풍릉부원군 조문명 - 추존왕 진종의 추존왕비 효순왕후의 아버지
- 영풍부원군 홍봉한 - 추존왕 장조의 추존왕비 헌경왕후의 아버지
- 청원부원군 김시묵 - 22대 정조의 정비 효의왕후의 아버지
- 영안부원군 김조순 - 23대 순조의 정비 순원왕후의 아버지
- 풍은부원군 조만영 - 추존왕 문조의 추존왕비 신정왕후의 아버지
- 영흥부원군 김조근 - 24대 헌종의 정비 효현왕후의 아버지
- 익풍부원군 홍재룡 - 24대 헌종의 계비 효정왕후의 아버지
- 영은부원군 김문근 - 25대 철종의 정비 철인왕후의 아버지
- 여성부원군 민치록 - 26대 고종의 정비 명성황후의 아버지
- 여은부원군 민태호 - 27대 순종의 정후 순명효황후의 아버지
- 해풍부원군 윤택영 - 27대 순종의 계후 순정효황후의 아버지
공신
편집- 충원부원군 - 지용기(고려말의 명장 문하찬성사, 판삼사사를 지내고 충의군에 봉작됨)
- 견성부원군 - 이사철(당시 우의정, 좌익공신 2등)
- 경림부원군 - 김명원(당시 우의정, 평난공신 3등)
- 고령부원군 - 신숙주(당시 1품관, 정난공신 2등)
- 고양부원군 - 신준(당시 좌참찬, 정국공신 3등)
- 곡산부원군 - 연사종(당시 판중군도총제부사, 개국원종공신 등)
- 광릉부원군 - 이극배(우의정, 좌익공신 3등)
- 광창부원군 - 이이첨(선무원종공신 등, 인목왕후 폐모)
- 광천부원군 - 이극증(익대공신 2등)
- 금천부원군 - 박은(좌명공신 3등, 반남군)
- 낙흥부원군 - 김자점(당시 좌의정, 정사공신 1등)
- 남양부원군 - 홍달손
- 남원부원군 - 황수신(좌익공신 3등. 관직은 영의정에 이르렀다.)
- 능성부원군 - 구치관(좌익공신 3등. 관직은 영의정에 이르렀다.)
- 덕풍부원군 - 이순신 추봉(선무공신 1등, 좌의정 추증)
- 철성부원군 - 박혁충(이조전서,한림원시강,태자첨사,공신)
- 동래부원군 - 정난종(이시애의 난 평정)
- 무령부원군 - 류자광(정국공신 1등)
- 무성부원군 - 윤형(광국공신 2등)
- 봉원부원군 - 정창손(좌익공신 2등, 익대공신 3등. 영의정 역임.)
- 상락부원군 - 김사형(당시 좌정승, 개국공신 1등)
- 상락부원군 - 김질(영의정 역임. 좌익공신 3등, 좌리공신 2등)
- 서성부원군 - 한확(당시 우의정, 정난공신 1등)
- 서원부원군 - 한계미(이조판서 역임. 좌익공신 3등, 좌리공신 2등)
- 서원부원군 - 정탁(당시 좌의정, 호종공신 3등)
- 선성부원군 - 노사신(익대공신 3등, 좌리공신 2등)
- 안성부원군 - 이숙번(좌명공신 1등)
- 연성부원군 - 박원형(이시애 난,우의정,좌의정,영의정. 좌익공신 3등)
- 연창부원군 - 김감(정국공신 2등)
- 영가부원군 - 권율 추봉(선무공신 1등, 영의정 추증)
- 영산부원군 - 김수온(좌리공신 4등,대광보국숭록대부 호조판서, 영중추부사)
- 완풍부원군 - 이서 추봉(정사공신 1등, 영의정 추증)
- 인산부원군 - 홍윤성(영의정 역임. 정난공신 2등, 좌익공신 3등, 좌리공신 1등.)
- 장흥부원군 - 마천목(내시위절제사.병마절도사.병조판서.영돈령부사 역임.영의정추증.좌명공신 3등)
- 장흥부원군 - 류순정(정국공신 1등)
- 진산부원군 - 하륜(영의정 역임.정사공신 1등, 좌명공신 1등)
- 진산부원군 - 강맹경(좌익공신 2등)
- 진원부원군 - 류근(호성공신 3등)
- 창녕부원군 - 조석문(영의정 역임. 좌익공신 3등, 적개공신 1등, 익대공신 3등, 좌리공신 1등)
- 청성부원군 - 한치형(영의정 역임. 좌리공신 3등)
- 청송부원군 - 심회 (영의정 역임, 익대공신 2등, 좌리공신 2등)
- 청천부원군 - 심연원 (영의정 역임, 위사공신 2등)
- 청천부원군 - 류순정 (영의정 역임. 정국공신 1등)
- 파평부원군 - 윤필상
- 평성부원군 - 신경진(영의정 역임. 정사공신 1등)
- 평양부원군 - 박석명(좌명공신 3등)
- 풍원부원군 - 류성룡(광국공신 2등, 호성공신 2등, 영의정 역임.)
- 하동부원군 - 정인지(당시 좌의정, 정난공신 1등)
- 하성부원군 - 정현조(익대공신 2등, 좌리공신 1등)
- 한산부원군 - 조영무(당시 우정승, 정사공신 1등 등)
- 한천부원군 - 조온(당시 참찬의정부사, 좌명공신 4등)
- 한평부원군 - 조연(당시 판좌군부사, 좌명공신 4등. 조선 태조의 생질.우의정 역임.)
- 해은부원군 - 오명항(분무공신 1등)
- 해원부원군 - 윤두수(광국공신 2등)
- 해평부원군 - 윤근수(광국공신 1등)
- 화천부원군 - 심정 (좌의정 역임, 정국공신 3등)
- 흥녕부원군 - 안경공(당시 집현전대제학, 개국공신 3등)
기타
편집- 상당부원군 - 이애(태조의 딸 경신공주의 남편)
- 용원부원군 - 조인벽(태조의 누이 정화공주의 남편)
- 홍양부원군 - 석양선 추봉(태조의 이모부)
- 길창부원군 - 권남
- 능천부원군 - 구수영
- 덕평부원군 - 기자헌
- 문창부원군 - 류희분
- 봉녕부원군 - 이복근
- 밀창부원군 - 박승종
- 서녕부원군 - 정인홍
- 서원부원군 - 이거이
- 서원부원군 - 한상경
- 성산부원군 - 배극렴
- 성산부원군 - 이직
- 승평부원군 - 김류
- 아성부원군 - 이산해
- 양평부원군 - 허준
- 연릉부원군 - 이호민
- 연성부원군 - 이석형
- 연양부원군 - 이시백
- 연원부원군 - 이광정
- 연평부원군 - 이귀
- 영가부원군 - 김수동
- 영성부원군 - 최항
- 영천부원군 - 윤사로
- 영평부원군 - 최흥원
- 예천부원군 - 권중화
- 원평부원군 - 원두표
- 오성부원군 - 이항복
- 옥성부원군 - 장만
- 완남부원군 - 이후원
- 완산부원군 - 이천우
- 완성부원군 - 최명길
- 완원부원군 - 이양우
- 완평부원군 - 이원익
- 옥천부원군 - 유창
- 운성부원군 - 박종우
- 의령부원군 - 남재
- 익평부원군 - 이석근
- 인성부원군 - 정철
- 창산부원군 - 성희안
- 창녕부원군 - 성석린
- 철성부원군 - 이원
- 청성부원군 - 심덕부 (위화도 회군공신 1등, 영삼사사, 문하부 좌정승 역임)
- 청성부원군 - 정탁
- 청성부원군 - 김석주
- 청원부원군 - 심기원 (정사공신 1등, 좌의정 역임)
- 청평부원군 - 이백강
- 청풍부원군 - 김육
- 칠원부원군 - 윤자당
- 파천부원군 - 윤사흔
- 평성부원군 - 박원종
- 평양부원군 - 조준
- 평양부원군 - 김승주
- 평양부원군 - 조대림
- 풍성부원군 - 이기
- 풍원부원군 - 조현명
- 하동부원군 - 정인지
- 한성부원군 - 이계전
- 함종부원군 - 어세겸
- 해원부원군 - 윤두수
- 해평부원군 - 정미수
- 화산부원군 - 장사길
사후 추봉
편집- 남원부원군 - 황희 추봉(아들 황수신의 공에 의함)
- 내산부원군 - 정사 추봉
- 전성부원군 - 이준 추봉(영의정 추증)
- 달천부원군 - 서미성 추봉
- 완산부원군 - 추수경 추봉
- 평원부원군 - 원준량 추봉
- 풍산부원군 - 심응 진봉 (아들 심정이 공신에 책록되어 영의정에 추증되고 부원군으로 진봉됨)
- 풍산부원군 - 류중영 추봉(아들 류성룡의 봉군에 의함, 영의정 추증)
- 청계부원군 - 심우승 추봉 (호성공신 2등에 책록되어 영의정에 추증되고 부원군에 추봉됨)
- 청릉부원군 - 김좌명 추봉(영의정 추증)
- 청천부원군 - 심엄 추봉 (아들 심명세가 정사공신 1등에 책록되어 영의정에 추증되고 부원군에 추봉됨)
- 청파부원군 - 심전 추봉 (아들 심우승이 공신에 책록되어 영의정에 추증되고 부원군에 추봉됨)
- 연성부원군 - 이정화 추봉(아들 이귀의 공에 의함, 영의정 추증)
- 완령부원군 - 이경록 추봉(아들 이서의 봉군에 의함)
- 월천부원군 - 이정암 추봉(선무공신 2등으로 좌의정 추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