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국제공항

대한민국의 국제공항
(김포공항에서 넘어옴)

서울김포공항(金浦國際空港, 영어: Seoul Gimpo AiIrport, IATA: GMPICAO: RKSS)서울특별시 강서구[1]에 있는 공항이다.[2]

서울김포공항
金浦國際空港
Seoul Gimpo AiIrport


국내선 터미널 전경 (리모델링 전)


서울김포공항 국제선의 내부

IATA: GMP - ICAO: RKSS
WMO: 47110
개요
공항종별 민간·정부 공용
시간기준 UTC+09:00
운영시간 06:00 ~ 23:00 (커퓨 타임 적용)
소유기관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운영기관 한국공항공사
지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위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38 (방화동) (국제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112 (공항동) (국내선)
거점 항공사
건립시기 1939년
사용시기 1958년 1월 ~ 현재
해발고도 18 m / 58 ft
좌표

북위 37° 33′ 29″ 동경 126° 47′ 26″ / 북위 37.55806° 동경 126.79056°  / 37.55806; 126.79056

웹사이트 김포국제공항
지도
GMP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GMP
GMP
GMP(대한민국)
서울김포공항 위치
활주로
방향 면적(m*m) ILS 표면
길이
14L/32R 3,600 45 CAT-I 아스팔트
14R/32L 3,200 60 CAT-I
(14R은 CAT-IIIb)
아스팔트
통계(2022)
이용 여객 24,524,065명
운항 횟수 143,713회
처리 화물¹ 61,898t
출처: 한국공항공사 - 공항별 통계

¹: 수하물은 제외한다.

역사 편집

서울김포공항은 1986년 아시안 게임, 1988년 하계 올림픽, 2018년 동계 올림픽, 2024년 동계 청소년 올림픽을 앞두고 1983년 10월부터 4년여간의 공사 끝에 제2활주로와 국제선 2터미널을 새로 짓고 기존 활주로를 3,600m로 400m를 연장하는 등 부지를 대폭 확장하였다.[3]

그러나 이 공항은 기본적으로 서울에 있는 내륙공항으로서, 인근의 인구 밀집 주거 지역으로 인해 추가 확장이 사실상 불가능하고 24시간 운영에 한계가 있었던 상황에서 비약적으로 증가하는 국제선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영종도용유도 사이의 바다를 메워서 2001년 3월 29일 인천국제공항이 건설되었다.

그리고 인천국제공항 개항 직후 김포공항은 국제선을 전부 인천국제공항에 넘기고 국내선만 취항하였으나 운항 가능 용량에 비하여 취항수가 지나치게 적은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에 서울김포공항의 운영 기관인 한국공항공사건설교통부와 협의하여 2003년 11월 30일도쿄 하네다 국제공항과의 셔틀형 국제선을 취항시키면서 국제선 기능이 다시 부활했으며 2007년중국 상하이 훙차오 국제공항, 2008년일본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 2011년에 중국 베이징 수도 국제공항 등에 취항하였다.

또한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제주항공, 진에어, 에어서울, 티웨이항공, 하이에어 등이 김포발 국내선을 운항하고 있고 대한항공, 상하이항공, 아시아나항공, 일본항공, 전일본공수, 중국국제항공,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중국남방항공, 중국동방항공, 티웨이항공 등이 김포발 국제선을 운항하고 있으며[4]

연혁 편집

1930년대 편집

  • 1939년: 일본군 김포비행장으로 시작.

1940년대 편집

  • 1949년: 한,미 간 김포비행장 운영협정

1950년대 편집

1960년대 편집

  • 1960년: 종합터미널(현 국내선 터미널자리) 준공.
  • 1960년: 미군 관할권 인수.

1970년대 편집

  • 1971년: 국내선 터미널 준공.
  • 1973년: 국제선 종합터미널(현 국내선 터미널자리) 확장 공사 준공.
  • 1974년: 활주로, 유도로, 계류장, 여객터미널, 주차장 등 공항시설 확장.

1980년대 편집

1990년대 편집

2000년대 편집

2010년대 편집

시설규모 편집

  • 여객터미널은 연간 3,473만명(국내선 3,043만명, 국제선 430만명)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다. 국내선 터미널과 국제선 터미널은 분리되어 있으며, 국내선 터미널에 9개,[9] 국제선 터미널에 6개[10]의 탑승교가 설치되어 있다.
  • 길이 3,600m×너비 45m의 활주로 1본과 길이 3,200m×너비 60m 활주로 1본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활주로의 연간 항공기 처리능력은 226,000회(시간당 41 회)이다.
  • 활주로 운영등급은 공항 북쪽에서 서쪽 활주로(14R)로 착륙할 때에는 CAT-IIIa등급으로 착륙가능 활주로 가시범위가 175m 이상이고, 나머지(14L/32R/32L)는 CAT-I 등급으로 착륙가능 활주로 가시범위가 550m 이상이다.
  • 119만 9,267m2 면적의 계류장에는 에어버스 A300-600R급 항공기 73대가 동시에 주기할 수 있다.

터미널 운용 편집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전 편집

  • 국제선 1터미널(현 국내선 터미널) : 1977년 10월에 착공하여 1980년 8월 11일 준공되었다. 여객터미널은 지하 1층, 지상 4층으로 연간 여객처리인원이 150만명에서 480만명으로 늘어났고, 화물처리능력도 연간 28만톤으로 늘었다. 계류장에는 항공기 40대 주기가 가능해졌다. 이후 이용객이 계속 늘어 거듭 증축하여 1999년 최종 확장시 면적은 79,411m2이었다. 1터미널은 외국항공사가 공동으로 사용하였는데, 2터미널의 여객집중 완화를 위하여 1999년 아시아나항공이 1터미널로 옮겼다. 2025년 옛 국내선 터미널 자리에 국내선 2터미널이 생기면 현 국내선 터미널을 국내선 1터미널로 명명할 예정이다.
  • 국제선 2터미널(현 국제선 터미널) : 서울올림픽을 대비하여 1988년 4월 20일 준공되었다. 면적 80,200m2의 2터미널이 신축되면서 국제선 여객처리 능력이 480만명에서 900만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2터미널와 함께 활주로 1본(3,200m)이 추가 건설되어 연간항공기 처리능력도 1.5배 향상되었다. 2터미널은 국적항공사(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가 사용하였는데, 1999년 7월 국제선 터미널 재배치 계획에 따라 2터미널에는 대한항공과 대한항공이 수속을 대행하는 항공사만 남았다.
  • 국내선 터미널 : 1971년 준공되었다. 국제선과 통합운영하다가 1980년 8월 11일 국제선터미널이 준공된 후에는 국내선 전용으로 운용하였다. 본래 지하 1층, 지상 2층이었는데, 1991년~1992년1996년~1998년의 2차례 증축을 통해 3층을 올리고, 44,600m2로 확장·운영하였다.[11]2025년 이곳에 국내선 2터미널이 생긴다.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후 편집

기존 국제선 1터미널은 2001년 11월 1일부터[출처 필요] 국내선 터미널로 운영되고 있고, 국제선 2터미널은 국제선 터미널로 유지되면서 여유 공간에 상업시설이 입점하였다. 인천 공항 개항 준비 시기였던 2001년 여름에는 김포국제공항의 스텝카들이 한번에 몰려나와 일반 도로를 달려서 인천 공항으로 이동하였고 김포국제공항에서 국제선 운항은 완전히 중단된다. 기존 국내선 터미널은 2003년 1월 23일부터 2014년 9월 30일까지[12] 이마트 공항점으로 사용되었다.

리모델링 (2013년 ~ 2018년) 편집

현 국내선 터미널은 완공된 지 40년이 넘어서 상당히 노후화되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2018년까지 총 2,5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탑승교 및 검색대 증설 ▲무빙워크 신설 ▲출발대합실 공간 확장 ▲건물통합에너지관리시스템 도입 등 김포공항을 재단장할 계획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여객터미널 체크인 카운터는 재배치해 수하물 처리시간을 15분에서 5분 내로 줄이고, 보안검색대는 기존 10개에서 14개로 증설되며, 단체여행객 대기공간 확보를 위해 출발대합실은 2220m2로 확장된다. 또, 출발여객과 도착여객의 편안한 보행을 위해 동선을 분리하고, 9대인 탑승교를 12대로 늘려 항공기 접현률을 100%로 끌어올릴 예정이다.[13]

한편, 김포공항 국제선 이용객은 2012년 연간 400만명 대에 진입해 국제선 여객터미널의 여객처리 능력(430만명)에 근접하였다. 이에 따라 공항공사는 임대계약이 만료되는 상업시설을 철수시키고 그 자리에 터미널 시설을 확충하여 국제선 여객처리 능력을 키울 계획이다.[14][15] 2018년 10월 17일 리모델링을 마치고 정식 개장하였다.

국내선 2터미널 (2019년 ~ 2025년) 편집

현 국내선 터미널은 포화상태가 되어 이를 확장하기 위해 2025년까지 총 4,932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교통센터(1만6000㎡) ▲주차장 확장 ▲ 국내선 2터미널 ▲공항주변 진입,출 도로 개선 ▲고속탈출 유도로 확보 ▲ 화물터미널,배후지원단지 조성 등 할 계획이다.[16]

운항 노선 편집

국제선 편집

항공사목적지
  에바 항공 타이베이(쑹산)
  중화항공 타이베이(쑹산)
  타이거 항공 타이완 가오슝
  이스타항공 타이베이(쑹산)[17]
  티웨이항공 타이베이(쑹산)
  대한항공 도쿄(하네다), 베이징(수도), 상하이(훙차오), 오사카(간사이)
  아시아나항공 도쿄(하네다), 베이징(수도), 상하이(훙차오), 오사카(간사이)
  제주항공 오사카(간사이)
  일본항공 도쿄(하네다)
  전일본공수 도쿄(하네다)
  상하이 항공 상하이(훙차오)
  중국국제항공 베이징(수도)
  중국남방항공 베이징(다싱)
  중국동방항공 상하이(훙차오)

국내선 편집

항공사목적지
  대한항공 부산, 울산, 제주
  아시아나항공 광주, 여수, 제주
  에어부산 부산, 울산, 제주
  에어서울 제주
  이스타항공 제주[18]
  제주항공 부산, 제주
  진에어 대구, 부산, 사천, 여수, 울산, 제주, 포항경주
  티웨이항공 부산, 제주

* 항공편이 지연되어 밤 11시 이후에 착륙하게 될 것이라고 관제탑에서 판단하는 경우, 항공기는 관제탑 지시에 따라 인천국제공항으로 우회하여 착륙한다.

관련 통계 편집

이용객 추이 편집

전체 편집

연도[19]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운항(편수) 228,629   210,011   212,423   233,243   154,164   128,428   126,343   105,923   94,787   94,943
여객 (명) 36,489,214   29,296,342   33,284,079   36,637,067   22,041,099   17,092,095   16,880,641   14,841,953   13,448,152   13,766,523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운항(편수)   100,124   108,015   115,895   118,514   126,115   130,269   134,623   138,706   142,863   146,266
여객 (명)   13,811,004   14,264,693   15,369,944   17,565,901   18,513,927   19,429,224   19,904,327   21,566,946   23,163,778   25,043,088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운항(편수)   145,507   141,080   140,422   113,580   138,855   143,713
여객 (명)   25,101,147   24,602,588   25,448,416   17,446,239   22,525,417   24,524,065

국내선 편집

연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운항(편수) 134,798   128,310   126,716   135,210   130,434   128,290   125,964   102,938   90,621   89,050
여객 (명) 21,270,859   16,289,494   17,810,085   18,738,579   17,743,235   17,082,195   16,830,966   14,227,212   12,503,204   12,346,887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운항(편수)   93,689   99,100   104,049   103,379   107,316   108,815   113,323   117,551   122,484   125,754
여객 (명)   12,140,242   12,295,246   12,874,092   14,405,026   14,835,075   15,334,647   15,943,136   17,483,670   19,134,276   20,801,363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운항(편수)   125,136   120,801   120,121   110,125   138,720   141,462
여객 (명)   21,068,467   20,312,292   21,176,127   16,902,376   22,510,527   24,148,389

국제선 편집

연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운항(편수) 93,831   81,701   85,707   98,033   23,730   138   379   2,985   4,166   5,893
여객 (명) 15,218,355   13,006,848   15,473,994   17,898,488   4,297,864   9,900   49,675   614,741   944,948   1,419,636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운항(편수)   6,435   8,915   11,846   15,135   18,799   21,454   21,300   21,155   20,379   20,512
여객 (명)   1,670,762   1,969,447   2,495,852   3,160,875   3,678,852   4,094,577   3,961,191   4,083,276   4,029,502   4,241,725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운항(편수)   20,371   20,279   20,301   3,455   135   2,251
여객 (명)   4,032,680   4,290,296   4,272,289   543,863   14,890   375,676

노선별 순위 편집

국내선 편집

국내선 노선 순위 (2017년)
순위 공항 여객(명) 운항(편수) 항공사
1 제주국제공항 17,026,002 91,147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2 김해국제공항 2,741,550 21,353 대한항공, 에어부산,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3 울산공항 515,066 4,922 대한항공, 에어부산
4 여수공항 356,372 3,205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5 광주공항 206,374 1,663 아시아나항공
6 사천공항 120,543 1,425 대한항공
7 포항공항 98,163 1,371 대한항공
  • 김포 - 제주 노선은 환승 승객을 제외한 여객 수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노선이다. 2016년 기준으로 국제선을 포함한 전체 김포공항 운항 편수의 63.3%가 제주 노선이고, 제주국제공항의 53.6%가 김포 노선이다. 2012년 5월에 영국이코노미스트세계 1위 구간(2011년 여객 수 기준)으로 선정했으며, 2013년에는 세계 여행산업 관련 IT업체인 아마데우스도 세계 1위 구간(2012년 환승 승객 제외한 여객 수 기준)으로 선정하였다.[21]

국제선 편집

국제선 노선 순위 (2023년)
순위 공항 여객(명) 운항(편수) 항공사
1   타이베이(쑹산) 1,897,882 8,669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에바 항공, 중화항공
2   오사카(간사이) 772,003 4,388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제주항공
3   상하이(훙차오) 748,087 2,926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중국동방항공, 상하이 항공
4   베이징(서우두) 558,713 2,927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중국국제항공, 중국남방항공
5   도쿄(하네다) 557,910 2,866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일본항공, 전일본공수

교통 시설 편집

사건 편집

  • 1980년 11월 19일, 대한항공 015편 보잉 747-200기가 활주로에 못 미쳐 랜딩 기어가 노즈 휠과 외측 2개 엔진에서 미끄러져 정지하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총 탑승자 226명 중 15명이 사망했으며, 사망자 중 1등 장교와 기장이 포함되었다.
  • 1986년 9월 14일, 당시 한국의 주요 공항이었던 김포국제공항에서 폭탄테러가 발생하여 5명이 사망하고 30여명이 부상을 입었다. 희생자는 모두 한국인이었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공항 부지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동방화동,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동, 경기도 부천시 고강동 등지에 걸쳐 있다.
  2. 김포국제공항, 세계공항서비스평가에서 같은규모공항 4년연속 1위 아주경제, 2014년 2월 20일
  3. 김포공항 국제선 새 청사 준공…4월 문 열어 동아일보, 1988.1.26.
  4. 특히 일본항공전일본공수인천국제공항행 노선을 모두 단항하고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의 코드셰어만 각각 남긴 후 대한민국 수도권 방면은 김포국제공항 노선에 집중하고 있다.
  5. “김포공항 화물청사 터미널업체에 분양”. 물류신문. 2001년 2월 3일. 
  6. 관세청, 김포-일본 하네다공항 취항에 따른 김포출장소 개청, 뉴시스, 2003-11-28
  7. "도쿄행 지름길" 김포-하네다 취항, 연합뉴스, 2003-11-30
  8. 국내 최초 민간철도 공항철도 1단계 개통, 뉴시스, 2007-03-23
  9. 1,3,5,7,9,12,14~15,17번 GATE 이외 GATE는 리모트스팟 탑승(4,6,8,10,11,13,16번)
  10. 35~40번 GATE
  11. 김포공항 시설 대대적 확충.개보수
  12. 이마트 김포공항점 '추억 속으로' Archived 2014년 10월 4일 - 웨이백 머신 머니위크, 2014.10.2
  13. 김포공항 국내선 여객터미널 리모델링 한국경제, 2013.9.2
  14. '김포공항터미널서 영화 못본다' CGV 12년만에 폐점 조선비즈, 2014.7.25
  15. 김포공항아웃렛 계약 만료 앞두고 연장 요구..입점업체 혼란 가중 조선비즈, 2014.7.31
  16. 김포공항, 국내선 2터미널 들어서 Archived 2018년 1월 9일 - 웨이백 머신 뉴스핌, 2017.3.30
  17. “이스타항공, 9월 3년반만에 국제선 운항 재개…김포∼대만 노선(종합)”. 2023년 6월 30일. 
  18. “이스타항공, 이달 26일부터 김포~제주 뜬다…하루 12회 운항”. 2023년 3월 7일. 
  19. 공항별 통계 한국공항공사, 2020년 1월 20일 확인.
  20. http://www.guardian.co.uk/news/datablog/2012/may/04/world-top-100-airports
  21. “제주~김포(서울),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항공 노선”. 제주일보사. 2013년 4월 18일.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