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항공

대만의 항공 회사

중화항공(중국어: 中華航空 약자 華航) 또는 차이나 에어라인(영어: China Airlines, CAL, 대만: 2610)은 대만의 국적 항공사로 2011년 9월 27일부터 항공동맹스카이팀에 합류했다.

중화항공
中華航空
China Airlines
중화항공의 에어버스 A350-900
중화항공의 에어버스 A350-900
IATA ICAO 항공사 콜사인
CI CAL DYNASTY
창립일 1959년 12월 16일
허브 공항
거점 도시
동맹체
상용고객
우대제도
Dynasty Flyer
VIP 라운지 Dynasty Lounge
보유 항공기 89
취항지 수 112
슬로건 Journey with a caring smile
본사 중화민국 대만 타오위안시
핵심 인물
  • Chang, Chia-Juch (Chairman)
  • Sun, Huang-Hsiang (President)
모기업 중화항공 그룹
자회사
웹사이트 http://www.china-airlines.com/

역사

편집

1959년 대만 정부에 의해 설립되어 1962년 국내선 운항을 처음 시작한 뒤 1966년 베트남 공화국의 사이공(현 호찌민시) 취항을 통해 본격적인 첫 국제선 노선 운항을 시작했다.

이후 1967년 4월부터 홍콩 노선 운항과 동시에 홍콩에 지사를 설립한데 이어 같은 해 10월대한민국 노선을 취항한 뒤 1969년에 최초로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취항했으며 같은 해에 보잉 707 항공기를 도입했다.

1975년1977년에는 보잉 747SP, 보잉 747-100 기종을 도입한 후 1976년에는 보잉 737를 도입했고 1983년룩셈부르크에 화물 노선을 취항했으며 그와 동시에 보잉 747-200, 맥도넬더글러스 MD-11, 에어버스 A300 기종을 새로 도입했다.

1990년대에 들어 보잉 737-800, 보잉 747-400, 에어버스 A340 기종을 도입한 이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취항했으며 1992년 9월에 외교 관계로 인해 대한민국 노선이 한 때 폐지되기도 했다.

2002년에는 국제 항공 운송 협회에 가입한 뒤 2004년부터 에어버스 A330 기종을 도입했고 2003년 1월부터 공용 전세기로 대한민국 노선 운항을 11년만에 재개했고 2005년 3월부터 주 9회 정기 운항을 진행했다.

2010년 12월부터 현재까지 인천타오위안 노선이 주 19회 운항 중이며 같은 해 항공동맹스카이팀의 가입 서약서에 동의하면서 2011년에 가입이 승인되었고 2012년에는 김포쑹산 노선이 신설되었으며 2014년 11월에는 보잉 777-300ER을 처음으로 도입한 뒤[1] 2016년 9월에는 에어버스 A350-900을 첫 도입했다.

운항 노선

편집
  • 2012년 2월 기준으로 중화항공은 다음과 같은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코드쉐어 협정

편집
  • 중화항공은 다음과 같은 항공사에 코드쉐어 협정을 하고 있으며 주로 스카이팀 회원과 코드쉐어를 하고 있다.

보유 기종

편집
  • 2024년 10월 기준으로 중화항공은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기령은 9.5년이다[2][3][4]

현재 사용하는 기종

편집
중화항공의 보유 기종
기종 대수 주문 승객 비고
C W Y 합계 각주
에어버스 A321neo 17 16 12 0 168 180 [5] 2021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6][7][8][9]
보잉 737-800 대체 항공기
에어버스 A330-300 16 0 30 0 277 307 [10] 1대는 스카이팀 도장 적용
36 277 313
에어버스 A350-900 15 5 32 31 243 306 [11][9]
에어버스 A350-1000 0 10
TBA
2029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 예정[12]
노후 보잉 777-300ER 항공기 대체 예정
보잉 737-800 9 0 8 0 150 158 [13]
153 161
보잉 777-300ER 10 0 40 62 256 358 [14]
보잉 777-9 0 10
TBA
2029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 예정[12]
노후 보잉 777-300ER 항공기 대체 예정
보잉 787-9 0 18
TBA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 예정[15][16]
노후 에어버스 A330-300 항공기 대체 예정
보잉 787-10 0 6
TBA
2025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 예정[17]
중화항공 카고의 보유 기종
보잉 747-400F 8 0
화물
보잉 777F 10 0
화물
[7][18]
보잉 777-8F 0 4
TBA
2029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 예정[12]
합계 85 69

퇴역 기종

편집
중화항공의 퇴역 기종
기종 댓수 도입 년도 퇴역 년도 대체 기종 비고
에어버스 A300B4-200 6 1982년 2012년 에어버스 A330-300
에어버스 A300-600R 12 1987년 2008년 에어버스 A330-300
1 1990년 1998년 대체 기종 없음 타이페이에 착륙 중 추락
1 1991년 1994년 대체 기종 없음 나고야에 착륙 중 실속으로 추락
에어버스 A320-200 2 1994년 1997년 보잉 737-800
에어버스 A330-300 8 2004년 2025년 보잉 787-9
보잉 787-10
추후 보잉 787 도입으로 대체 예정
2 2011년 2012년 버진 애틀랜틱 항공 임차 운항
에어버스 A340-300 7 2001년 2017년 에어버스 A350-900 2대는 예비용으로 저장
보잉 707-320B 6 1969년 1985년 보잉 747-200B
보잉 727-100 4 1967년 1982년 보잉 737-200
보잉 737-200 6 1976년 1997년 보잉 737-400
1 1986년 1989년 대체 기종 없음 화롄에서 이륙 직후 지상충돌, 추락
보잉 737-400 6 1996년 1998년 보잉 737-800
보잉 737-800 19 1998년 2025년 에어버스 A321neo
1 자회사 만다린 항공으로 이전
보잉 747-100 2 1976년 1984년 보잉 747-200B
보잉 747-200B 3 1978년 1999년 보잉 747-400 퇴역 후 화물기로 개조
1 1979년 2002년 대체 기종 없음 펑후 제도 상공에서 공중분해
보잉 747-200SF 3 1999년 2003년 보잉 747-400F
5 1992년 2001년 아틀라스 항공 임차 운항
보잉 747-200F 3 1985년 2003년 보잉 747-400F
보잉 747-400 17 1997년 2021년 보잉 777-300ER 4대는 예비용으로 저장[19]
1 1993년 1993년 대체 기종 없음 카이탁 공항에 착륙 중, 이탈
1 1994년 1997년 대체 기종 없음 싱가포르 항공 임차 운항
보잉 747-400F 11 2000년 2024년 보잉 777F 2대는 예비용으로 저장
4 1999년 2004년 아틀라스 항공 임차 운항
보잉 747SP 4 1977년 1999년 에어버스 A340-300
보잉 767-200 2 1983년 1989년 에어버스 A330-300 에어 뉴질랜드에 매각
더글러스 DC-3 불명 1960년 1965년 더글러스 DC-4
더글러스 DC-4 불명 1961년 1965년 NAMC YS-11
맥도널 더글러스 MD-11 5 1993년 2002년 보잉 777-300ER 3대는 페덱스 익스프레스에 매각
록히드 슈퍼 콘스텔레이션 불명 1968년 1974년 NAMC YS-11
수드 카라벨 III SE-210-3 불명 1968년 1979년 보잉 737-200
NAMC YS-11 불명 1966년 1978년 보잉 737-200

중화항공 카고

편집

중화항공 카고(영어: China Airlines Cargo, 중국어: 中華航空货物)는 대만의 화물 항공사허브 공항으로는 타이완 타오위안 국제공항을 이용 중이며 보유 기종은 보잉 747-400F, 보잉 777F로 운항하고 있으며 스카이팀 카고에 가입되어 있다.

그리고 중화항공 카고는 2008년 에어 트랜스포트 월드(영어: Air Transport World)가 선정한 세계 상위 25개의 항공 화물 부문에서 7위를 기록하며 이에 대한 우수성을 인정받았다.[20]

서비스

편집

기내식

편집
 
중화항공 비즈니스 클래스 기내식
 
중화항공 이코노미 클래스 기내식

의식동원 앞으로 메뉴가 고안되고 있기 때문에 퍼스트 클래스와 다이너스티 클래스(비즈니스 클래스)에서 동파육과 다진 돼지고기 볶음밥, 중국 요리대만 요리 선택이 가능하며 웹사이트에서 사전에 기내식을 예약할 수 있으나 일반석의 경우 기내식 전의 드링크 서비스는 이용이 불가능하며 승객들의 편리를 위해 기내식사 메뉴 전시시스템, 기내 오락 시스템, 기내 항공전화, 기내 우편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객실 승무원

편집

객실 승무원의 경우 차이나 드레스풍의 유니폼은 인기가 있어 잡지 에이비로드에서 항상 상위권에 오른 적이 있으며 2007년에 유니폼이 변경되었으나 차이나 드레스풍의 스타일은 계승하고 있다.

마일리지 서비스

편집

마일리지 서비스는 다이너스티 플라이어(중국어: 華夏哩程酬賓計畫)로 불리는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고 2010년스카이팀 가맹과 동시에 만다린 항공과 제휴하고 있으며 특전은 가족이나 타인에게 양도도 가능하며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의 포인트를 동일한 프로그램의 마일리지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장

편집

중화항공의 도장은 비행기 기체의 흰 뒷날개를 들 수 있다. 이전에는 뒷날개에 대만의 국기(청천백일만지홍기)가 작게 그려져 있었지만 홍콩 반환 이후 중국이 항공기 뒷 날개에 그려진 국기 문양을 이유로 노선 연장을 방해하고 범외교적 압력을 가하면서 현재는 대만의 국화인 매화의 꽃잎이 크게 그려져 있다.

사건 및 사고

편집

중화항공은 설립 이래 수 차례의 사고를 경험했는데 양안 대립으로 인한 중국과 관련된 사고는 없었지만 1969년에 최초로 일어난 중화항공 227편을 시작으로 그 뒤에도 여러 준사고들 때문에 중화항공은 안전성이 의심을 받아왔다.

특히 2010년 독일의 항공 사고 조사국인 JACDEC가 선정한 항공 안전 순위에서 경쟁사인 에바 항공이 안전한 항공사 11위를 기록한 반면 중화항공의 경우 브라질의 항공사인 LATAM 브라질에 이어 가장 위험한 항공사 2위에 이름을 올렸으며[21] 2013년 1월 23일에는 JACDEC가 선정한 항공 안전 순위에서 60개의 국영 항공사 중 최악의 항공사에 뽑히는 불명예를 떠안았다.[22]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China Airlines to order six Boeing 777-300ERs”. flightglobal.com. 2012년 12월 7일에 확인함. 
  2. “About Us”. 
  3. “Seat Map”. 
  4. “China Airlines Fleet Details and History”. 
  5. “Airbus A321neo Seat Map”. 2022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29일에 확인함. 
  6. “China Airlines selects the A321neo for its future single aisle fleet”. 2019년 6월 19일. 
  7. “Taiwan's China Airlines inks MOU for A321neo, B777(F)s”. 2019년 6월 19일. 
  8. “Taiwan's China Airlines takes first A321neo”. 2021년 12월 1일. 
  9. “Taiwan's China Airlines to add 8 A321neo, 5 A350-900s”. 2025년 6월 26일. 
  10. “Airbus A330-300 Seat Map”. 2022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29일에 확인함. 
  11. “Airbus A350-900 Seat Map”. 2022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29일에 확인함. 
  12. “China Airlines orders 10 B777X, 10 A350s, 4 B777-8Fs”. 2024년 12월 19일. 
  13. “Boeing 737-800 Seat Map”. 2022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29일에 확인함. 
  14. “Boeing 777-300ER Seat Map”. 2022년 9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29일에 확인함. 
  15. “China Airlines to purchase 16 B787-9 aircraft”. 2022년 8월 30일. 
  16. “Taiwan's China Airlines firms eight B787-9 options”. 2023년 5월 10일. 
  17. “Taiwan's China Airlines converts six B787-9s to -10s”. 2023년 6월 20일. 
  18. “China Airlines Places An Order For 4 Boeing 777 Freighters”. 2022년 1월 27일. 
  19. “Taiwan's China Airlines targets 1Q21 pax B747 phase-out”. 2020년 11월 12일. 
  20. “World Airline Report - The World's Top 25 Airlines 2008”. 《Air Transport World》 (Penton Media). July 2009. 
  21. 가장 위험한 항공사 `브라질 TAM` 《한국경제》, 2011년 1월 19일 작성, 2012년 8월 20일 확인.
  22. "JACDEC SAFETY RANKING 2012 보관됨 2013-07-24 - 웨이백 머신." Jet Airliner Crash Data Evaluation Centre. Thursday 24 January 2012. Retrieved 01 March 2013.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