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hilip J Kim/연습장

민주당계 정당의 생일은 언제?[1]

후보별 득표율과 투표율의 상관 관계

편집
경선 투표율 이재명 이낙연 추미애 정세균 박용진 김두관
대전·충남 48.40% 54.81 27.41 6.67 7.84 2.44 0.84
충북 54.19% 54.54 29.72 7.09 5.49 2.22 0.93
대구·경북 72.57% 51.12 27.98 14.84 3.60 1.17 1.29
강원 55.97% 55.36 27.00 8.61 6.39 1.90 0.73
1차 국민 77.37% 51.09 31.45 11.67 4.03 1.16 0.60
광주·전남 56.20% 46.95 47.12 4.33 0.66 0.94
전북 53.60% 54.55 38.48 5.21 1.25 0.51
제주 52.23% 56.75 35.71 6.55 0.99
부울경 57.70% 55.34 33.62 9.74 1.30
인천 63.45% 53.88 35.45 9.26 1.41
2차 국민 59.66% 58.17 33.48 5.82 2.53

역대 민주당계 정당 대선 후보 경선 결과

편집
 
 
 
 

당선자 나이는 후보 확정일이 아닌 대통령 선거일 당시 나이를 표기함.

위키백과에는 조병옥 박사의 생년월일이 1894년 5월 21일로 되어 있으나, 조병옥 박사가 1957년 3월 21일 생일 잔치를 했다는 기록이 있는 등 확신하기 어려움.[2] 박기출, 김의택의 경우 위키백과에 기재된 생일의 음양력 여부를 확인할 수 없음.

경선 후보 확정일 당선자 당선자 양력생일 당선자 나이 당선자 득표율
3대/민주당 1956년 3월 28일 신익희 1894년 7월 11일 61세 309일 97.5%
4대/민주당 1959년 11월 26일 조병옥 1894년 66세? 50.1%
5대/민정당 1963년 9월 12일 윤보선 1897년 8월 26일 66세 50일 -
5대/국민의당 1963년 9월 14일 허정 1896년 5월 20일 67세 148일 -
6대/신한당 1966년 3월 30일 윤보선 1897년 8월 26일 69세 250일 -
6대/민중당 1966년 10월 22일 유진오 1906년 5월 13일 60세 355일 83.2%
7대/신민당 1970년 9월 29일 김대중 1924년 1월 6일 47세 111일 51.8%
7대/국민당 1971년 3월 22일 박기출 1906년 65세? -
12대/민주한국당 1981년 1월 17일 유치송 1924년 8월 27일 56세 182일 -
12대/민권당 1981년 1월 23일 김의택 1909년 75세? -
13대/통일민주당 1987년 11월 9일 김영삼 1927년 12월 27일 59세 354일 -
13대/평화민주당 1987년 11월 12일 김대중 1924년 1월 6일 63세 344일 -
14대/민주당 1992년 5월 26일 김대중 1924년 1월 6일 68일 347일 58.2%
15대/새정치국민회의 1997년 5월 19일 김대중 1924년 1월 6일 73일 346일 77.5%
15대/민주당 1997년 9월 11일 조순 1928년 2월 1일 69세 320일 -
16대/새천년민주당 2002년 4월 27일 노무현 1946년 9월 1일 56세 109일 72.2%
17대/대통합민주신당 2007년 10월 15일 정동영 1953년 7월 27일 54세 145일 43.8%
17대/민주당 2007년 10월 16일 이인제 1949년 1월 9일 58세 344일 56.4%
18대/민주통합당 2012년 9월 16일 문재인 1953년 1월 24일 59세 330일 56.5%
19대/더불어민주당 2017년 4월 3일 문재인 1953년 1월 24일 64세 105일 57.0%

역대 개헌안 국회 표결 결과

편집
국회 발의자 발의일 국회 투표일 국회 투표 결과 필요 비고
찬성 반대 기권 무효 불참 재적
제헌 헌법급행정조직법기초위원회 1948년 6월23일 1948년 7월 12일 만장일치 ? 198 ? 제헌 헌법
국회의원 79명 1950년 1월 27일 1950년 3월 14일 79 33 66 1 19 198 132 부결; 내각제 개헌
2대 정부 1951년 11월 27일 1952년 1월 18일 19 143 1 0 12 175 117 부결; 대통령 직선제 개헌
국회의원 123명 1952년 4월 17일 1952년 7월 4일 163 0 3 0 17 183 122 발췌 개헌
정부 1952년 5월 14일
3대 민의원의원 136명 1954년 9월 6일 1954년 11월 27일 135 60 7 0 1 203 136 사사오입 개헌
4대 민의원의원 175명 1960년 5월 11일 1960년 6월 15일 208 3 0 0 7 218 146 제2공화국 개헌
5대 민의원의원 175명 1960년 10월 17일 1960년 11월 23일 191 1 2 0 33 233 156 소급입법 개헌
최고 최고위원 23명 1962년 11월 5일 1962년 12월 6일 22 0 0 0 3 25 17 제3공화국 개헌
7대 국회의원 122명 1969년 8월 7일 1969년 9월 14일 122 0 0 0 49 171 114 3선 개헌
비상 정부 1972년 10월 27일 - - - - - - - - 유신 헌법
10대 정부 1980년 9월 29일 - - - - - - - - 제5공화국 헌법
12대 국회의원 264명 1987년 9월 18일 1987년 10월 12일 254 4 0 0 14 272 182 제6공화국 헌법
선거 선거일 당선자 당선자

출신지

당선자 나이 생년월일 당선자 득표율 비고
출석 대비 재적 대비
1(제헌) 1948년 5월 31일 이승만 이북 73세 66일 1875년 3월 26일 95.43 94.95
1 보궐 1948년 8월 4일 신익희 (1) 수도권 54세 24일 1894년 7월 11일 58.52 52.28
2전 1950년 6월 19일 신익희 (2) 수도권 55세 343일 1894년 7월 11일 52.15 51.90 2차 투표에서 당선
2후 1952년 7월 10일 신익희 (3) 수도권 57세 365일 1894년 7월 11일 55.69 50.82 2차 투표에서 당선
3전 1954년 6월 9일 이기붕 (1) 수도권 57세 138일 1897년 1월 22일 62.31 61.08
3후 1956년 6월 8일 이기붕 (2) 수도권 59세 138일 65.64 63.05
4전 1958년 6월 7일 이기붕 (3) 수도권 61세 136일 1897년 1월 22일 63.76 62.66
4전 보궐 1960년 5월 2일 곽상훈 (1) 수도권/PK 63세 194일[3] 74.5% 59.8%
4후 1960년 6월 4일 곽상훈 (2) 수도권/PK 63세 227일[3] 54.2% 38.5%(최저)
5전 1960년 8월 8일 곽상훈 (3) 수도권/PK 63세 292일[3] 94.0% 92.3%
6전 1963년 12월 17일 이효상 (1) TK 57세 337일 1906년 1월 14일 74.9% 73.1%
6후 1965년 12월 16일 이효상 (2) TK 59세 336일 1906년 1월 14일 53.7% 50.3% 2차 투표에서 당선
7전 1967년 7월 10일 이효상 (3) TK 61세 177일 1906년 1월 14일 95.9% 67.4%
7후 1969년 7월 9일 이효상 (4) TK 63세 176일 1906년 1월 14일 55.8% 52.6% 2차 투표에서 당선
8전 1971년 7월 26일 백두진 (1) 이북 62세 268일 1908년 10월 31일 62.0% 61.3%
9전 1973년 3월 12일 정일권 (1) 이북 55세 111일 1917년 11월 21일 93.0% 91.3%
9후 1976년 3월 12일 정일권 (2) 이북 58세 112일 1917년 11월 21일 98.6% 96.3%(최고)
10전 1979년 3월 17일 백두진 (2) 이북 70세 137일 1908년 10월 31일 93.9% 67.1%
11전 1981년 4월 11일 정래혁 호남 55세 84일[3] 93.5% 93.1%
11후 1983년 4월 11일 채문식 TK 57세 269일 1925년 7월 16일 82.0% 81.1%
12전 1985년 5월 13일 이재형 (1) 수도권 70세 187일 1914년 11월 7일 84.6% 83.3%
12후 1987년 5월 12일 이재형 (2) 수도권 72세 186일 1914년 11월 7일 97.1% 60.2%
13전 1988년 5월 30일 김재순 강원/이북 65세 182일[3] 89.6% 89.6%
13후 1990년 5월 29일 박준규 (1) TK 64세 259일[3] 98.6% 69.9%
14전 1992년 6월 29일 박준규 (2) TK 66세 291일[3] 83.2% 81.3%
14전 보궐 1993년 4월 27일 이만섭 (1) TK 61세 61일[3] 80.7% 73.3%
14후 1994년 6월 28일 황낙주 PK 66세 98일[3] 62.6% 58.6%
15전 1996년 7월 4일 김수한 TK 67세 319일[3] 90.8% 82.3%
15후 1998년 8월 3일 박준규 (3) TK 72세 325일[3] 50.5%(최저) 49.8% 3차(결선) 투표에서 당선
16전 2000년 6월 5일 이만섭 (2) TK 68세 62일[3] 51.3% 51.3%
16후 2002년 7월 8일 박관용 PK 64세 101일[3] 52.7% 52.1%
17전 2004년 6월 5일 김원기 호남 67세 110일[3] 92.3% 72.6%
17후 2006년 6월 19일 임채정 호남 65세 36일[3] 91.1% 83.7%
18전 2008년 7월 10일 김형오 PK 60세 223일[3] 92.9% 88.0%
18후 2010년 6월 8일 박희태 PK 71세 303일[3] 94.8% 81.1%
19전 2012년 7월 2일 강창희 충청 65세 334일[3] 68.90 65.00
19후 2014년 5월 29일 정의화 PK 65세 162일 1948년 12월 18일 89.61 71.88
20전 2016년 6월 9일 정세균 호남 65세 217일 1950년 11월 5일 95.47 91.33
20후 2018년 7월 13일 문희상 수도권 73세 90일 1945년 4월 14일 94.18 86.33
21전 2020년 6월 5일 박병석 충청 68세[3] 98.96(최고) 63.67
기수 선거 선거일 당선자 당선자 득표율 비고
출석 대비 재적 대비
1(제헌) A 1948년 5월 31일 신익희 58.59 58.59 2차(결선) 투표에서 당선
B 김동원 51.01 51.01 2차(결선) 투표에서 당선
A 보궐1 1948년 8월 4일 김약수 49.43(최저) 44.16 3차(결선) 투표에서 당선
A 보궐2 1949년 7월 4일 윤치영 (1) 54.49 45.73 3차(결선) 투표에서 당선
2전 A 1950년 6월 19일 장택상 49.76 49.52 3차(결선) 투표에서 당선
B 조봉암 (1) 54.81 54.29 3차(결선) 투표에서 당선
A 보궐 1952년 5월 8일 김동성 55.29 51.37
2후 A 1952년 7월 10일 조봉암 (2) 52.69 48.09 2차 투표에서 당선
B 윤치영 (2) 50.30 45.36
3전 A 1954년 6월 9일 최순주 62.81 61.58
B 곽상훈 81.41 79.80
A 보궐 1955년 3월 2일 조경규 (1) 52.31 50.25 2차 투표에서 당선
3후 A 1956년 6월 8일 조경규 (2) 65.64 63.05
B 황성수 58.12 54.68
B 보궐 1956년 12월 5일 이재학 (1) 68.71 55.17
4전 A 1958년 6월 7일 이재학 (2) 63.79 63.52
B 한희석 60.17 59.66
B 보궐 1959년 10월 14일 임철호 69.10 52.79
4후 A 1960년 6월 10일 김도연 66.67 52.29 2차 투표에서 당선
B 이재형 53.38 36.24(최저)
5전 A 1960년 8월 8일 이영준 87.50 85.91
B 서민호 52.78 51.82
6전 A 1963년 12월 17일 장경순 (1) 77.19 75.43
B 나용균 72.51 70.86
6후 A 1965년 12월 16일 장경순 (2) 59.51 55.43 2차 투표에서 당선
B 이상철 54.09 49.14 3차(결선) 투표에서 당선
7전 A 1967년 7월 10일 장경순 (3) 91.94 65.14
B 1968년 6월 7일 윤제술 79.37 57.80
7후 A 1969년 7월 9일 장경순 (4) 85.95 59.43
B 1970년 9월 7일 정성태 95.87 68.24
8전 A 1971년 7월 26일 장경순 (5) 58.50 57.35
B 정해영 87.44 85.29
9전 A 1973년 3월 12일 김진만 92.56 90.87
B 1973년 5월 26일 이철승 78.28 70.78
9후 A 1976년 3월 12일 구태회 88.46 85.98
B 이민우 87.56 85.51
10전 A 1979년 3월 17일 민관식 92.15 76.19
B 고흥문 87.62 76.62
11전 A 1981년 4월 11일 채문식 83.27 82.97
B 김은하 89.09 88.77
11후 A 1983년 4월 11일 윤길중 83.82 82.91
B 고재청 75.00 74.18
12전 A 1985년 5월 13일 최영철 84.98 84.06
B 김녹영 86.40 85.14
B 보궐 1985년 10월 28일 조연하 53.26 50.55 2차 투표에서 당선
12후 A 1987년 5월 12일 장성만 94.12 58.39
13전 A 1988년 5월 30일 노승환 93.31 93.31(최고)
B 김재광 (1) 92.98 92.98
13후 A 1990년 5월 29일 김재광 (2) 97.63 68.90
B 1990년 6월 19일 조윤형 89.68 85.42
14전 A 1992년 6월 29일 황낙주 84.43 81.61
B 허경만 87.46 83.95
14후 A 1994년 6월 28일 이춘구 81.75 75.42
B 홍영기 71.64 66.33
A 보궐 1995년 2월 20일 이한동 84.15 69.23
15전 A 1996년 7월 4일 오세응 93.43 85.62
B 김영배 86.57 77.59
15후 A 1998년 8월 17일 신상우 91.34 84.62
B 김봉호 87.23 79.93
16전 A 2000년 6월 5일 홍사덕 87.82 87.18
B 김종호 69.00 68.50
A 보궐 2001년 6월 12일 김종하 89.59 72.79
16후 A 2002년 7월 8일 김태식 82.43 75.48
B 조부영 73.33 63.22
17전 A 2004년 6월 7일 김덕규 93.82 81.27
B 박희태 92.28 79.93
17후 A 2006년 6월 19일 이용희 96.23 86.44
B 이상득 96.06 82.71
18전 A 2008년 7월 10일 이윤성 87.10 72.24
B 2008년 7월 16일 문희상 93.70 74.58
18후 A 2010년 6월 8일 정의화 97.06 79.38
B 홍재형 96.38 73.20
19전 A 2012년 7월 2일 이병석 86.88 81.67
B 박병석 97.83 90.33
19후 A 2014년 5월 29일 정갑윤 93.58 70.83
B 이석현 97.17 71.53
20전 A 2016년 6월 9일 심재철 87.13 79.00
B 박주선 94.26 76.67
20후 A 2018년 7월 13일 이주영 97.00 86.33
B 주승용 96.85 82.00
21전 A 2020년 6월 5일 김상희 98.40(최고) 61.66
B 2021년 8월 31일 정진석 94.29 77.26

부통령 선거 결과들

편집
 
 
 

주석

편집
  1. 지면보기, 입력 1977 02 08 00:00 | 종합 2면 (1977년 2월 8일). “진짜 생일 못 찾은 신민당”. 2020년 5월 15일에 확인함. 
  2.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20년 5월 18일에 확인함. 
  3. 프로필상 나이 음양력 여부 불확실, 양력이라는 가정 하에 계산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