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밤나무

약밤나무(藥---, 학명: Castanea mollissima 카스타네아 몰리시마[*]) 또는 평양밤나무(平壤---)는 참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이다.[2]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장미군 |
목: | 참나무목 |
과: | 참나무과 |
속: | 밤나무속 |
종: | 약밤나무 |
학명 | |
Castanea mollissima | |
Blume | |
학명이명 | |
이명 목록[1]
|
분포 편집
한국, 중국, 타이완, 베트남이 원산지이다.[3] 한반도에서는 중부 이북의 산기슭과 마을 부근에 분포한다.[2]
특징 편집
높이 15~20m, 지름 70cm로 자란다.[2] 햇가지는 녹갈색이고 털이 드문드문 있거나 빽빽하게 나있다.[4] 나무껍질은 세로로 깊게 갈라진다.[4] 밤나무에 비해 갈라짐이 작으며 껍질이 얇다.[4]
겨울눈은 광란형(넓은 달걀꼴)이며 털이 있다.[4]
잎은 어긋나기하고, 곁가지에서는 2줄로 난다.[2] 잎 모양은 피침형(바소꼴), 광피침형(넓은 바소꼴) 또는 난상 피침형(달걀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는 10~20cm 정도이다.[2] 잎끝은 첨두(뾰족끝)이며 잎밑은 심장저(심장꼴밑), 원저(둥근밑) 또는 광예저(넓은 뾰족밑)이다.[4] 잎 가장자리에는 치아상(이 모양) 톱니가 있는데, 톱니 끝이 침처럼 뾰족하다.[4] 밤나무에 비하여 잎의 톱니가 길다.[4] 잎 앞면에는 털이 없고, 뒷면에는 털이 없거나 흰색의 성모(별털)가 빽빽하게 나있다.[4] 가지 끝의 잎은 대개 털이 있고 선점이 없다.[4]
꽃은 암수한그루이다.[2] 수꽃은 햇가지 밑의 잎겨드랑이에서 곧추 자라고, 잎보다 짧다.[4] 화피(꽃덮이)는 6개로 갈라지고, 긴 수술은 10개 정도이다.[2] 수꽃이삭은 15cm가량 되며, 미상화서(꼬리모양꽃차례)로 꽃이 2~3송이씩 모여 달린다.[2] 암꽃은 꽃차례 기부에서 보통 3개씩 한군데에 모여 달리고 총포로 싸여 있다.[4] 암술대는 길고 좌(座)는 좁으며 내피(속껍질)가 잘 벗겨진다.[4]
열매인 약밤은 견과이며, 알이 작고 속껍질이 잘 벗겨지며 단맛이 많다.[5] 9~10월에 익는다.[4] 열매 모양은 난상 원형(달걀 모양 원형) 또는 광란형(넓은 달걀꼴)이며, 너비는 2~3cm이고 윗부분에 잔털이 있다.[4] 밤송이는 길이 1.5cm로, 황색 가시가 있으며, 복모(누운털)가 빽빽히 나있고 깍정이 내면에 견모(비단털)가 있다.[4]
재배 편집
토심이 깊고 비옥한 산록이나 배수가 잘되는 곳을 좋아하는 양수이다.[4] 내조성과 내건성이 약하지만 대기오염에 견디는 힘은 보통이다.[4] 밤나무혹벌에 내충성이 약하다.[5]
이용 편집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1,000 kJ (240 kcal) |
52.36 g | |
1.19 g | |
포화지방 | 0.175 g |
단일불포화지방 | 0.620 g |
다불포화지방 | 0.307 g |
4.48 g | |
트립토판 | 0.052 g |
트레오닌 | 0.178 g |
아이소류신 | 0.167 g |
류신 | 0.276 g |
라이신 | 0.243 g |
메티오닌 | 0.108 g |
시스틴 | 0.117 g |
페닐알라닌 | 0.203 g |
티로신 | 0.134 g |
발린 | 0.235 g |
아르기닌 | 0.459 g |
히스티딘 | 0.129 g |
알라닌 | 0.213 g |
아스파르트산 | 0.909 g |
글루탐산 | 0.573 g |
글라이신 | 0.196 g |
프롤린 | 0.172 g |
세린 | 0.196 g |
비타민 | 함량 %DV† |
비타민 A (동등) | 0% 0 μg |
티아민 (B1) | 13% 0.150 mg |
리보플라빈 (B2) | 8% 0.090 mg |
나이아신 (B3) | 10% 1.500 mg |
판토테산 (B5) | 12% 0.592 mg |
비타민 B6 | 34% 0.437 mg |
엽산 (B9) | 18% 72 μg |
비타민 B12 | 0% 0.00 μg |
비타민 C | 46% 38.4 m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2% 19 mg |
구리 | 19% 0.387 mg |
철분 | 12% 1.50 mg |
마그네슘 | 25% 90 mg |
망간 | 81% 1.708 mg |
인 | 15% 102 mg |
칼륨 | 10% 477 mg |
나트륨 | 0% 4 mg |
아연 | 10% 0.93 mg |
기타 성분 | 함량 |
수분 | 40.20 g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
사진 갤러리 편집
-
가지
-
잎
-
풋열매
-
익은 열매
-
약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 ↑ “Castanea mollissima Blume”. 《The Plant List》 (영어). 2012년 3월 23일.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생물II·식물·관찰 > 식물의 계통과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 식물 > 너도밤나무과(참나무과) > 약밤나무〉
- ↑ “Castanea mollissima Blume”. 《GRIN-Global Web v 1.10.3.6》 (영어). 미국 농무부. 2018년 7월 5일.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카 타 파 하 거 너 더 러 “약밤나무 Castanea bungeana Blume”.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립수목원. 2019년 2월 14일에 확인함.
- ↑ 가 나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생물II·식물·관찰 > 식물의 재배와 관찰 > 식물의 이용 > 원예식물 > 과수 > 밤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