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역
한국철도공사 경원선, 교외선의 철도역 중 하나
좌표: 북위 37° 44′ 17″ 동경 127° 02′ 46″ / 북위 37.73806° 동경 127.04611°
의정부역(議政府驛)은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에서 교외선이 분기한다. 심야에 2편성이 주박하며, 해당 전동열차 1편성은 다음 날 새벽에 양주역으로 회송하여 운행을 시작한다.
역사 | ||
역명판 | ||
개괄 | ||
관할 기관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수도권동부지역관리단 의정부관리역 | |
소재지 | 경기도 의정부시 평화로 525 | |
좌표 | 북위 37° 44′ 16.3″ 동경 127° 02′ 45.7″ / 북위 37.737861° 동경 127.046028° | |
개업일 | 1911년 10월 15일 | |
역 번호 | 110 | |
종별 | 관리역 | |
등급 | 2급 | |
승강장 구조 | 3면 6선 | |
비고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 |
노선 | ||
경원선 | ||
소요산 기점 24.4km | ||
● 수도권 전철 1호선 | ||
| ||
교외선 | ||
능곡 기점 31.8 km | ||
| ||
|
의정부역에 대한 다국어 표기 | |
---|---|
한글 표기: | 의정부역 |
한자 표기 | 議政府驛 |
영어 표기: | Uijeongbu Station |
중국어 표기: | 議政府站 |
일본어 표기: | 議政府駅(ウィジョンブえき) |
연혁편집
전철 개통 전편집
- 1911년 10월 15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1]
- 1950년 6월 30일 : 한국 전쟁으로 인해 역사 소실
- 1966년 8월 4일 : 역사 신축 준공
- 1971년 9월 10일 : 무연탄 화물 도착역 지정[2]
전철 개통 후편집
- 1986년 9월 2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운행 개시, 동시에 신역사 영업 개시[3]
- 2004년 4월 1일 : 교외선 운행 중지
- 2005년 12월 21일 : 동묘앞역 개통으로 1호선 역번호가 111에서 110으로 변경
- 2006년 5월 1일 : 소화물 취급 중지
- 2006년 12월 1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가능 ~ 소요산 연장 구간 개통에 따라서 일반열차 취급 중지, 또한 이 역 소속의 임시역이었던 의정부북부역이 가능역으로 분리 독립
- 2009년 10월 31일 : 화물 취급 중지[4]
- 2009년 12월 1일 : 철도승차권 단말기 철거
- 2012년 1월 18일 : 민자역사 영업 개시
- 2014년 7월 4일 :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 (4번홈 제외)
- 2014년 8월 1일 : 평화열차(DMZ train) 운행 개시
- 2019년 4월 1일 : 평화열차(DMZ train) 운행 중지
역 구조편집
1, 3번 승강장이 본선으로 설정되어 있다. 2번 승강장은 소요산 연장 개통 이전에 의정부북부역(지금의 가능역) 시절에는 본선이었으나, 이후에는 1번 승강장으로 변경되었으며 인천행(대부분 구로행, 광운대역행)의 시·종착 및 급행열차 대피 승강장으로 활용된다. 4번 승강장은 급행열차 대피시 사용한다. 5, 6번 승강장은 2006년 12월 14일까지 통근열차 승강장이었고, 이후 임시 관광열차용으로 활용되다가, 2014년 8월 1일부터 평화열차 승강장으로 사용하였으며, 2019년 4월 1일부터 평화열차 운행중지로 일부 특별 열차를 제외하고는 미사용 상태이다. 출구는 8개이고 8번 출구는 지하상가로 연결된다. 스크린도어는 4번 승강장을 제외한 모두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편집
↑회룡 |
| | | | 12 | | 34 | | 56 | | | | | |
가능↓ |
1·2 | ● 수도권 전철 1호선 | 급행열차 · 일반열차 | 회룡 · 광운대 · 회기 · 구로 · 부천 · 인천 방면 |
---|---|---|---|
3·4 | 급행열차 · 일반열차 | 가능 · 양주 · 동두천 · 소요산 방면 | |
5·6 | 경원선 | 미사용 |
역 주변편집
사진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이용객 변동편집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
1호선 | 승차 | 17,091 | 46,691 | 47,854 | 46,354 | 22,470 | 21,632 | 21,362 | 20,126 | 21,438 | 21,351 | [5] |
하차 | 12,760 | 24,208 | 25,311 | 25,955 | 23,030 | 22,978 | 22,834 | 21,917 | 22,902 | 22,570 | ||
노선 | 일평균 인원수 (명/일) | 각주 |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1호선 | 승차 | 21,475 | 22,023 | 24,307 | 24,356 | 24,703 | 23,595 | 23,025 | 22,071 | 21,615 | [5] | |
하차 | 22,510 | 23,151 | 25,537 | 25,695 | 26,083 | 24,901 | 24,248 | 23,315 | 22,763 |
인접한 역편집
경원선 | ||
---|---|---|
109 가능 소요산 방면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경인선 완행 (일부 열차 시종착) |
111 회룡 인천 방면 |
시·종착역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 완행 (일부 열차 이 역 시발)[6] |
111 회룡 서동탄 방면 |
107 양주 소요산 방면 |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급행 |
111 회룡 인천 방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