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성

특정한 지질학적 위치에 국한하여 분포하는 생태학적 상태
(고유종에서 넘어옴)

고유성(Endemism)은 어떤 이 섬, 국가, 나라 등의 국한된 구역이나 서식지 유형 등의 특정한 지질학적 위치에 국한하여 분포하는 생태학적 상태를 의미한다. 어떤 지역에 자생(:en:Indigenous (ecology))하는 유기체는 다른 곳에서도 발견된다면 고유성을 띄지 않는다고 여겨진다. 고유성의 극단적인 반대개념은 세계분포(:en:cosmopolitan distribution)이다. 고유성의 대체어휘는 구역성(Precinctivity, Precinction)인데, 종 이하의 분류군이 특정한 지리적 구역에만 분포하는 것을 지칭한다. 고유성을 띠는 종은 고유종(固有種, endemic species)라고 부르며, 특산종(特産種), 토착종(土着種)이라고도 부른다.

주홍가슴태양조핀보스 초목 지대에서만 발견된다.
두빛깔개구리(:en:Clinotarsus curtipes)는 인도 서고츠산맥에 고유하다.

어원

편집

고유한을 의미하는 영어 단어 endemic근대 라틴어(:en:New latin) endēmicus,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토착의"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ενδήμος, endēmos,에서 따왔다. Endēmos는 "안"을 의미하는 en, "사람"을 의미하는 dēmos 로 구성된다.[1] "precinctive"라는 단어는 몇몇 과학자들이 제안해왔는데,[a] 1917년에 맥코기( MacCaughey)가 식물학 분야에서 최초로 사용하였다. 이는 고유성과 동의어이다.[2] Precinction는 아마도 프랭크과 맥코이가 최초로 사용하였다.[3][4] Precinctive는 데이비드 샤프( David Sharp)가 1900년에 하와이의 식물상을 기술하면서 만들어낸 것으로 보인다:[5] "나는 구역된(precinctive)이라는 단어를 '논의 중인 지역에 국한된' 의미에서 사용하였다 ... '구역형태(precinctive form)'는 특정한 지역에 국한해 서식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이 정의는 식물원, 동물원 따위의 인공적인 제한을 제외한다.

개괄

편집
 
떼창매미(:en:Chorus cicada), 뉴질랜드 고유종

물리적, 기후적, 생물적 요소가 고유성에 관여할 수 있다. 주홍가슴태양조(:en:orange-breasted sunbird)는 남아프리카 남서부의 핀보스(en:fynbos) 초목 지대에서만 발견된다. 빙하곰(:en:Glacier bear)은 동남 알래스카(:en:southeast alaska)의 특정한 곳에서만 서식한다. 종이 보호받거나 사냥감으로 인기가 높다면 정치적인 요소도 고유성에 관여할 수 있는데, 전자는 사법권이 관여하지만 후자는 그렇지 않다.

고유성에는 고고유성(en:paleoendemism)과 신고유성(en:neoendemism)의 두 가지의 하위 개념이 있다. 고고유성은 이전에는 널리 분포했었지만 현재는 분포 영역이 줄어든 종을 가리키며, 신고유성은 비교적 근래에 분화, 번식고립, 잡종화, 식물의 경우 배수체와 같은 방식으로 생겨난 종을 가리킨다.

종의 고유형(Endemic type)은 특히 하와이, 갈라파고스 제도, 소코트라섬같이 고립된 섬, 군도와 같은 지질학적, 생물학적으로 고립된 지역에서 생겨나는 경향이 있다; 에티오피아고원처럼 생물학적으로 고립된 지역, 바이칼호수같이 다른 호수와 멀리 떨어진 큰 수역에서도 고유형이 발달할 수 있다. 쐐기잎수국(en:Hydrangea hirta)은 일본에서 발견되는 고유종의 예시다.

고유성이 높은 종의 불안전성

편집

고유종은 만일 그 좁은 서식지가 특히 새로운 종의 도입 따위의 인간활동으로 인해 변질되면 쉽사리 멸종위기에 처하거나 멸종할 수 있다. 높은 고유성을 띈 생태계(:en:List of ecoregions with high endemism)의 서식지 감소와 손실의 주요 원인은 농업, 도시의 성장, 지표면 채굴, 무기질 추출, 벌목화전농업 등이 있다.[6][7] 17세기 초에 버뮤다 제도에 사람들이 정착하기 시작했을 때는 수백만 마리의 버뮤다슴새(:en:Bermuda petrel)와 수백만 그루의 버뮤다향나무(:en:Juniperus bermudiana)가 있었다. 17세기가 끝날 즈음에는 버뮤다슴새는 멸종되었다고 여겨졌다. 버뮤다향나무는 수 세기 동안 막대한 양이 조선 재료로 벌목되어온데다 20세기에 기생충이 도래하여 거의 멸종할 뻔했다. 오늘날 버뮤다슴새와 버뮤다향나무는 다른 버뮤다 고유종들처럼 간신히 이어지고 있다.

목록

편집

대한민국

편집

한국에서는 공통종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고유종, 즉 특산종은 얼마되지 않는다. 고유종은 특정한 곳에 한하여 분포되는 것이다. 이를테면, 금강초롱꽃은 전 세계에서 오로지 한국에서만 자생하는 생물종이므로, 한국의 고유종에 해당한다. 반면에, 광릉요강꽃은 분포지가 한국·중국·일본 등지이므로 한국의 고유종에 포함되지 않는다. 한국의 고유종 중 학술상 가치가 있는 종은 각 기관에서 보호하고 있다. 식물을 예로, 한국 고유종의 대표적인 것으로 물푸레나무과미선나무를 들 수가 있는데, 속(屬)으로서도 한국의 고유속이며, 종이 단 1종뿐인 희귀한 식물이다. 이에 문화재청충청북도괴산 송덕리 미선나무 자생지 외에 4건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제주도한라송이풀, 한라솜다리, 제주고사리삼, 울릉도섬시호, 섬현삼 등이 환경부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은 한반도에 서식하는 고유종 2,177종을 전세계에 알리기 위해 한반도 고유종 도감인 ‘Endemic Species of Korea’를 영문으로 출간했다.[8]

나무

편집

물고기

편집

곤충

편집

포유류

편집

같이 보기

편집

내용주

편집
  1. Precinctivity

각주

편집
  1. "Endemic". Reference.com. Retrieved 6 December 2014.
  2. MacCaughey, Vaughaun 1917. A survey of the Hawaiian land flora. Botanical Gazette 64: 89–114 [see p. 92]. https://www.jstor.org/stable/2469367
  3. Frank, J. H. and McCoy, E. D. 1990. Endemics and epidemics of shibboleths and other things causing chaos. Florida Entomologist 73: 1–9. http://journals.fcla.edu/flaent/article/view/58577/56256
  4. Frank, J. H. and McCoy, E. D. 1995. Precinctive insect species in Florida. Florida Entomologist 78: 21–35. [also uses word precinction]. http://journals.fcla.edu/flaent/article/view/74657/72315 Archived 2015년 7월 16일 - 웨이백 머신
  5. Sharp, D. 1900. Coleoptera. I. Coleoptera Phytophaga, pp. 91–116 in D. Sharp [ed.]. Fauna Hawaiiensis, Being the Land-Fauna of the Hawaiian Islands.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vol. 2 part 3 [see p. 91].
  6. Fred Smiet (1982). "Threats to the Spice Islands". Oryx, 16, pp. 323–328 doi 10.1017/S0030605300017774
  7.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5”.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5 (1): 25–32. doi:10.1890/1540-9295(2007)5[25:ARFDAL]2.0.CO;2. 
  8.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영문판 한반도 고유종 도감 ‘Endemic Species of Korea’ 출간" 뉴스와이어. 2012-09-25
  9. 한반도 고유종 총람.국립생물자원관 출판

참고 문헌

편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편집
  •   위키낱말사전에 endemism 관련 글이 있습니다.
  •   위키낱말사전에 endemic 관련 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