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행

(3악행에서 넘어옴)

악행(惡行) 또는 나쁜 행위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악독(惡毒)한 행위'[1], 즉 '마음이 흉악하고 독한 행위'[2]를 말하는데, 불교에서는 [語 또는 口]과 행동[身]과 [意]으로 지은 일체(一切)의 불선(不善)의 행위를 말한다.[3][4]

즉, 일체불선3업(三業), 즉 일체불선신업(身業) · 어업(語業) · 의업(意業)을 말하며, 이들을 신악행(身惡行) · 어악행(語惡行) · 의악행(意惡行) 3악행(三惡行)이라 한다. 어악행구악행(口惡行)이라고도 한다.[5][6][7] 3악행의 반대를 3묘행(三妙行) 또는 3청정(三清淨)이라 한다.[8] 불선(不善)은 (惡)이라고도 하며, 현세내세에 자기와 남에게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성질을 가진 것을 말한다.[9]

불교에서는 모든 악행 중에서 승가(僧迦)의 화합을 파괴하는 파승(破僧), 즉 파화합승(破和合僧)의 악행을 가장 행위로 본다.[3] 즉, 불교에서는 진리를 전수하고 전수받을 사람들이 함께 모이지 못하게 함으로써 진리를 전할 수 있는 기회조차도 박탈시키는 것을 최악의 악행으로 본다.

또한, 악행(惡行)은 번뇌(煩惱)의 여러 동의어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3][10][11] 번뇌본질적 성질들 가운데 하나가 유정으로 하여금 사행(邪行), 즉 8정도에 어긋난 행위를 행하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뜻에서 번뇌를 악행이라고도 이름한다.[12][13] 이 경우 특히 (貪) · (瞋) · (癡)를 가리켜 3악행(三惡行)이라 한다.[14][15] 즉, 이 경우의 3악행3불선근(三不善根)과 동의어이다.[4]

불선으로서의 악행 편집

경론별 설명 편집

장아함경 편집

초기불교 경전인 《장아함경》 제8권 제9경 〈중집경(衆集經)〉에서는,

불선(不善)의 신업(身業)을 신악행(身惡行), 불선(不善)의 구업(口業)을 구악행(口惡行), 불선(不善)의 의업(意業)을 의악행(意惡行)이라 말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악행(惡行)은 신악행 · 구악행 · 의악행의 3악행(三惡行)을 말한다.[5]

復有三法。謂三不善行。身不善行.口不善行.意不善行。

復有三法。謂三惡行。身惡行.口惡行.意惡行。

또 세 가지 법이 있으니, 이른바 3불선행(不善行)으로서 첫째는 신(身)불선행이요, 둘째는 구(口)불선행이며, 셋째는 의(意)불선행이다.
또 세 가지 법이 있으니, 이른바 3악행(惡行)으로서 첫째는 신(身)악행이요, 둘째는 구(口)악행이며, 셋째는 의(意)악행이다.

— 《장아함경》 제8권 제9경 〈중집경(衆集經)〉한문본 & 한글본

번뇌로서의 악행 편집

경론별 설명 편집

유가사지론 편집

대승불교유식유가행파의 논서 《유가사지론》 제8권에 따르면,

악행(惡行)은 번뇌다른 이름(結) · (縛) · 수면(隨眠) · 수번뇌(隨煩惱) · (纏) · 폭류(暴流) · (軛) · (取) · (繫) · (蓋) · 주올(株杌) · (垢) · 상해(常害) · (箭) · 소유(所有) · (根) · 악행(惡行) · (漏) · (匱) · (燒) · (惱) · 유쟁(有諍) · (火) · 치연(熾然) · 조림(稠林) · 구애(拘礙) 가운데 하나이다.[10][11]
악행(惡行)은 번뇌사행(邪行) 즉 그릇된 행위자성(自性)으로 한다는 것을 뜻한다. 즉, 번뇌의 여러 본질적 성질들 가운데 하나가 유정으로 하여금 사행(邪行), 즉 8정도에 어긋난 행위를 행하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뜻에서 번뇌를 악행이라고도 이름한다.[12][13]
악행(惡行)은 특히 (貪) · (瞋) · (癡)의 3악행(三惡行)을 말한다. 즉, 3불선근(三不善根)을 말한다.[14][15]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각주 편집

  1. "악행(惡行)",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악행(惡行): 악독한 행위. [비슷한 말] 악행위."
  2. "악독(惡毒)", 《네이버 국어사전》.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악독(惡毒): 마음이 흉악하고 독함"
  3. 星雲, "惡行".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惡行:  即不良之行為。又為煩惱之異名。佛教對於一切不善之身、語、意業等,依次稱為身、語、意惡行。於一切惡行之中,以破僧罪為最重。〔俱舍論卷十六、十地論義記卷四本〕(參閱「惡」4944) p4947"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6558DTITLEB4cA6E6 惡行]".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4. 佛門網, "惡行". 2013년 6월 1일에 확인
    "惡行: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惡劣的行為。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瑜伽八卷六頁云:邪行自性、故名惡行。
    二解 如三惡行中說。
    三解 瑜伽八十四卷十四頁云:又非法行、不平等行、現在前故;說名惡行。
    四解 瑜伽八十九卷十二頁云:復次一切不善身業,名為惡行。如說身業,語業、意業、當知亦爾。由此惡業,數現行故;於諸惡趣,或已隨得,或當隨得,或現隨得。是故說彼名為惡行。
    五解 雜集論七卷四頁云:惡行有三。謂貪瞋癡。由依止貪瞋癡故;恆行身語意惡行;故名惡行。由貪瞋癡,能引殺生等諸不善行故。又即依此貪瞋癡門,廣生無量惡不善行;故建立三不善根。所以者何?以諸有情愛味世間所有為因,行諸惡行。貪求財利,行惡行故。分別世間怨相為因;行諸惡行。由懷瞋恚,不忍他過,多行惡故。執著世間邪法為因;行諸惡行。由懷愚癡,起顛倒見;因祠祀等,行諸惡故。是故此貪瞋癡,亦名惡行;亦名不善根。""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佛門網"[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58287E683A1E8A18C 惡行]". 2013년 6월 1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5. 운허, "三惡行(삼악행)".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三惡行(삼악행): 행위ㆍ언어ㆍ정의(情意)로 범하는 악행업(惡行業). 『장아함경』 제8권에 신악행(身惡行)ㆍ구악행(口惡行)ㆍ의악행(意惡行)이라 함." 인용 오류: 잘못된 <ref>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585ED9689rowno1 三惡行(삼악행)]".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6. 곽철환 2003, "삼악행(三惡行)". 2012년 10월 24일에 확인
    "삼악행(三惡行): 몸과 입과 마음으로 짓는 그릇된 행위와 말과 생각. 나쁜 과보를 받을 그릇된 행위와 말과 생각."
  7. 佛門網, "三惡行". 2013년 6월 3일에 확인
    "三惡行:
    出處: 漢譯阿含經辭典,莊春江編(1.4版)
    解釋:
    由身(肢體)口(言語)意(念)三者所造的惡行。
    出處: 佛光電子大辭典
    解釋:
    梵語 trīni duścaritāni,巴利語 tīni duccaritāni。指一切不善之身、語、意三業,為「三妙行」之對稱。即:(一)身惡行,亙通加行、根本、後起及其餘一切不善之身業。(二)語惡行,亙通加行、根本、後起及其餘一切不善之語業。(三)意惡行,即一切不善之思,如貪、瞋、邪見等。〔長阿含經卷八、集異門足論卷三、順正理論卷四十、俱舍論卷十六〕
    頁數: p625
    出處: 朱芾煌《法相辭典》字庫
    解釋:
    集異門論三卷十二頁云:三惡行者:謂身惡行,語惡行,意惡行。身惡行云何?答:斷生命,不與取,欲邪行。復次斷生命,不與取,非梵行。復次諸所有不善身業,諸所有非理所引身業,諸所有身業能障礙定,總名身惡行。語惡行云何?答:虛誑語,離間語,麤惡語,雜穢語。復次諸所有不善語業,諸所有非理所引語業,諸所有語業能障礙定,總名語惡行。意惡行云何?答:貪慾、瞋恚、邪見。復次諸所有不善意業,諸所有非理所引意業,諸所有意業能障礙定,總名意惡行。
    二解 大毗婆沙論一百十二卷一頁云:三惡行者:謂身惡行,語惡行,意惡行。云何身等惡行?如世尊說:何者身惡行?謂斷生命,不與取,欲邪行。何者語惡行?謂虛誑語,離間語,麤惡語,雜穢語。何者意惡行?謂貪慾、瞋恚、邪見。應知此中世尊唯說根本業道所攝惡行;不說業道加行後起所攝惡行。此發智論,通說所有不善身業,若是業道所攝,若非業道所攝;如是一切,名身惡行。通說所有不善語業,若是業道所攝,若非業道所攝;如是一切,名語惡行。通說所有不善意業,若是業道所攝,若非業道所攝;如是一切,名意惡行。如此論中,攝諸惡行。集異門論,亦作是說:故彼論言:何者身惡行?謂斷生命,不與取,欲邪行。如是所說,隨順契經。又言:復次斷生命,不與取,非梵行。如是復攝前所不攝於自妻室所起欲行。又言:有餘不善身業。如是復攝所有業道加行後起。又言:有餘諸有非理所引身業。問:何者非理所引身業,前所未攝,今更攝耶?答:前說自性,今說等起。此誰能等起?謂非理作意。復有說者,此是一切有覆無記,及一分無覆無記身業。一切有覆無記身業者:謂初靜慮地諂愛等所起。一分無覆無記身業者:謂應如是去來,如是行住,如是坐臥,如是裁割,如是縫綴,而不如是去來行住乃至縫綴。此等身業,作不應作,不應理故;攝在非理所引品中。由此名身惡行。若作是說;身惡行,則通不善、無記、欲界、色界。然惡行,唯不善,唯欲界。是故前說者好。又彼論言:何者語惡行?謂虛誑語,離間語,麤惡語,雜穢語。如是所說,隨順契經。又言:有餘不善語業。如是復攝所有業道加行後起。又言:有餘諸有非理所引語業。問:何者非理所引語業,前所未攝,今更攝耶?答:前說自性;今說等起。此誰所等起?謂非理作意。復有說者,此是一切有覆無記,及一分無覆無記語業。一切有覆無記語業者:謂初靜慮地諂愛等所起。一分無覆無記語業者:謂應說一言、二言、多言、男言、女言、非男女言,去來今言,而不如是說一乃至去來今言。此等語業,說不應說,不應理故;攝在非理所引品中。由此名語惡行。若作是說;語惡行,則通不善,無記、欲界、色界。然惡行、唯不善、唯欲界。是故前說者好。又彼論言:何者意惡行?謂貪慾、瞋恚、邪見。如是所說,隨順契經。又言:有餘不善意業。如是復攝諸不善思。又言:有餘諸有非理所引意業。問:何者非理所引意業,前所未攝,今更攝耶?答:前說自性;今說等起。此誰所等起?謂非理作意。復有說者,。此是一切有覆無記,及一分無覆無記意業;名非理所引意業。一切有覆無記非理所引意業者:謂欲界薩迦耶見邊執見相應意業,及色無色界一切煩惱相應意業。一分無覆無記非理所引意業者:謂諸意業起,如前說無覆無記非理所引身業語業。若作是說,意惡行,則通不善,及以無記。又通三界。然惡行,唯不善,唯欲界。是故前說者好。如發智論,集異門論,攝身惡行,及語惡行;施設論中,所說亦爾。唯除意惡行,別有所攝。故彼論言:問:為身三惡行,攝一切身惡行?為一切身惡行,攝身三惡行耶?答:一切攝三;非三攝一切。不攝者何?謂非斷命,以手杖等,捶擊有情;及非邪行,於所應行,作不淨行;起飲酒等諸放逸業。由不正知失念受用諸飲食等,及不能避諸犯戒者,諸如是等所起身業,非三所攝。問:諸犯戒者無量;云何能避?雖復捨此;還近彼故。答:所在皆有,欲離實難。能不隨染,是為真避。故有說言:身雖在遠;而隨彼習,即名親近。身雖在近;不隨彼習,即名遠離。問:為語四惡行,攝一切語惡行?為一切語惡行,攝語四惡行耶?答:一切攝四;非四攝一切。不攝者何?謂如有一,獨處空閑,作如是說:無有惠施,無有親愛,無有祠祀。如是等語惡行,世間有情,不生領解;非四所攝。問:為意三惡行,攝一切意惡行?為一切意惡行,攝意三惡行耶?答:一切攝三;非三攝一切。不攝者何?謂貪慾瞋恚邪見俱生受想行識,非三所攝。彼論中意惡行,攝四蘊自性。如是施設五蘊自性,為諸惡行。問:此發智論,集異門論,與佛契經及施設論,攝諸惡行,何故不同?答:依二種門,說諸惡行。一、依世俗。二、依勝義。謂佛契經及施設論,依世俗門,說諸惡行。此發智論,集異門論,依勝義門,說諸惡行。如依世俗勝義分別,如是依不了義、了義,有別意趣,無別意趣,有別因緣,無別因緣,世俗諦現觀,勝義諦現觀等,應知亦爾。復有說者,由三緣故,所攝不同。謂自性故,相雜故,世譏嫌故。此發智論集異門論,說其自性。施設論中,說其相雜。若法、雖非惡行自性;而與惡行相和雜故;亦得其名。於契經中,說世譏嫌。以諸世間,於根本業道,多生譏嫌;非於業道加行後起。由此緣故;攝諸惡行,經論不同。如是名為惡行自性。已說自性;所以今當說。問:何故名惡行?惡行有何義?答:可厭毀故名惡。遊履依處故名行。可厭毀故名惡者:如有說言:惡妻子、惡衣食、惡人、惡處、惡往來等。遊履依處故名惡行者:謂斷生命,麤惡語、及瞋恚,行有情處。不與取、欲邪行,及貪慾,行資具處。虛誑語,離間語,雜穢語,行於名處。邪見、行名色處。復有說者,感苦受果故名惡。動轉捷利故名行。問:沈溺諸惡,云何捷利?答:彼惡行者,有如是巧便;雖行惡行;而令世間不知其惡。故名捷利。復有說者,習近惡人故,能招惡趣故,名惡行。復有說者,有三因緣,故名惡行。謂惡思所思故,惡說所說故,惡作所作故。惡思所思,謂意惡行。惡說所說,謂語惡行。惡作所作,謂身惡行。復有說者,有三因緣,故名惡行。謂惡作義故,可厭毀故,決定能感非愛果故。惡作義者:行身語意諸惡行故,名為惡行。可厭毀者:謂行惡行,毀犯尸羅,常為諸天、大師、有智、同梵行者,共所厭毀。決定能感非愛果者:謂諸所有身語意惡行,無處無容能感可愛果;有處有容感非愛果。集異門論,亦作是說。有何因緣,名為惡行?謂彼能感非愛樂,非適悅,不可意果。此顯等流果。復言能感非愛樂,非適悅,不可意異熟。此顯異熟果。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trīṇi duścaritāni, duścaritaṃ trayam, mano-duścaritaṃ tridhā
    頁數: p6"
  8. 星雲, "三妙行". 2013년 6월 3일에 확인
    "三妙行:   梵語 trīni sucaritāni,巴利語 tīni sucaritāni。又作三清淨。為「三惡行」之對稱。指三種智者所愛樂,能招可愛之果之行。(一)身妙行(梵 kāya-sucarita),指亙一切加行、根本、後起等一切善之身業。(二)語妙行(梵 vāksucarita),亦為亙一切加行、根本、後起等一切善之語業。(三)意妙行(梵 manah-sucarita),一切善思,亦即無貪、無瞋、正見等三種意業。
     三妙行與善業道有所別,即業道乃唯以粗品之根本為其性,不攝其餘之善;妙行則含攝一切之善。又說一切有部主張意業以思為體,謂思與無貪等各有別體,故立意業及非業之無貪、無瞋、正見等為意妙行。經量部則主張無貪等離思即無別體,故即是意業,在意業之外,不立無貪等為意妙行。此外,大毘婆沙論卷十七以諸身妙行即身清淨,諸語妙行即語清淨,諸意妙行即意清淨,而稱三妙行為三清淨。〔雜阿含經卷十一、集異門足論卷三、大毘婆沙論卷一一二、阿毘達磨順正理論卷四十一〕 p553"
  9. 운허, "惡(악)". 2012년 9월 2일에 확인
    "惡(악):
    [1] 【범】 a [앟] (또는 痾ㆍ噁) 실담 12운(韻)의 하나. 50자문의 하나. 이것은 아음(阿音)에서 달라진 소리. 점 없는 (아) 자의 곁에 열반점 : (데바나가리에서는 :을 Visarga라고 함. 세상의 장해를 없애는 뜻. 또 해탈 등의 뜻이 있는 데서 해석하는 말인 듯)을 덧붙인 것. 『문수문경(文殊問經)』에는 악자를 말할 때 침몰의 소리라 하고, 『금강정경(金剛頂經)』에 “악자문(惡字門), 일체법원리불가득고(一切法遠離不可得故)”라 한 것은 이러한 뜻에서 전석(轉釋)한 것.
    [2] akuśala 3성(性)의 하나. 불선(不善)이라고도 함. 현세나 내세에 자기나 남에게 대하여 좋지 아니한 결과를 가져올 성질을 가진 바탕."
  10. 미륵 조, 현장 한역 & T.1579, 제8권. p. T30n1579_p0314b20 - T30n1579_p0314b23. 번뇌(煩惱)의 차별(差別)
    "煩惱差別者。多種差別應知。謂結。縛。隨眠。隨煩惱。纏。暴流。軛。取。繫。蓋。株杌。垢。常害。箭。所有。根。惡行。漏。匱。燒。惱。有諍。火。熾然。稠林。拘礙。如是等類煩惱差別當知。"
  11.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 K.614, T.1579, 제8권. pp. 220-221 / 829. 번뇌(煩惱)의 차별(差別)
    "번뇌(煩惱)의 차별(差別)31)이란 여러 가지 차별(差別)이 있는 줄 알아야만 한다. 말하자면 결(結) 박(縛) 수면(隨眠) 수번뇌(隨煩惱) 전(纏) 폭류(暴流) 액(軛) 취(取) 계(繫) 개(蓋) 주올(株杌) 구(垢) 상해(常害) 전(箭) 소유(所有) 근(根) 악행(惡行) 루(漏) 궤(匱) 소(燒) 뇌(惱) 유쟁(有諍) 화(火) 치연(熾然) 조림(稠林) 구애(拘礙)이다.
    위와 같은 등의 종류가 번뇌의 차별(差別)인 줄 알아야 한다.
    31) 번뇌잡염(煩惱雜染)의 아홉 가지 부분의 여덟 번째로 번뇌(煩惱)의 차별(差別)에 대해서 기술한다."
  12. 미륵 조, 현장 한역 & T.1579, 제8권. p. T30n1579_p0314c04 - T30n1579_p0314c05. 악행(惡行)
    "邪行自性故名惡行。"
  13.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 K.614, T.1579, 제8권. p. 221 / 829. 악행(惡行)
    "사행(邪行)이 자성(自性)이기 때문에 악행(惡行)이라고 이름하는 것이며"
  14. 미륵 조, 현장 한역 & T.1579, 제8권. p. T30n1579_p0314c11 - T30n1579_p0315a01. 번뇌문(煩惱門)의 차별: 악행(惡行)과 3악행(三惡行)
    "諸如是等煩惱差別。佛薄伽梵隨所增強。於彼種種煩惱門中。建立差別。結者九結。謂愛結等。廣說如前。縛者三縛。謂貪瞋癡。隨眠者七種隨眠。謂欲貪隨眠等。廣說如前。隨煩惱者。三隨煩惱。謂貪瞋癡。纏者八纏。謂無慚無愧。惛沈睡眠。掉舉惡作。嫉妒慳吝暴流者四暴流。謂欲暴流。有暴流。見暴流。無明暴流。如暴流軛亦爾。取者四取。謂欲取。見取。戒禁取。我語取。繫者四繫謂貪身繫。瞋身繫。戒禁取身繫。此實執取身繫。蓋者五蓋。謂貪欲蓋。瞋恚蓋。惛沈睡眠蓋。掉舉惡作蓋。疑蓋。株杌三株杌。謂貪瞋癡。如株杌如是垢常害箭。所有惡行亦爾。根者三不善根。謂貪不善根。瞋不善根。癡不善根。漏者三漏。謂欲漏有漏無明漏。匱者三匱。謂貪瞋癡。如匱如是燒惱有諍。火熾然稠林亦爾拘礙者有五拘礙。一顧戀其身。二顧戀諸欲。三樂相雜住。四闕隨順教。五得微少善便生喜足。"
  15.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 K.614, T.1579, 제8권. pp. 222-223 / 829. 번뇌문(煩惱門)의 차별: 악행(惡行)과 3악행(三惡行)
    "위와 같은 등의 번뇌의 차별(差別)에 대해서 불(佛) 박가범(薄伽梵)께서는 더욱 강한 것[增强]에 따라 그 갖가지 번뇌문(煩惱門)에서 차별을 건립하신 것이다.
    결(結)이란 9결(結)로서 애결(愛結) 등을 말하며, 자세한 설명은 앞의 내용과 같다. 박(縛)이란 3박(縛)으로서 탐(貪) 진(瞋) 치(癡)를 말한다. 수면(隨眠)이란 7수면(隨眠)으로서 욕탐수면(欲貪隨眠) 등을 말하며 자세한 설명은 앞의 내용과 같다. 수번뇌(隨煩惱)란 3수번뇌로서 탐(貪) 진(瞋) 치(癡)를 말한다. 전(纏)이란 8전(纏)으로서 무참(無慚) 무괴(無愧) 혼침(惛沈) 수면(睡眠) 도거(掉擧) 악작(惡作) 질투(嫉妬) 간린(慳悋)을 말한다. 폭류(暴流)란 4폭류(暴流)로서 욕폭류(欲暴流) 유폭류(有暴流) 견폭류(見暴流) 무명폭류(無明暴流)를 말한다. 폭류와 같이 액(軛) 또한 그러하다.
    취(取)란 4취(取)로서 욕취(欲取) 견취(見取) 계금취(戒禁取) 아어취(我語取)를 말한다. 계(繫)란 4계(繫)로서 탐신계(貪身繫) 진신계(瞋身繫) 계금취신계(戒禁取身繫) 이것을 진실이라고 집착하여 취하는 신계[此實執取身繫]를 말한다. 개(蓋)란 5개(蓋)로서 탐욕개(貪慾蓋) 진에개(瞋恚蓋) 혼침수면개(惛沈睡眠蓋) 도거악작개(掉擧惡作蓋) 의개(疑蓋)를 말한다. 주올(株杌)이란 3주올(株杌)로서 탐(貪) 진(瞋) 치(癡)를 말한다. 주올(株杌)이 이와 같듯이 구(垢) 상해(常害) 전(箭) 소유(所有) 악행(惡行) 또한 그러하다.
    근(根)이란 3불선근(不善根)으로서 탐불선근(貪不善根) 진불선근(瞋不善根) 치불선근(癡不善根)을 말한다. 루(漏)란 3루(漏)로서 욕루(欲漏) 유루(有漏) 무명루(無明漏)를 말한다. 궤(匱)란 3궤(匱)로서 탐(貪) 진(瞋) 치(癡)를 말한다. 궤(匱)가 이와 같듯이 소(燒) 뇌(惱) 유쟁(有諍) 화(火) 치연(熾然) 조림(稠林) 또한 그러하다.
    구애(拘礙)란, 즉 5구애(拘礙)로서 첫째는 그 몸을 연연해[顧戀] 하는 것이요, 둘째는 여러 가지 욕구들을 연연해하는 것이요, 셋째는 즐겨 서로 섞여 머무르는 것이요, 넷째는 가르침[敎]에 수순하는 것이 없는 것이요, 다섯째는 조그마한 선(善)을 얻고도 곧 만족하게 기뻐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