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시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단위

광역시(廣域市, 영어: Metropolitan city)는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이다.

원래는 직할시였으나 지방자치법에 의해 1995년에 현재와 같이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5년 광역시 체제 출범 당시에는 기존의 직할시였던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만이 있었으나 1997년경상남도 울산시가 광역시로 승격하여 현재는 총 6곳이 되었다.

산하 행정 구역으로 기초지방자치단체자치구을 둘 수 있다. 현재는 6개의 광역시(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중에 부산광역시대구광역시인천광역시울산광역시에는 산하의 군이 있고 광주광역시대전광역시에는 산하의 군이 없다.

설립 근거

편집

광역시 목록

편집
광역시 행정구역 승격일 인구 면적 비고
부산광역시 15구 1군[2] 1963년 1월 1일[3] 3,305,052명 769.89km2
대구광역시 7구 2군[4] 1981년 7월 1일[3] 2,379,086명 1,499.51km2
인천광역시 8구 2군[5] 1981년 7월 1일[3] 2,981,553명 1,062.60km2
광주광역시 5구[6] 1986년 11월 1일[3] 1,424,305명 501.24km2
대전광역시 5구[7] 1989년 1월 1일[3] 1,444,305명 539.35km2
울산광역시 4구 1군[8] 1997년 7월 15일 1,105,326명 1,060.79km2

지정

편집

광역시의 경우 기존의 직할시가 그대로 유지된 채 광역시로 지정되거나 승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웃에 있는 시, 군을 통합하기도 한다. 이는 옛 직할시 또한 마찬가지였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제2조(지방자치단체의 종류) ① 지방자치단체는 다음의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한다.
    1.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 도, 특별자치도
    2. 시, 군, 구
  2. 중구, 서구, 동구, 영도구, 부산진구, 동래구, 남구, 북구, 강서구, 해운대구, 사하구, 금정구, 연제구, 수영구, 사상구, 기장군
  3. 직할시 승격 기준.
  4. 중구, 동구, 서구, 남구, 북구, 수성구, 달서구, 달성군, 군위군
  5. 중구, 동구, 미추홀구,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계양구, 서구, 강화군, 옹진군
  6. 동구, 서구, 남구, 북구, 광산구
  7. 동구, 중구, 서구, 유성구, 대덕구
  8. 중구, 남구, 동구, 북구, 울주군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