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황제숙종/연습장


역 표시 연습

편집
청담 ↑
| |
↓ 학동
↑ 압구정로데오
| |
선정릉 ↓
7호선●분당선 강남구청역 승강장
승강장 노선 행선지
7호선승강장
상행 서울 지하철 7호선 건대입구·노원·도봉산·장암 방면
하행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이수·대림·온수·부평구청 방면
분당선승강장
1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선릉·죽전·망포 방면
2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압구정로데오·서울숲·왕십리 방면


대공원·산본·안산·오이도 방면


승강장

편집
↑ 종각
| |
서울역↓
을지로입구 ↑
| 외내 |
↓ 충정로
1호선승강장
상행 수도권 전철 1호선 청량리·창동·의정부·소요산 방면
하행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구로·인천·병점·서동탄·천안·신창 방면
2호선승강장
내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왕십리·성수·건대입구·잠실 방면
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당산·신도림·대림 방면


=== 민자역사 ===

개요

편집

민자역사는 철도역을 신축하고 운영되는 데 소요되는 세금을 절감하면서, 동시에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는 의의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1982년 당시 철도청에서는 세금을 절감하는 목적 등으로 국유재산법을 개정하는 등의 규정 마련을 통해 민자역사를 전국 주요 역사에서 유치했다.[1] 민자역사는 1986년 서울특별시 영등포역 부지에 민자역사를 설립하는 '롯데역사 주식회사'가 설립되어,[2] 1987년 개장하여 부지와 건물은 국가가 소유하되 운영권을 민간 기업이 소유하는 형태로 가동되기 시작했다.[3] 이어 서울역에서도 서울 올림픽 유치 등을 이유로 민자역사가 1988년 개장해, 대한민국에서의 민자역사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대한민국의 사례

편집

한국철도공사

편집

공사 중

편집
  • 광운대역 (계획 중이다.)
  • 노량진역 (공사 중이었으나 민자역사 측과 한국철도공사의 계약이 파기되면서 무산되었다.)
  • 창동역 (공사 도중 시행사 부도 등으로 중단된 상태이다가 현대아이파크 건설사로 선정되었지만 철회로 다시 중단되었다.)
  • 천안역 (노량진역과 비슷한 이유로 인해 임시역사를 사용하고 있다.)
  1. “民資유치 驛舍확충 鐵道廳검토”. 《동아일보》. 1982.02.04. 2019년 9월 30일에 확인함. 
  2. “영등포 民資驛舍 12월착공”. 《매일경제》. 1986.09.16. 2019년 9월 30일에 확인함. 
  3. 이, 헌일 (2019년 8월 21일). “국내 첫 민자역사 영등포역 '공공성 회복' 아이디어 공모”. 《뉴스1》. 2019년 9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