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역과 중랑구 신내역을 잇는 서울교통공사의 도시 철도 노선
(서울 도시철도 6호선에서 넘어옴)


서울 지하철 6호선(서울地下鐵六號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도시 철도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운행 계통이다.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노선색은 황토색이다. 전 구간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서울 지하철 6호선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도시 철도
체계수도권 전철(서울 지하철)
상태영업 중
기점응암역
(서울특별시 은평구)
종점신내역
(서울특별시 중랑구)
역 수39
개통일2000년 8월 7일(상월곡~봉화산)
2000년 12월 15일(응암~상월곡)
2019년 12월 21일(봉화산~신내)
소유자서울특별시
운영자서울교통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36.4 km
봉화산~독바위~봉화산(전구간) 63.9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응암 - 봉화산)
1(응암 - 독바위 - 응암, 신내)
전철화가공강체가선
직류 1,500 V
신호 방식ATC/ATO [수동운전.자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ATC/ATO 구간 80km/h
서울 지하철 6호선 (응암순환-신내)
2.8
613 독바위
1.9
612 불광
4.2
614 연신내
1.1
611 역촌
5.1
615 구산
0.0
6.6
610 응암 (불광천)
7.5
616 새절
8.4
617 증산
경의선
8.4
618 디지털미디어시티 경의·중앙선
10.3
619 월드컵경기장
11.1
620 마포구청
12.1
621 망원
12.9
622 합정
13.7
623 상수
14.6
624 광흥창
15.6
625 대흥
16.5
626 공덕 경의·중앙선
17.4
627 효창공원앞 경의·중앙선
18.6
628 삼각지
19.7
629 녹사평
20.5
630 이태원
21.5
631 한강진
22.5
632 버티고개
23.2
633 약수
24.0
634 청구
24.7
635 신당
25.3
636 동묘앞
26.2
637 창신
27.0
638 보문 우이신설선
27.9
639 안암
28.7
640 고려대
30.1
641 월곡
30.9
642 상월곡
31.7
643 돌곶이
25.3
636 석계
24.7
635 태릉입구
연결선
34.4
646 화랑대
35.1
647 봉화산
경춘선
36.4
648 신내 경춘선

연혁

편집

개요

편집

노선

편집

서울특별시 은평구중랑구 간을 마포구를 경유하여 한강 이북 지역을 동서로 연결하는 노선으로, 노선의 일부가 순환선의 형태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응암 순환선) 2002 한일 월드컵을 대비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대흥역부터 삼각지역까지 구간은 용산선과 경로가 다소 중복되며, 월곡역부터 봉화산역까지 구간은 북부간선도로를 따라 이어진다. 6호선은 한강을 건너지는 않으나 서울 서북부와 동북부를 연결하고, 도심을 통과하는 모든 노선과 환승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시내 각 지역으로의 접근도를 향상시키고 도심교통수요를 외곽으로 분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6호선의 개통으로 서울 지하철은 거미줄 형태의 방사형 전철망이 완성됨으로써 도심부도심이 직접 연결되었다. 6호선 역시 5호선과 마찬가지로 차량기지를 제외하면 전 구간이 지하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러나 경춘선과의 환승역인 신내역이 유일하게 지상으로 건설되면서 지상 구간이 생기게 되었다.

열차 운행

편집

응암순환행, 봉화산행, 신내행 등이 주로 운행된다. 봉화산역신내역에서 출발하여 응암역으로 가는 열차는 ‘응암순환’이라는 행선지를 사용하며, 응암역에 도착하면 열차 번호와 함께 행선지를 ‘봉화산’과 ‘신내’로 변경하고 응암 순환 구간을 따라 응암역촌불광독바위연신내구산응암 순으로 편도 운행을 한 뒤 응암역으로 돌아와 봉화산역부터 신내역까지 운행한다.

차량

편집

경정비는 신내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는 7호선도봉차량사업소에서 진행한다. 현재 6000호대 전동차는 41개 편성, 640~641편성 등이 7호선으로 차출된 관계로 39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운임

편집

수도권 전철에 속한 다른 노선들과 같은 운임 체계를 사용하며, 환승 통로를 이용하여 수도권 전철에 속하는 다른 노선으로 갈아탈 때 별도로 추가되는 요금은 없다. 승차할 때는 자동 발매기에서 구입한 승차권, 교통카드 (티머니 등), 교통 카드의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일부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도권 전철 내의 다른 역에서 발매된 승차권이라도 역시 사용할 수 있다.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의 적용을 받으며,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등 버스에서 갈아탈 때는 기본 운임이 면제 또는 할인된다.

연결 선로

편집

신내차량사업소로 1차 차량을 입고할 때, 신내차량사업소의 동쪽(구리시 구 57사단 방향)을 지나는 중앙선으로부터 연결선로를 가설할 예정이었으나 시공사였던 동성종합건설의 부도로 인해 착수하지 못하였다.[1] 차량의 반입과 차량의 중정비 시 이동은 6호선의 태릉입구역 ~ 화랑대역 사이에서 7호선태릉입구역 ~ 먹골역 사이로 이어지도록 설치된 연결선로를 통해 이뤄진다.

사건사고 및 논란

편집

초기 개통 지연

편집

1998년 5월 태릉입구역 환승통로 공사 중 인근의 중랑천이 범람하면서 개통이 지연되었다.

마포구청역 선로점거 시위

편집

2000년 12월 개통 당시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동 주민 30명이 6호선 공사로 인해 주택내 균열과 소음피해를 호소하며 마포구청역 선로를 점거하였으며, 경찰에 의해 해산될 때까지 6호선 열차운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2]

이태원역 ~ 약수역 무정차 통과

편집

2000년 12월 15일 개통 당시 이태원역, 한강진역, 버티고개역, 약수역 등의 시공사였던 신화건설이 최종 부도 처리되면서 완공이 지연되어 2001년 3월 8일까지 약 4개월 동안 무정차로 통과한 바 있다.

신당역 환승통로 연결

편집

신당역은 6호선 개통 당시 2호선과 6호선 역사 모두 정상 영업을 하였으나 환승통로가 완공되지 않아 2001년 8월 2일까지 환승이 불가능하였다. 이로 인해 환승통로 완공 전까지 2호선에서 6호선으로 환승하려면 왕십리역에서 5호선으로 환승하여 청구역을 경유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같은 성격의 2·6호선 합정역2000년 12월 6호선 개통일 당시 정상적으로 환승이 이루어졌다.)

수도권 전철 1호선과의 연계성 문제

편집

6호선은 사실상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궤도와 총 3곳에서 만나나 환승역 건설이 확실시된 곳은 경원선 석계역 뿐이어서 1호선과의 연계성 문제가 대두되었다. 동대문역과 6호선 동묘앞역 사이에 환승통로를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하였으나 환승 통로가 너무 지나치게 길어진다는 문제점으로 백지화되었으며, 이후 1호선 동대문역 ~ 신설동역 간에 동묘앞역을 신설하여 2005년부터 환승이 가능해졌다. 경부선 남영역 ~ 용산역 구간 사이와 4호선 삼각지역 ~ 숙대입구역 구간 사이에 정거장을 건설하여 환승 체계를 구축하는 계획도 있었으나 새로운 정거장을 건설할 경우 두 노선 모두 역간 거리가 300m 이내로 매우 짧아지는 문제로 인해 백지화되었다.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의 연계성 문제

편집

2013년 12월 28일에 개통된 경춘선 신내역 인근에 신내차량기지가 위치하나 설계를 단선으로 할 것인지 복선으로 할 것인지 결정을 못하였으나 결국 단선으로 착공되는 것으로 결정되어 2019년 2월 20일에 착공하여 같은 해 12월 21일에 6호선 신내역이 개통되었다.

급행 열차 운행 문제

편집

2015년 6월부터 검토하던 사안이었으나 대피선 용량이 충분하지 못한 이유로 잠정 중단되어 있다. 도시철도와 광역철도 급행 운행을 늘리는 것이 문재인 대통령 공약이었기 때문에[3] 다시 용역을 추진하고 있다. 연신내, 응암, 디지털미디어시티, 합정, 공덕, 이태원, 신당, 안암, 석계 등 주요 17개역에 정차하며, 전구간 운행시간이 69분에서 53분으로 16분 단축된다. 완급결합이 예상되는 구간은 독바위, 응암 ~ 새절, 대흥 ~ 공덕, 한강진~버티고개, 상월곡 등이다. 원활한 운행이 되기 위해선 새절역공덕역에 추가 대피선을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비용 지원 문제가 여전히 이슈로 남아 있다.[4]

역 목록

편집

번호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한글 로마자 한자
610 응암 Eungam 鷹岩 - 0.0 서울특별시 은평구
611 역촌 Yeokchon 驛村 1.1 1.1
612 불광 Bulgwang 佛光 수도권 전철 3호선 0.8 1.9
613 독바위 Dokbawi 0.9 2.8
614 연신내 Yeonsinnae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A노선
1.4 4.2
615 구산 Gusan 龜山 0.9 5.1
610 응암[5] Eungam 鷹岩 1.5 6.6
616 새절(신사) Saejeol(Sinsa) 새절(新寺) 0.9 7.5
617 증산(명지대앞) Jeungsan(Myongji Univ.) 繒山(明知大앞) 0.9 8.4
618 디지털미디어시티 Digital Media City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1.1 9.5
619 월드컵경기장(성산) World Cup Stadium(Seongsan) 월드컵競技場(城山) 0.8 10.3 마포구
620 마포구청 Mapo-gu Office 麻浦區廳 0.8 11.1
621 망원 Mangwon 望遠 1.0 12.1
622 합정(세아타워) Hapjeong(SeAH Tower) 合井 서울 지하철 2호선 0.8 12.9
623 상수 Sangsu 上水 0.8 13.7
624 광흥창(서강) Gwangheungchang(Seogang) 廣興倉(西江) 0.9 14.6
625 대흥(서강대앞) Daeheung(Sogang Univ.) 大興(西江大앞) 1.0 15.6
626 공덕 Gongdeok 孔德 수도권 전철 5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0.9 16.5
627 효창공원앞 Hyochang Park 孝昌公園앞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0.9 17.4 용산구
628 삼각지 Samgakji 三角地 수도권 전철 4호선 1.2 18.6
629 녹사평(용산구청) Noksapyeong(Yongsan-gu Office) 綠莎坪(龍山區廳) 1.1 19.7
630 이태원 Itaewon 梨泰院 0.8 20.5
631 한강진 Hangangjin 漢江鎭 1.0 21.5
632 버티고개 Beotigogae 1.0 22.5 중구
633 약수 Yaksu 藥水 수도권 전철 3호선 0.7 23.2
634 청구 Cheonggu 靑丘 수도권 전철 5호선 0.8 24.0
635 신당 Sindang 新堂 서울 지하철 2호선 0.7 24.7
636 동묘앞 Dongmyo 東廟앞 수도권 전철 1호선 0.6 25.3 종로구
637 창신 Changsin 昌信 0.9 26.2
638 보문 Bomun 普門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0.8 27.0 성북구
639 안암(고대병원앞) Anam(Korea Univ. Hospital) 安岩(高大病院앞) 0.9 27.9
640 고려대(종암) Korea Univ.(Jongam) 高麗大(鐘岩) 0.8 28.7
641 월곡(동덕여대) Wolgok(Dongduk Women's Univ.) 月谷(同德女大) 1.4 30.1
642 상월곡(한국과학기술연구원) Sangwolgok(KIST) 上月谷(韓國科學技術硏究院) 0.8 30.9
643 돌곶이 Dolgoji 0.8 31.7
644 석계 Seokgye 石溪 수도권 전철 1호선 1.0 32.7 노원구
645 태릉입구 Taereung 泰陵入口 서울 지하철 7호선 0.8 33.5
646 화랑대(서울여대입구) Hwarangdae(Seoul Women's Univ.) 花郞臺(서울女大入口) 0.9 34.4
647 봉화산(서울의료원) Bonghwasan(Seoul Medical Center) 烽火山(서울醫療院) 0.7 35.1 중랑구
648 신내 Sinnae 新內 수도권 전철 경춘선 1.3 36.4

이용객 변동

편집
구분 일평균 인원수 (명/일) 각주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승차 111,703 197,133 246,803 269,619 285,869 290,301 296,207 297,146 302,592 309,171 [6]
하차 100,055 183,775 231,818 255,371 270,957 278,410 283,283 284,303 290,578 298,478
승하차 211,758 380,908 478,621 524,991 556,825 568,711 579,490 581,449 593,170 607,649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승차 332,346 339,843 335,688 343,743 352,399 352,490 353,616 354,607 355,904 357,808
하차 320,088 329,136 327,541 336,165 346,637 346,716 347,847 349,615 350,351 352,287
승하차 652,435 668,979 663,229 679,908 699,036 699,206 701,463 704,222 706,255 710,095
구분 2020년
승차 260,338
하차 255,801
승하차 515,839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서울특별시 (2002). 《서울지하철6호선건설지 (하권)》. 서울: 서울특별시지하철건설본부. 916쪽. 
  2. 지하철 6호선 개통 첫날, 개운찮은 개통 MBC뉴스 2000.12.15
  3. “文, 교통 공약 발표 "지하철 6호선·분당선 등에 급행선 도입". 
  4. “중단됐던 서울 '지하철 6호선 급행화' 9개월만에 재검토”. 
  5. 응암 순환 구간을 거친 후 이 역에 다시 정차한 다음에 지나간다.
  6. 서울교통공사 > 알림마당 > 자료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