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성공신
호성공신(扈聖功臣)은 1592년 임진왜란 때 선조를 의주로 모시고 피난한 공신들의 공로에 대한 공신록이다. 1604년 선조 37년 6월 25일 한양에서부터 의주(義州)까지 시종 어가(御駕)를 모신 사람을 호성공신(扈聖功臣)으로 삼고, 왜적을 정벌한 제장(諸將)들과 군량을 주청하러 간 사신들을 선무공신으로 삼았다.[1] 그밖에 왕이 평양을 거쳐 의주로 몽양가는데 수종한 사람들은 호성원종공신으로 봉했다. 호종공신(扈從功臣)으로도 불리는 호성공신은 1등, 2등, 3등이 있으며, 각각 다음과 같다.
공신록편집
1등공신편집
2등공신편집
- 신성군(信城君, 전주)
- 이후(李珝, 전주)
- 정원군(定遠君, 전주) 원종
- 이원익(李元翼, 전주)
- 윤두수(尹斗壽, 해평)
- 심우승(沈友勝, 청송)
- 이호민(李好閔, 연안)
- 윤근수(尹根壽, 해평)
- 류성룡(柳成龍, 풍산)
- 김응남(金應南, 원주)
- 이산보(李山甫, 한산)
- 류근(柳根, 진주)
- 이충원(李忠元, 전주)
- 홍진(洪進, 남양)
- 이괵(李)
- 유영경(柳永慶, 전주)
- 이유징(李幼澄, 전주)
- 박동량(朴東亮, 반남)
- 심대(沈岱, 청송)
- 박숭원(朴崇元, 밀양)
- 정희번(鄭姬藩, 온양)
- 이광정(李光庭, 연안)
- 최흥원(崔興源, 삭녕)
- 심충겸(沈忠謙, 청송)
- 윤자신(尹自新, 남원)
- 한연(韓淵, 청주(한씨))
- 해풍군(海豊君, 전주)
- 이기(李耆)
- 순의군(順義君)
- 이경온(李景溫, 전주)
- 순령군(順寧君, 전주)
- 이경검(李景儉, 전주)
- 신잡(申磼, 평산)
- 안황(安滉, 광주)
- 구성(具宬, 능성)
3등공신편집
- 정탁(鄭琢, 청주)
- 이헌국(李憲國, 전주)
- 류희림(柳希霖, 문화)
- 이유중(李有中, 덕수)
- 임발영(任發英, 장흥)
- 기효복(奇孝福, 행주)
- 최응숙(崔應淑)
- 최빈(崔賓)
- 여정방(呂定邦)
- 이응순(李應順, 원주)
- 절신정(節愼正)
- 이수곤(李壽崐)
- 송강(宋康)
- 고희(高曦, 제주)
- 강인(姜絪, 진주)
- 김기문(金起文, 삼척)
- 최언순(崔彦恂)·민희건(閔希鶱)·허준(許浚, 양천)·
- 이연록(李延祿)·김응수(金應壽)·오치운(吳致雲)·김봉(金鳳)
- 김양보(金良輔)·안언봉(安彦鳳)·박충경(朴忠敬)·임우(林祐)·김응창(金應昌), 정한기(鄭漢璣)·박춘성(朴春成)·김예정(金禮禎)·김수원(金秀源)·신응서(申應瑞)·신대용(辛大容)·김새신(金璽信)·조귀수(趙龜壽)·이공기(李公沂)·양자검(梁子儉)·백응범(白應範)·최윤영(崔潤榮)·김준영(金俊榮)·정대길(鄭大吉)·김계한(金繼韓)·박몽주(朴夢周)·이사공(李士恭)·유조생(柳肇生)·양순민(楊舜民)·경종지(慶宗智)·최세준(崔世俊)·홍혼(洪渾)·이춘국(李春國)·전용(全龍)·이희령(李希齡)·오연(吳連)
같이 보기편집
문화재 지정편집
- 유성룡 종가 문적 - 유성룡 호성공신교서 - 보물 제160-11호
- 이충원 호성공신교서 - 보물 제874호
- 심대 호성공신교서 - 보물 제1175호
- 홍진 호성공신교서 - 보물 제1308호
- 이헌국 호성공신교서 - 보물 제1617호
- 김응남 호성공신교서 및 관련 고문서 - 보물 제1756호
- 김양보호성공신록 - 서울특별시 시도유형문화재 제87호
- 박숭원 호성공신교서 -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재 제166호
- 박동량 호성공신교서 - 경기도 시도유형문화재 제250호
- 이성기 호성공신교서 및 초상 -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재 제304호
각주편집
- ↑ 선조수정 37년 (1604년 6월 25일). “공신을 3등급으로 나누어 대대적으로 봉하다”. 조선왕조실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