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의 호국인물
(이달의 호국 인물에서 넘어옴)
이달의 호국인물은 대한민국 전쟁기념관에서 선정하여 발표하는 한국의 호국(護國) 인물 명단이다. 1995년 3월 전쟁기념사업회가 선정한 "이달의 전쟁영웅"으로 시작되었으며, 처음 선정된 인물은 6.25 전쟁 당시 제1군단장을 역임하다 항공 사고로 순직한 김백일이다.[1] 1996년부터 "이달의 호국인물"로 명칭을 바꾸었다. 전쟁기념관에서는 한국의 역사상 국가 수호에 기여한 인물들을 월별로 지정하여 발표하고, 이들의 공훈을 선양하기 위해 추모 행사와 전시회 등의 기념사업을 벌이고 있다. 이와 비슷하게 각 지방보훈청은 "우리 고장 호국인물" 등으로 지역 특수성에 맞춰 자체적으로 개별 선정하기도 한다.
명단
편집이달의 전쟁영웅
편집연도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1995년 | - | - | 김백일 | 임동춘 | 육탄 10용사[2] | 김풍익 | 이근석 | 이인호 | - | 백마고지 육탄 3용사[3] | 이상수 | 이태영 |
이달의 호국인물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김봉선 (1995년 3월 29일). “「이달의 영웅」에 故(고) 金白一(김백일)장군”. 《경향신문》. 2020년 2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이등상사 서부덕, 하사 박창근, 일등병 김종해·박평서·양용순·오제룡·윤승원·윤옥춘·이희복·황금재. 1949년 이등상사 서부덕은 소위, 하사 박창근은 특무상사, 일등병 김종해·박평서·양용순·오제룡·윤승원·윤옥춘·이희복·황금재도 특무상사로 추서되었다. 특무상사는 현재의 원사에 해당하나 9 용사는 일괄적으로 상사 계급으로 예우하고 있다.
- ↑ 가 나 다 소위 강승우, 일등병 안영권·오규봉. 1953년 소위 강승우는 중위, 일등병 안영권·오규봉은 하사로 추서되었다. 추서 당시 하사는 현재의 상등병에 해당하지만, 오늘날 하사 계급으로 예우하고 있다.
- ↑ 가 나 대위 윤영하, 중사 한상국, 하사 조천형·황도현·서후원, 상병 박동혁. 2002년 대위 윤영하는 소령, 중사 한상국은 상사, 하사 조천형·황도현·서후원은 중사, 상병 박동혁은 병장으로 1계급 특진 추서되었다. 하사 조천형은 당시 중사(진)이었으므로 해군참모총장 직권으로 2021년 중사에서 상사로 다시 추서되었다.
- ↑ 중령 이태영, 중령 권순달, 소령 김하근, 중위 안우섭, 중위 박찬익, 준위 천세봉, 상사 하윤만, 상사 백명흠, 상사 최수한, 상사 고재돈, 상사 정상관, 상사 이봉조, 상사 임승두, 중사 강남주, 중사 김인제, 중사 윤종수, 중사 백윤봉, 중사 안복석, 중사 김명철, 하사 박호경, 하사 이태읍, 하사 최준우, 하사 임선웅, 하사 김찬석, 하사 이몽길, 하사 이상조, 하사 신조근, 하사 조명구, 하사 정학상, 하사 오경두, 하사 정태용, 하사 정승면, 하사 이판동, 하사 김성안, 하사 김석준, 하사 김경태, 하사 박근수, 하사 이의수, 하사 김태훈, 하사 김서용, 하사 김영대, 하사 김경옥, 하사 손봉수, 하사 이창용, 하사 이영두, 하사 김정태, 상병 이봉춘, 상병 이귀익, 상병 전기석, 상병 정휘두, 상병 민상기, 상병 박인식, 상병 김옥근, 상병 김희곤, 상병 노동우, 상병 최삼천, 일병 이영복. ※출처: 강릉 통일공원 지리산함 전사자 충혼탑. 전원 1계급씩 특진 추서된 명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