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매끄러운 다양체
M
{\displaystyle M}
리 군
G
{\displaystyle G}
. 그 실수 리 대수 를
l
i
e
(
G
)
{\displaystyle {\mathfrak {lie}}(G)}
라 하자.
매끄러운 주다발
π
:
P
↠
M
{\displaystyle \pi \colon P\twoheadrightarrow M}
P
{\displaystyle P}
위의 주접속의 개념은 여러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주접속은 특정한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리 대수
l
i
e
(
G
)
{\displaystyle {\mathfrak {lie}}(G)}
값의 1차 미분 형식
ω
∈
Ω
1
(
P
;
l
i
e
(
G
)
)
{\displaystyle \omega \in \Omega ^{1}(P;{\mathfrak {lie}}(G))}
으로 정의할 수 있다.
주접속은 특정한 호환 조건을 만족시키는 에레스만 접속
H
⊆
T
P
{\displaystyle H\subseteq \mathrm {T} P}
으로 정의할 수 있다.
주접속은
T
M
{\displaystyle \mathrm {T} M}
위의 특정한 올다발 의 특정한 매끄러운 단면 으로 정의할 수 있다.
주접속은 주다발 의 국소 자명화에 대하여 각 조각 위의
l
i
e
(
G
)
{\displaystyle {\mathfrak {lie}}(G)}
값의 1차 미분 형식 들의 족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정의들은 모두 서로 동치이다.
P
{\displaystyle P}
의 주접속
ω
∈
Ω
1
(
P
;
l
i
e
(
G
)
)
{\displaystyle \omega \in \Omega ^{1}(P;{\mathfrak {lie}}(G))}
는 다음과 같은 두 성질을 만족시키는,
P
{\displaystyle P}
위의
l
i
e
(
G
)
{\displaystyle {\mathfrak {lie}}(G)}
값을 가진 1차 미분 형식 이다.
Ad
(
g
)
(
⋅
g
)
∗
ω
=
ω
∀
g
∈
G
{\displaystyle \operatorname {Ad} (g)(\cdot g)^{*}\omega =\omega \qquad \forall g\in G}
[ 1] :144, §Ⅳ.3, (ω.2)
ω
(
X
ξ
)
=
ξ
∀
ξ
∈
l
i
e
(
G
)
{\displaystyle \omega (X_{\xi })=\xi \qquad \forall \xi \in {\mathfrak {lie}}(G)}
[ 1] :144, §Ⅳ.3, (ω.1)
여기서
(
⋅
g
)
:
P
→
P
{\displaystyle (\cdot g)\colon P\to P}
는 군의 오른쪽 작용 을 나타내는 매끄러운 함수
h
↦
h
⋅
g
{\displaystyle h\mapsto h\cdot g}
이다.
(
⋅
g
)
∗
ω
∈
Ω
1
(
P
;
l
i
e
(
G
)
)
{\displaystyle (\cdot g)^{*}\omega \in \Omega ^{1}(P;{\mathfrak {lie}}(G))}
는 1차 미분 형식
ω
{\displaystyle \omega }
의,
(
⋅
g
)
{\displaystyle (\cdot g)}
에 대한 당김 이다.
Ad
(
g
)
:
l
i
e
(
G
)
→
l
i
e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Ad} (g)\colon {\mathfrak {lie}}(G)\to {\mathfrak {lie}}(G)}
는
g
∈
G
{\displaystyle g\in G}
의 딸림표현 이다.
X
ξ
∈
Γ
(
T
P
)
{\displaystyle X_{\xi }\in \Gamma (\mathrm {T} P)}
는
G
{\displaystyle G}
의,
P
{\displaystyle P}
위의 오른쪽 작용 을 생성하는 벡터장 이다.
P
{\displaystyle P}
의 에레스만 접속
H
⊆
T
P
{\displaystyle H\subseteq \mathrm {T} P}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H
{\displaystyle H}
를 주접속 이라고 한다.
H
p
⋅
g
=
(
T
(
⋅
g
)
)
(
H
p
)
∀
p
∈
P
,
g
∈
G
{\displaystyle H_{p\cdot g}=(\mathrm {T} (\cdot g))(H_{p})\qquad \forall p\in P,\;g\in G}
여기서
(
⋅
g
)
:
:
P
→
P
{\displaystyle (\cdot g)\colon \colon P\to P}
는
g
{\displaystyle g}
의
P
{\displaystyle P}
위의 오른쪽 작용이다.
T
(
⋅
g
)
:
T
P
→
T
P
{\displaystyle \mathrm {T} (\cdot g)\colon \mathrm {T} P\to \mathrm {T} P}
는 위 매끄러운 함수의 미분이다.
미분 형식을 통한 정의에 따른 주접속
ω
∈
Ω
1
(
P
;
l
i
e
(
G
)
)
=
Γ
(
T
∗
P
⊗
l
i
e
(
G
)
)
{\displaystyle \omega \in \Omega ^{1}(P;{\mathfrak {lie}}(G))=\Gamma (\mathrm {T} ^{*}P\otimes {\mathfrak {lie}}(G))}
가 주어졌을 때, 이에 대응하는 에레스만 접속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임의의
m
∈
M
{\displaystyle m\in M}
에 대하여,
G
{\displaystyle G}
의 오른쪽 작용을 생성하는 벡터장 의 족을
X
:
l
i
e
(
G
)
→
Γ
(
T
P
)
{\displaystyle X\colon {\mathfrak {lie}}(G)\to \Gamma (\mathrm {T} P)}
X
:
x
↦
X
x
{\displaystyle X\colon x\mapsto X_{x}}
로 표기하자. 그렇다면, 위 작용이 정추이적 작용 이므로,
X
{\displaystyle X}
의 상 은
P
{\displaystyle P}
의 수직 벡터 다발
V
P
=
ker
(
T
π
)
⊆
T
P
{\displaystyle \mathrm {V} P=\ker(\mathrm {T} \pi )\subseteq \mathrm {T} P}
과 같으며, 이는 벡터 다발 의 표준적인 동형 사상
P
×
l
i
e
(
G
)
→
V
P
{\displaystyle P\times {\mathfrak {lie}}(G)\to \mathrm {V} P}
를 정의한다. (좌변은 올이
l
i
e
(
G
)
{\displaystyle {\mathfrak {lie}}(G)}
인 자명한 벡터 다발이다.) 따라서,
ω
{\displaystyle \omega }
를
T
∗
P
⊗
V
P
{\displaystyle \mathrm {T} ^{*}P\otimes \mathrm {V} P}
의 단면으로 여길 수 있으며,
ω
{\displaystyle \omega }
는 벡터 다발 사상
ω
:
T
P
→
V
P
⊆
T
P
{\displaystyle \omega \colon \mathrm {T} P\to \mathrm {V} P\subseteq \mathrm {T} P}
를 정의한다. 이는 멱등 함수 이며 (
ω
∘
ω
=
ω
{\displaystyle \omega \circ \omega =\omega }
), 따라서 그 핵 으로 완전히 명시된다. 그 핵
ker
ω
⊆
T
P
{\displaystyle \ker \omega \subseteq \mathrm {T} P}
은 에레스만 접속이다.
딸림표현 의 연관 벡터 다발 [ 2] :545–546, §3
ad
(
P
)
=
P
×
G
l
i
e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ad} (P)=P\times _{G}{\mathfrak {lie}}(G)}
을 생각하자. 또한,
G
{\displaystyle G}
는 접다발
T
P
{\displaystyle \mathrm {T} P}
위에 오른쪽 군 작용 을 가지며, 이에 따라 몫공간
T
P
/
G
{\displaystyle \mathrm {T} P/G}
를 정의할 수 있다. 그 차원은
2
(
dim
M
)
+
(
dim
G
)
{\displaystyle 2(\dim M)+(\dim G)}
이며, 또한
벡터장의 밂
π
∗
:
T
P
/
G
↠
T
M
{\displaystyle \pi _{*}\colon \mathrm {T} P/G\twoheadrightarrow \mathrm {T} M}
는 매끄러운 올다발 을 이룬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으로 벡터 다발 이 아니다.)
T
P
/
G
↠
M
{\displaystyle \mathrm {T} P/G\twoheadrightarrow M}
은 매끄러운 벡터 다발 을 이룬다.
올다발
T
P
/
G
↠
T
M
{\displaystyle \mathrm {T} P/G\twoheadrightarrow \mathrm {T} M}
을 주접속 다발 (영어 : bundle of principal connections )이라고 한다.[ 1] :141, §Ⅳ.1 즉, 다음과 같은 가환 그림이 존재한다.
T
P
→
T
P
/
G
→
T
M
↓
↓
↓
P
→
P
/
G
=
M
{\displaystyle {\begin{matrix}\mathrm {T} P&\to &\mathrm {T} P/G&\to &\mathrm {T} M\\\downarrow &&\downarrow &&\downarrow \\P&\to &P/G&=&M\end{matrix}}}
이는 다음과 같은 표준적인
M
{\displaystyle M}
위의 매끄러운 벡터 다발 들의 짧은 완전열 을 이룬다.[ 2] :547, (3.2)
0
→
ad
(
P
)
→
ι
T
P
G
→
π
∗
T
M
→
0
{\displaystyle 0\to \operatorname {ad} (P)\,{\xrightarrow {\iota }}\,{\frac {\mathrm {T} P}{G}}\,{\xrightarrow {\pi _{*}}}\,\mathrm {T} M\to 0}
G
{\displaystyle G}
는 이 열 위에 작용하며,
ι
{\displaystyle \iota }
와
π
∗
{\displaystyle \pi _{*}}
는
G
{\displaystyle G}
의 작용 아래 불변이다.
이 경우,
P
{\displaystyle P}
의 주접속 은 위 짧은 완전열 의 분할이다. 즉, 아벨 범주 의 분할 보조정리 에 따라, 다음과 같은 두 데이터가 서로 동치 이며, 이는 주접속의 데이터와 같다.
ι
:
ad
(
P
)
→
T
P
/
G
{\displaystyle \iota \colon \operatorname {ad} (P)\to \mathrm {T} P/G}
의 왼쪽 역사상 인
M
{\displaystyle M}
-매끄러운 벡터 다발 사상
A
:
T
P
/
G
→
ad
(
P
)
{\displaystyle A\colon \mathrm {T} P/G\to \operatorname {ad} (P)}
π
∗
:
T
P
/
G
↠
T
M
{\displaystyle \pi _{*}\colon \mathrm {T} P/G\twoheadrightarrow \mathrm {T} M}
의 오른쪽 역사상 인
M
{\displaystyle M}
-매끄러운 벡터 다발 사상
A
:
T
M
→
T
P
/
G
{\displaystyle A\colon \mathrm {T} M\to \mathrm {T} P/G}
[ 1] :142, §Ⅳ.1
짧은 완전열 의 성질에 따라, 두 주접속의 차는 매끄러운 벡터 다발 사상
T
M
→
ad
(
P
)
{\displaystyle \mathrm {T} M\to \operatorname {ad} (P)}
를 정의하며, 이는 벡터 값 미분 형식
Ω
1
(
M
;
ad
(
P
)
)
{\displaystyle \Omega ^{1}(M;\operatorname {ad} (P))}
의 원소와 같다. 즉, 주접속의 모듈라이 공간 은 이 실수 벡터 공간 에 대한 아핀 공간 이다.
π
{\displaystyle \pi }
를 자명화할 수 있게 충분히 섬세한 임의의
M
{\displaystyle M}
의 열린 덮개
(
U
i
)
i
∈
I
{\displaystyle (U_{i})_{i\in I}}
를 골랐다고 하자. 그렇다면,
P
{\displaystyle P}
의 주접속 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각
i
∈
I
{\displaystyle i\in I}
에 대하여, 리 대수 값 1차 미분 형식
A
i
∈
Ω
1
(
U
i
;
l
i
e
(
G
)
)
{\displaystyle A_{i}\in \Omega ^{1}(U_{i};{\mathfrak {lie}}(G))}
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임의의
i
,
j
∈
I
{\displaystyle i,j\in I}
에 대하여, 만약
U
i
∩
U
j
≠
0
{\displaystyle U_{i}\cap U_{j}\neq 0}
이라면, 어떤 매끄러운 함수
g
i
j
:
U
i
∩
U
j
→
G
{\displaystyle g_{ij}\colon U_{i}\cap U_{j}\to G}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해야 한다.
A
j
=
Ad
(
g
i
j
)
−
1
A
i
+
g
i
j
−
1
d
g
i
j
{\displaystyle A_{j}=\operatorname {Ad} (g_{ij})^{-1}A_{i}+g_{ij}^{-1}\mathrm {d} g_{ij}}
여기서
l
i
e
(
G
)
{\displaystyle {\mathfrak {lie}}(G)}
는 리 군에 대응되는 실수 리 대수 이다.
Ad
:
G
→
GL
(
l
i
e
(
G
)
)
{\displaystyle \operatorname {Ad} \colon G\to \operatorname {GL} ({\mathfrak {lie}}(G))}
는 리 군의, 스스로의 리 대수 위의 딸림표현 이다.
같은 열린 덮개
(
U
i
)
i
∈
I
{\displaystyle (U_{i})_{i\in I}}
위에 정의된 두 주접속
(
A
i
)
i
∈
I
{\displaystyle (A_{i})_{i\in I}}
,
(
A
i
′
)
i
∈
I
{\displaystyle (A'_{i})_{i\in I}}
에 대하여, 만약 어떤 매끄러운 함수 들의 족
(
g
i
:
U
i
→
G
)
i
∈
I
{\displaystyle (g_{i}\colon U_{i}\to G)_{i\in I}}
에 대하여
A
i
′
=
Ad
(
g
i
)
−
1
A
i
+
g
i
−
1
d
g
i
{\displaystyle A'_{i}=\operatorname {Ad} (g_{i})^{-1}A_{i}+g_{i}^{-1}\mathrm {d} g_{i}}
라면,
A
{\displaystyle A}
와
A
′
{\displaystyle A'}
을 같은 주접속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정의는 이론물리학 에서 자주 쓰이며, 물리학에서 위와 같은 동치 관계를 게이지 변환 이라고 한다.
이 정의는 다른 정의들과 동치 이다. 구체적으로, 주접속을
P
{\displaystyle P}
위에 정의된 1차 미분 형식
A
∈
Ω
1
(
P
;
l
i
e
(
G
)
)
{\displaystyle A\in \Omega ^{1}(P;{\mathfrak {lie}}(G))}
으로 정의하였다고 하자. 이 경우, 열린 덮개
(
U
i
)
i
∈
I
{\displaystyle (U_{i})_{i\in I}}
에 대한 국소 자명화는 각
i
∈
I
{\displaystyle i\in I}
에 대한 매끄러운 단면
s
i
∈
Γ
(
U
,
P
)
{\displaystyle s_{i}\in \Gamma (U,P)}
으로 주어진다. 이 경우,
A
i
=
s
i
∗
A
∈
Ω
1
(
U
i
;
l
i
e
(
G
)
)
{\displaystyle A_{i}=s_{i}^{*}A\in \Omega ^{1}(U_{i};{\mathfrak {lie}}(G))}
로 놓으면 국소 자명화를 통한 정의를 얻는다. 이 과정에서, 만약 사용한 자명화를
s
i
′
=
s
i
g
i
{\displaystyle s'_{i}=s_{i}g_{i}}
와 같이 바꾸면
A
i
′
=
(
s
i
′
)
∗
A
=
Ad
(
g
i
)
−
1
A
i
+
g
i
−
1
d
g
i
{\displaystyle A'_{i}=(s'_{i})^{*}A=\operatorname {Ad} (g_{i})^{-1}A_{i}+g_{i}^{-1}\mathrm {d} g_{i}}
가 되어, 같은 주접속을 얻는다.
주접속
ω
∈
Ω
1
(
P
;
l
i
e
(
G
)
)
{\displaystyle \omega \in \Omega ^{1}(P;{\mathfrak {lie}}(G))}
의 곡률 (曲率, 영어 : curvature )
Ω
∈
Ω
2
(
P
;
l
i
e
(
G
)
)
{\displaystyle \Omega \in \Omega ^{2}(P;{\mathfrak {lie}}(G))}
는 다음과 같다.
Ω
=
d
ω
+
1
2
[
ω
∧
ω
]
{\displaystyle \Omega =d\omega +{\frac {1}{2}}[\omega \wedge \omega ]}
여기서
[
⋅
∧
⋅
]
{\displaystyle [\cdot \wedge \cdot ]}
는 리 괄호 와 외적을 결합한 연산으로,
[
α
⊗
x
∧
β
⊗
y
]
=
(
α
∧
β
)
⊗
[
x
,
y
]
{\displaystyle [\alpha \otimes x\wedge \beta \otimes y]=(\alpha \wedge \beta )\otimes [x,y]}
와 같이 정의한다.
곡률은 벡터 값 미분 형식
F
∈
Ω
2
(
M
;
ad
(
P
)
)
{\displaystyle F\in \Omega ^{2}(M;\operatorname {ad} (P))}
를 정의하며,[ 2] :548, §3 이 데이터는 곡률의 개념과 동치이다.
곡률이 0인 주접속을 평탄 주접속 이라고 한다.
다음과 같은 연관 다발
Ad
(
P
)
{\displaystyle \operatorname {Ad} (P)}
를 생각하자.[ 2] :539, §2
Ad
(
P
)
=
P
×
G
G
{\displaystyle \operatorname {Ad} (P)=P\times _{G}G}
이는
G
{\displaystyle G}
의, 스스로 위의 켤레 작용
g
↦
(
h
↦
g
h
g
−
1
)
{\displaystyle g\mapsto (h\mapsto ghg^{-1})}
에 대한,
P
{\displaystyle P}
의 연관 다발이다.
Ad
(
P
)
{\displaystyle \operatorname {Ad} (P)}
의 매끄러운 단면 들의 공간은 마찬가지로 다음과 같은 매끄러운 함수 의 공간으로 여겨질 수 있다.[ 2] :539, §2
Γ
∞
(
M
,
Ad
(
P
)
)
≅
{
ϕ
∈
C
∞
(
P
,
G
)
:
ϕ
(
p
⋅
g
)
=
g
−
1
ϕ
(
p
)
g
}
≅
Aut
(
P
)
{\displaystyle \Gamma ^{\infty }(M,\operatorname {Ad} (P))\cong \{\phi \in {\mathcal {C}}^{\infty }(P,G)\colon \phi (p\cdot g)=g^{-1}\phi (p)g\}\cong \operatorname {Aut} (P)}
G
=
Γ
∞
(
M
,
Ad
(
P
)
)
{\displaystyle {\mathcal {G}}=\Gamma ^{\infty }(M,\operatorname {Ad} (P))}
는 점별 곱셈을 통해 위상군 을 이루며, 그 원소를 게이지 변환 이라고 한다.
또한, 다음과 같은, 딸림표현 에 대한 연관 벡터 다발 을 생각하자.[ 2] :545–546, §3
ad
(
P
)
=
P
×
G
l
i
e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ad} (P)=P\times _{G}{\mathfrak {lie}}(G)}
그 매끄러운 단면 의 벡터 공간 은 게이지 변환군
G
{\displaystyle {\mathcal {G}}}
에 대응하는 리 대수 이다.
Lie
(
G
)
=
Γ
∞
(
M
,
ad
(
P
)
)
{\displaystyle \operatorname {Lie} ({\mathcal {G}})=\Gamma ^{\infty }(M,\operatorname {ad} (P))}
그렇다면,
G
{\displaystyle G}
-주다발
P
↠
M
{\displaystyle P\twoheadrightarrow M}
위의 주접속의 모듈라이 공간
A
{\displaystyle {\mathcal {A}}}
는 다음과 같은 벡터 공간 에 대한 아핀 공간 이다.[ 2] :547, §3
T
A
A
≅
Ω
1
(
M
;
ad
(
P
)
)
{\displaystyle \mathrm {T} _{A}{\mathcal {A}}\cong \Omega ^{1}(M;\operatorname {ad} (P))}
게이지 변환군
G
≅
Aut
(
P
)
{\displaystyle {\mathcal {G}}\cong \operatorname {Aut} (P)}
는
A
{\displaystyle {\mathcal {A}}}
위에 다음과 같이 자연스럽게 작용 한다.
ϕ
⋅
A
=
ϕ
∗
A
(
A
∈
Ω
1
(
M
;
ad
(
P
)
)
,
ϕ
∈
Aut
(
P
)
≅
G
)
{\displaystyle \phi \cdot A=\phi ^{*}A\qquad (A\in \Omega ^{1}(M;\operatorname {ad} (P)),\;\phi \in \operatorname {Aut} (P)\cong {\mathcal {G}})}
만약
P
=
M
×
G
{\displaystyle P=M\times G}
가 자명한 주다발 일 경우,
ad
(
P
)
=
M
×
l
i
e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ad} (P)=M\times {\mathfrak {lie}}(G)}
는 자명한 벡터 다발 이며, 또한 표준적인 자명한 주접속
A
=
0
{\displaystyle A=0}
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 경우 주접속의 모듈러스 공간은 리 대수 값 미분 형식 의 실수 벡터 공간
Ω
1
(
M
;
l
i
e
(
G
)
)
{\displaystyle \Omega ^{1}(M;{\mathfrak {lie}}(G))}
를 이루며, 주접속을 단순히 리 대수 값 미분 형식 으로 간주할 수 있다.
만약
M
=
{
∙
}
{\displaystyle M=\{\bullet \}}
이 한원소 공간 이라고 하자. 이 경우,
주다발
P
↠
{
∙
}
{\displaystyle P\twoheadrightarrow \{\bullet \}}
은
G
{\displaystyle G}
-토서(영어 : torsor , 군에서 원점을 망각한 구조)이다.
표준적으로
ad
(
P
)
=
l
i
e
(
G
)
{\displaystyle \operatorname {ad} (P)={\mathfrak {lie}}(G)}
이다.
T
P
/
G
=
Vect
(
P
)
G
{\displaystyle \mathrm {T} P/G=\operatorname {Vect} (P)^{G}}
는
P
{\displaystyle P}
위의,
G
{\displaystyle G}
-오른쪽 군 작용 에 대하여 불변인 벡터장 들의 실수 벡터 공간 이며, 이 역시
l
i
e
(
G
)
{\displaystyle {\mathfrak {lie}}(G)}
와 표준적으로 대응한다. (리 대수의 원소는 이에 대한 군 작용으로서 불변 벡터장을 정의하며, 이는 전단사 함수 를 이룬다.)
따라서, 이 경우 주접속이 유일하게 존재하며, 주접속 자체가 게이지 불변이다.
P
{\displaystyle P}
위의 1차 미분 형식 으로서, 이는 마우러-카르탕 형식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