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자

밀가루 반죽 위에 토핑을 얹어서 둥글고 납작한 형태로 구운 이탈리아의 빵

피자(이탈리아어: pizza 피차[*])는 밀가루 반죽으로 만든 도우 위에 토마토 소스와 [[치즈]를 얹어서 둥글고 납작한 형태로 구운 이탈리아 요리이다.

피자
다른 이름Pizza
원산지이탈리아
관련 나라별 요리이탈리아 요리

"피자"라는 단어는 이탈리아 남부 캄파냐와 경계를 접한 라치오주가에타라틴어 문서에 처음 등장한다.[1] 라파엘레 에스포시토나폴리에서 현대 피자를 만들었다.[2][3][4][5] 2009년 나폴리 피자유럽 연합으로부터 전통 특산품 보증을 획득했고,[6] 2017년 유네스코무형문화유산에 나폴리 피자를 등재했다.[7]

나라별 피자

편집

이탈리아

편집
  • 라치오 피자: 라치오 (로마) 지역의 피자는 이탈리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두 가지 다른 형태를 가지고 있다. 간이 피자 판매점에서 판매하는 라스티카 (pizza rustica)나 피자 알 탈리오 (pizza al taglio)는 직사각형 모양의 팬으로 구우며, 다른 피자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편이다 (1–2 cm). 크러스트는 잉글리시 머핀과 비슷하고, 전자 오븐에 굽는 경우도 있다. 보통 가위나 칼로 잘라서 무게에 따라 판매한다. 피자 식당 (피자리아)에서는 피자를 전통적인 둥근 형태로 내온다. 의 두께가 얇고 바삭바삭하여 두껍고 부드러운 나폴리식 과는 완전히 다르다. 주로 나무 연료 오븐을 사용하여 특유의 맛과 질감이 나도록 굽는다. 로마에서 피자 나폴레타나 (pizza napoletana)는 토마토모차렐라, 안초비, 기름으로 토핑된 것을 말한다. (나폴리에서는 이것을 피자 로마나 (pizza romana)라고 부른다.)

오스트레일리아

편집

이탈리아 형태의 피자도 있으나, 토마토 소스를 바탕으로 모차렐라 치즈베이컨, 달걀 (호주의 아침 식사 재료)를 넣어서 만드는 오스트레일리안 피자도 있다. 이 피자를 만드는 데는 참새우를 재료로 쓰기도 한다.

1980년대 중반부터 오스트레일리아의 피자 전문점과 식당에서는 연어와 딜, 보코치니, 보리새우와 같은 고급 재료를 비롯하여 캥거루, 에뮤, 악어와 같은 독특한 토핑을 곁들인 구르메 피자를 판매하기 시작했다. 도자기 화덕에 나무 연료로 열을 가하여 만드는 우드파이어드 피자 또한 대중적이다.

브라질

편집

피자는 브라질에서 이탈리아 이주민들을 통해 알려졌다. 상파울루는 "세계의 피자 수도"라고 불리는데, 6000개의 피자 전문점이 있으며, 매일 140만 판의 피자가 소비된다.[8] 최초의 브라질 피자는 1920년대 상파울루 브라스 지역에서 만들어졌다. 피자는 1960년대 초반까지 이탈리아 공동체에서만 먹는 음식이었으나, 1960년대 중반부터는 이탈리아계가 아닌 사람들에게 점점 인기를 끌게 되었다. 벡시가와 벨라 비스타 같은 이탈리아 이주민 거주지에는 가장 오래된 피자 전문점이 현재까지 남아있다. 브라질에서는 나폴리식 (얇은 크러스트)와 로마식 (두꺼운 크러스트) 종류를 모두 즐기며, 토마토 주스모차렐라를 바탕으로 하여 향신료나 바나나, 초콜릿, 파인애플처럼 달콤한 다른 재료를 넣은 짠 맛의 피자가 후식 형태로 제공되기도 한다. 상파울로에서는 7월 10일을 "피자의 날"로 정했으며, 매년 열리는 "피자이올로스" 경연의 마지막 결승전을 이 날에 연다. 이러한 행사에는 상파울루를 비롯해 브라질 여러 지역의 피자 전문점이 참여한다.

인도

편집

인도에서 피자는 최근에 도입된 패스트 푸드이며, 브랜드 피자가 인도의 많은 도시에서 개장하고 있다.[9]

피자 전문점에서는 탄두리 치킨과 파니르 같은 인도 재료가 들어간 지역화된 피자를 만들며, 인도인의 입맛에 맞게 서양식보다 좀 더 맵게 만드는 것이 특징이다. 인도식 변형과 함께 일반적인 형태의 피자도 많이 소비되고 있다.

미국

편집
 
뉴욕 스타일의 피자 조각으로 만든 캐러멜화된 크러스트 - 피자의 "코르니오네" (외부 가장자리)

이탈리아그리스 이주민이 미국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면서, 미국에서는 피자가 지역적인 형태로 발전되었으며, 일부는 이탈리아의 본래 요리와 유사한 형태를 띠고 있다. 두꺼운 크러스트와 얇은 크러스트 모두 인기 있다.

미국에서 피자는 서민들의 저렴한 한 끼 식사로 인기가 높다. 길거리에 보이는 피자가게에 진열되어 있는 $1.5~3 짜리 피자 한두조각씩을 가게 앞 테이블이나 또는 거리에서 으로 먹거나, $12~15짜리 피자 한 판을 포장해서 집에 전자레인지오븐에 구워서 먹는 경우가 보통이다. 일부 피자 전문 레스토랑에서의 경우, 포크나이프가 제공되기도 한다.

미국에서 학교 급식 메뉴로 피자가 제공되는데, 미셸 오바마가 비만의 원흉인 피자 추방에 나섰고 급식 메뉴에서 피자를 유지하려는 관련 업계와 농민들이 반발하였고, 여기에 미국 의원들이 '농업예산법안'을 통과시켰는데 여기서 여러 가지 이유로 '피자는 채소'라는 논리를 내세웠다.[10]

미국식 피자는 아래와 같이 크게 다섯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뉴욕 피자 : 도우가 매우 얇고, 소스 및 치즈를 매우 얇게 바르며, 바삭하게 굽는다. 토핑도 페퍼로니 등 몇 종류가 안된다. 구울 때는 보통 오븐을 사용하나 석탄 화덕을 쓰는 경우도 있다. 도우가 약간 바삭하다.
  • 시카고 피자 : 을 발효시켜서 크기를 부푸는데, 이 때, 도우의 두께가 2~3cm가 된다. 도우를 매우 깊은 그릇에 놓고 소스와 치즈를 많이 쓰며, 다양한 재료의 토핑을 사용한다. 토핑 방법도 통상의 방법과 다르게 다른 재료를 먼저 뿌린 뒤, 치즈, 토마토 소스 순으로 뿌린다.
  • 세인트루이스식 피자 : 씬피자가 탄생한 곳이기도 하며, 도우를 매우 얇게하여 바삭하게 굽는다.
  • 디트로이트식 피자 : 도우가 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시실리안 사각 피자라고도 알려져 있다.
  • 하와이안 피자 : 파인애플, 치즈, 토마토 소스로 구성된 피자다.

대한민국의 피자

편집

1972년, 서울 유네스코 빌딩에 대한민국 최초의 피자가게가 개점하였다. 1985년 미국피자헛이 한국에 진출하면서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토핑이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발달하면서 불고기 피자, 김치 피자, 쌀 피자 등 신제품인 출시되었다. 고구마 피자, 새우 피자, 베이컨 피자, 치즈 피자 등 다양한 피자들이 개발되어 있다. 또 크러스트에 고구마와 새우를 올린 피자도 있다.

유래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사찰식 피자는 속세의 피자를 그리워 한 스님의 발상에서 시작되었다. 일반 피자와는 다르게 감자를 도우로 사용하며, 감자를 삶아 으깨어 도우를 만들거나 감자를 강판에 갈아서 소금으로 팬에 구워 만들기도 한다. 이후 스님들이 육식을 하지 않으므로 버섯 등 갖은 채소로 토핑을 하게 되며, 피자 치즈를 갈아서 피자 치즈 대용으로 얹는다. 이렇게 해서 전자레인지, 오븐, 프라이팬 등에 구우면 완성된다.

냉동 피자

편집

피자는 냉동할 수 있다. 음식 기술이 발전하면서 피자의 도우에 넣은 양념을 보존하고 크러스트를 얼려도 부드럽게 해동할 수 있게 되었다. 개량된 옥수수 녹말을 양념과 크러스트 사이에 수분 방벽 역할로 사용하며, 도우는 미리 구워져 있으며, 다른 재료 또한 미리 익혀져 있는 경우가 있다. 냉동 피자는 일반적으로 익지 않은 재료와 효모 없이 저절로 부풀어 오르는 크러스트로 구성되어 있고 요리하지 못하는 피자를 판매하는 피자 전문점도 있다. 이 피자는 익히지 않은 재료를 쓰며, 손님이 구입 후 오븐전자레인지를 사용하여 굽는다.

피자 반죽

편집

토핑

편집

다양한 재료를 곁들일 수 있다. 보통 다음의 것들이 쓰인다:

갤러리

편집

같이 보기

편집

출처

편집
  1. Maiden, Martin. “Linguistic Wonders Series: Pizza is a German(ic) Word”. 《yourDictionary.com》. 2003년 1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 Arthur Schwartz, Naples at Table: Cooking in Campania (1998), p. 68. ISBN 9780060182618.
  3. John Dickie, Delizia!: The Epic History of the Italians and Their Food (2008), p. 186.
  4. Father Giuseppe Orsini, Joseph E. Orsini, Italian Baking Secrets (2007), p. 99.
  5. “Pizza Margherita: History and Recipe”. 《ITALY Magazine》. 2011년 3월 14일. 2013년 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2월 21일에 확인함. 
  6. “How to Make Neapolitan Pizza”. La Cucina Italiana. 2020년 6월 16일. 2024년 6월 18일에 확인함. 
  7. “Naples' pizza twirling wins Unesco 'intangible' status”. 《The Guardian》 (영국 영어) (London). Agence France-Presse. 2017년 12월 7일. ISSN 0261-3077. 2017년 12월 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7일에 확인함. 
  8. “Capital da pizza, sabores para todos / 2007-07-10 00:18:29 - 163164531 / Gazeta Mercantil”. gazetamercantil.com. 2023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3년 9월 13일에 확인함. 
  9. 정성교 (2010년 2월 2일). “프랜차이징 인디아!”.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0. ““피자는 채소다” … 美의회의 ‘꼼수’”. 세계일보. 2011년 11월 1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