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집견

(2변에서 넘어옴)

변집견(邊執見, 산스크리트어: anta-grāha-dṛṣṭi, 팔리어: anta-ggāhikā, 영어: extreme views, extreme view)은 (斷)과 (常)의 두 극단[邊]에 집착하는 견해, 즉 단견(斷見)과 상견(常見)을 말한다. 변집견은 줄여서 변견(邊見)이라고도 하며, 2가지 변견이라는 뜻에서 2변(二邊)이라고도 하며, 변견(邊見)을 번역하여 극단적인 견해라고도 하고 2변(二邊)을 번역하여 두 극단이라고도 한다.[1][2][3][4][5][6][7][8][9][10]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변집견 즉 단견상견중도(中道)와 출리(出離)를 장애하는 작용[業]을 한다.[11][12]

단견 편집

단견(斷見)은 세간(世間)과 자아(自我)는 사후(死後)에 완전히 소멸된다는 견해로, 즉 인과상속, (業)의 상속 또는 심상속(心相續)을 부정하는 견해이다.[13][14][15] 불교의 입장에서 보면, 단견(斷見)은 윤회가 존재하며 무위법열반이 존재한다는 것을 부정하는 견해이다.

단견(斷見)은 단멸된다는 극단 또는 단멸된다는 극단적인 견해라는 뜻에서 단변(斷邊)이라고도 한다.[11][12]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5취온이 이 세상에서 사라지면 그것으로 모든 것이 끝이라는 견해가 단견이다. 즉 마치 깨어진 병에 다시는 물을 담아 사용할 수 없는 것처럼 작자(作者) · 장부(丈夫) 등이 있어 그들은 죽어서 다시는 태어나지 않는다고 집착하는 것을 말한다.[11][12]상속윤회를 부정하는 유물론적인 견해를 말한다.

상견 편집

상견(常見, 산스크리트어: nityadrsti, śāśvatadrsti, 팔리어: sassata-ditthi)은 세간(世間)과 자아(自我)는 사후(死後)에도 없어지지 않는다는 견해이다. 상견(常見)에는 나름의 논리를 갖춘 다양한 견해가 있다. 불교의 입장에서 보면, 모든 상견(常見)은 유위법무위법으로 여기는 잘못된 견해이다.[16][17]

상견(常見)은 영원하다는 극단 또는 영원하다는 극단적인 견해라는 뜻에서 상변(常邊)이라고도 한다.[11][12]

예를 들어, 《대승광오온론》에 따르면, 아트만[我, 나, 자아, 영혼]과 대자재천[自在]이 편재[遍]하고 영원불멸[常]한 존재라는 힌두교의 교의가 상견에 해당한다.[11][12] 여기서 대자재천(大自在天) 또는 자재천(自在天)은 힌두교시바신을 말하는데,[18][19][20] 힌두교3주신 교의에 따르면 시바신우주의 본원적 실재인 브라만의 한 측면이다. 즉, 불교에서는 힌두교아트만브라만실법(實法) 즉 실재하는 존재 또는 실체가 아니라 5온근거하여 성립된 관념 즉 가법(假法)일 뿐이라고 본다. 그리고 이러한 가설적 존재들을 설정하지 않아도 해탈 또는 완전한 깨달음이 가능하다고 보며, 나아가 이러한 가설적 존재들에 의존하는 것이 도리어 해탈 또는 완전한 깨달음에 장애가 된다고 본다. 이에 비해 힌두교에서는 영원불멸한 존재인 브라만에서 현상(불교 용어로는, 유위법5온만법우주)이 전개된다고 본다. 따라서 아트만브라만이 하나가 되는 범아일여(梵我一如)의 경지 즉 사마디 상태에서만 진리를 알게 된다고, 즉 즈냐나[智, 지혜]가 획득된다고 본다. 이와 같이, 불교힌두교현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서로 상이하며, 각각 나름의 논리를 갖추고 있다.

62견의 상견 단견 분별 편집

초기 불교의 외도의 견해인 62견(六十二見) 가운데 단견은 7가지, 상견은 40가지로 총 47가지가 변집견에 해당하고 나머지 15가지는 상견이라고도 단견이라고도 할 수 없다.

구분대분류소분류상견단견

본겁본견(本劫本見) - 18견
= 18제악견취(十八諸惡見趣)
= 전제분별견(前際分別見)
= 과거에 관한 18종의 사견
= Speculations about the Past (Pubbantakappika) - 18 views

상론(常論) - 4견
= 상견론(常見論)
= 변상론(遍常論)
= 상주불멸론(常住不滅論)
= Eternalism (Sassatavāda)

(1) 상론 초견
(2) 상론 제2견
(3) 상론 제3견
(4) 상론 제4견

역상역무상론(亦常亦無常論) - 4견
= 일분상견론(一分常見論)
= 일분상론(一分常論)
= 반상반무상론(半常半無常論)
= Partial-Eternalism (Ekaccasassatavāda)

(5) 역상역무상론 초견
(6) 역상역무상론 제2견
(7) 역상역무상론 제3견
(8) 역상역무상론 제4견

변무변론(邊無邊論) - 4견
= 유변무변상론(有邊無邊想論)
= 유변등론(有邊等論)
= 세계유한무한론(世界有限無限論)
= Doctrines of the Finitude and Infinity of the World (Antānantavāda)

(9) 변무변론 초견
(10) 변무변론 제2견
(11) 변무변론 제3견
(12) 변무변론 제4견

종종론(種種論) - 4견
= 불사교란론(不死矯亂論)
= 이문이답론(異問異答論)
= Doctrines of Endless Equivocation (Amarāvikkhepavāda)

(13) 종종론 초견
(14) 종종론 제2견
(15) 종종론 제3견
(16) 종종론 제4견

무인이유론(無因而有論) - 2견
= 무인론(無因論)
= 무인생론(無因生論)
= 본무금유론(本無今有論)
= Doctrines of Fortuitous Origination (Adhiccasamuppannavāda)

(17) 무인이유론 초견
(18) 무인이유론 제2견

말겁말견(末劫末見) - 44견
= 44제악견취(四十四諸惡見趣)
= 후제분별견(後際分別見)
= 미래에 관한 44종의 사견
= Speculations about the Future (Aparantakappika) - 44 view

유상론(有想論) - 16견
= 유견상론(有見想論)
= 사후유상론(死後有想論)
= Doctrines of Percipient Immortality (Saññīvāda)

(19) 유상론 초견 (제1그룹 1)
(20) 유상론 제2견 (제1그룹 2)
(21) 유상론 제3견 (제1그룹 3)
(22) 유상론 제4견 (제1그룹 4)
(23) 유상론 제5견 (제2그룹 1)
(24) 유상론 제6견 (제2그룹 2)
(25) 유상론 제7견 (제2그룹 3)
(26) 유상론 제8견 (제2그룹 4)
(27) 유상론 초견 (제3그룹 1)
(28) 유상론 제2견 (제3그룹 2)
(29) 유상론 제3견 (제3그룹 3)
(30) 유상론 제4견 (제3그룹 4)
(31) 유상론 제5견 (제4그룹 1)
(32) 유상론 제6견 (제4그룹 2)
(33) 유상론 제7견 (제4그룹 3)
(34) 유상론 제8견 (제4그룹 4)

무상론(無想論) - 8견
= 사후무상론(死後無想論)
= Doctrines of Non-percipient Immortality (Asaññīvāda)

(35) 무상론 초견 (제1그룹 1)
(36) 무상론 제2견 (제1그룹 2)
(37) 무상론 제3견 (제1그룹 3)
(38) 무상론 제4견 (제1그룹 4)
(39) 무상론 제5견 (제2그룹 1)
(40) 무상론 제6견 (제2그룹 2)
(41) 무상론 제7견 (제2그룹 3)
(42) 무상론 제8견 (제2그룹 4)

비유상비무상론(非有想非無想論) - 8견
= 사후비유상비무상론(死後比喩想非無想論)
= Doctrines of Neither Percipient Nor Non-Percipient Immortality (N'evasaññī-nāsaññīvāda)

(43) 비유상비무상론 초견 (제1그룹 1)
(44) 비유상비무상론 제2견 (제1그룹 2)
(45) 비유상비무상론 제3견 (제1그룹 3)
(46) 비유상비무상론 제4견 (제1그룹 4)
(47) 비유상비무상론 제5견 (제2그룹 1)
(48) 비유상비무상론 제6견 (제2그룹 2)
(49) 비유상비무상론 제7견 (제2그룹 3)
(50) 비유상비무상론 제8견 (제2그룹 4)

단멸론(斷滅論) - 7견
= 단견론(斷見論)
= 공무론(空無論)
= Annihilationism (Ucchedavāda)

(51) 단멸론 초견
(52) 단멸론 제2견
(53) 단멸론 제3견
(54) 단멸론 제4견
(55) 단멸론 제5견
(56) 단멸론 제6견
(57) 단멸론 제7견

현재니원론(現在泥洹論) - 5견
= 현법열반론(現法涅槃論)
= 현재득무위론(現在得無爲論)
= Doctrines of Nibbāna Here and Now (Diṭṭhadhammanibbānavāda)

(58) 현재니원론 초견
(59) 현재니원론 제2견
(60) 현재니원론 제3견
(61) 현재니원론 제4견
(62) 현재니원론 제5견
합계 21062407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 편집

  1.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19권. p. T29n1558_p0100a13 - T29n1558_p0100a14. 변집견(邊執見)
    "即於所執我我所事執斷執常名邊執見。以妄執取斷常邊故。"
  2.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9권. p. 868 / 1397. 변집견(邊執見)
    "또한 바로 그같이 주장된 아·아소의 존재에 대해 단멸[斷]한다고 주장하고, 상주[常]한다고 주장하는 것을 일컬어 변집견(邊執見, antagraha-dṛṣṭi)이라고 하는데, 그릇되이 단멸과 상주의 극단[邊]에 집착하여 그것을 취하기 때문이다."
  3.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권. p. T29n1558_p0010c03 - T29n1558_p0010c16. 8견(八見).
  4.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2권. p. 84-86 / 1397. 8견(八見).
  5. 星雲, "".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6. 星雲, "惡見".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7. 운허, "邊執見(변집견)".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8. 星雲, "邊執見".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9. 용수 조, 구마라습 한역 & T.1509, 제6권. p. T25n1509_p0106c24 - T25n1509_p0107a02. 생인(生忍)
    "復次,有二種忍:生忍、法忍,生忍名眾生中忍,如恒河沙劫等,眾生種種加惡,心不瞋恚;種種恭敬供養,心不歡喜。 復次,觀眾生無初,若有初則無因緣,若有因緣則無初;若無初亦應無後,何以故?初後相待故;若無初後,中亦應無。如是觀時,不墮常、斷二邊,用安隱道觀眾生,不生邪見,是名生忍。"
  10. 용수 지음, 구마라습 한역, 김성구 번역 & K.549, T.1509, 제6권. pp. 270-271 / 2698. 생인(生忍)
    "또한 두 가지 인(忍)이 있으니, 생인(生忍)과 법인(法忍)이다.
    생인이라 함은 중생들 가운데서 잘 참는 것을 말한다. 항하의 모래수같이 많은 겁 동안에 중생들이 갖가지로 삿된 마음을 가한다 해도 성내지 않고, 갖가지로 공경하고 공양하여도 기뻐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중생을 관찰함에 처음이 없다. 처음이 있으면 인연이 없고, 인연이 있으면 처음이 없으며, 처음이 없으면 나중도 없으리라. 왜냐하면 처음과 나중은 서로 기다리기 때문이다. 처음과 나중이 없다면 중간도 없으리니, 이렇게 관찰할 때에 상견(常見)과 단견(斷見)의 두 극단에 떨어지지 않으며, 안온도(安穩道)에 의하여 중생을 관찰해 사견에 떨어지지 않는다. 이를 생인이라 하고,"
  11.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3a01 - T31n1613_p0853a05. 변집견(邊執見)
    "云何邊執見。謂薩迦耶見增上力故。即於所取。或執為常。或執為斷。染慧為性。常邊者。謂執我自在。為遍常等。斷邊者。謂執有作者丈夫等彼死已不復生。如瓶既破更無盛用。障中道出離為業。"
  12.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11 / 24. 변집견(邊執見)
    "무엇을 변집견이라고 하는가? 살가야견이 더욱 힘이 강하기 때문에 집착한 것에 대해서 혹은 영원[常]하다고 집착하고, 혹은 단절[斷]된다고 집착하는 오염된 지혜를 성질로 삼는다. 영원하다는 극단[常邊]은 나와 자재천(自在天)이 항상 영원하다고 집착함을 말한다. 단절된다는 극단[斷邊]은 작자(作者) · 장부(丈夫) 등이 있어 그들은 마치 깨어진 병에 다시는 물을 담아 사용할 수 없는 것처럼 죽어서 다시 태어나지 않는다고 집착하는 것이다. 장애 가운데 8정도와 같은 도(道)로 벗어남을 행동양식으로 한다."
  13. 곽철환 2003, "단견(斷見)".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14. 운허, "斷見(단견)".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15. 星雲, "斷見".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16. 곽철환 2003, "상견(常見)".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상견(常見): 세간(世間)과 자아(自我)는 사후(死後)에도 없어지지 않는다는 견해."
  17. 星雲, "常見". 2012년 10월 27일에 확인
    "常見: 梵語 nityadrsti 或 śāśvatadrsti,巴利語 sassata-ditthi。又作常邪見、常論。二見之一。為「斷見」之對稱。主張世界為常住不變,人類之自我不滅,人類死後自我亦不消滅,且能再生而再以現狀相續,即說我為常住;執著此見解,即稱常見。大慧書(大四七‧九二三中):「常見者,不悟一切法空,執著世間諸有為法,以為究竟。」說此常見之外道,則稱常見外道。常見之見解有多種差異:即認為過去、未來之我及世間為常之見解中,計前際(過去)之我及世間為常者,有一分常、一切常之別;計後際(未來)為常,而分有想、無想等之別。六十二見中,十八種為前際分別見,其餘四十四種為後際分別見;其中以四種遍常論、四種一分常論(屬前際分別見)、十六種有想論、八種無想論、八種非想非非想論(屬後際分別見),及計極微為常住之極微常住論,總為計常論。諸經論中,多明示以空觀對治常見。
     釋尊既不偏於常(有)見,亦不偏於斷(無)見。至於靈魂不滅說,即屬常見之一例,虛無主義則為斷見之一例,釋尊主張遠離有、無兩邊,而取中道。斷常二見,俱非中道,總名邊見,乃五惡見之第二。〔雜阿含經卷三十四、北本涅槃經卷二十七、大毘婆沙論卷四十九、瑜伽師地論卷六〕(參閱「斷見」 6560) p4526 "
  18. 운허, "大自在天(대자재천)". 2013년 2월 18일에 확인
    "大自在天(대자재천): 【범】 Maheśvara 또는 마혜수라(摩醯首羅)ㆍ마혜습벌라(摩醯濕伐羅). 눈은 셋이고 팔은 여덟으로 흰 소를 타고 흰 불자(拂子)를 들고 큰 위덕을 가진 신의 이름. 외도들은 이 신을 세계의 본체라 하며, 또는 창조의 신이라 하여 이 신이 기뻐하면 중생이 편안하고, 성내면 중생이 괴로우며, 온갖 물건이 죽어 없어지면 모두 이 신에게로 돌아간다고 한다. 이 신을 비자사(毘遮舍)라 부르기도 하고 초선천(初禪天)의 임금이라 하며, 혹은 이사나(伊舍那)라 하여 제6 천주(天主)라고도 한다."
  19. 운허, ""自在天(자재천)". 2013년 2월 18일에 확인
    "自在天(자재천): 마혜수라(摩醯首羅)의 번역. 곧 대자재천을 말함."
  20. 佛門網, "大自在天". 2013년 2월 18일에 확인
    "大自在天: dàzìzàitiān
    出處: Buddhistdoor
    解釋: 大自在天 The god who creates and controls the world--also known as Śiva. Transcribed as 摩醯首羅.
    出處: A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William Edward Soothill and Lewis Hodous
    解釋: Maheśvara, 摩醯首濕伐羅 or Śiva, lord of the present chiliocosm, or universe; he is described under two forms, one as the prince of demons, the other as divine, i.e. 毘舍闍 Piśācamaheśvara and 淨居 Śuddhāvāsa- or Śuddhodanamaheśvara. As Piśāca, head of the demons, he is represented with three eyes and eight arms, and riding on a white bull; a bull or a linga being his symbol. The esoteric school takes him for the transformation body of Vairocana, and as appearing in many forms, e.g. Visnu, Nārāyana (i.e. Brahmā), etc. His wife (śakti) is Bhīmā, or 大自在天婦. As Śuddhāvāsa, or Pure dwelling, he is described as a bodhisattva of the tenth or highest degree, on the point of entering Buddhahood. There is dispute as to whether both are the same being, or entirely different. The term also means the sixth or highest of the six desire heavens.
    出處: 陳義孝編, 竺摩法師鑑定, 《佛學常見辭彙》
    解釋: 又名摩醯首羅天,是色界十八天中之最高天,此天天王生有三目。
    出處: 佛教漢梵大辭典, 平川彰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Akira Hirakawa
    解釋: mahêśvara, īśāna, mahā-deva, śiva.
    頁數: P 736"